물리:바비네의_원리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물리:바비네의_원리 [2023/11/09 21:40] admin물리:바비네의_원리 [2023/11/09 21:41] – [설명] admin
Line 7: Line 7:
 {{:물리:babinet1.png?400|}} {{:물리:babinet1.png?400|}}
  
-이제 넓었던 슬릿의 중앙부에 더 좁은 슬릿을 끼워넣자 (하늘색). 슬릿이 좁아졌으므로 회절 무늬는 넓어진다. 아까 화살표로 표시했던 스크린의 지점에 극대점이 만들어져 밝은 띠가 만들어졌다고 가정하자.+이제 넓었던 슬릿의 중앙부에 더 좁은 슬릿을 끼워넣자 (하늘색). 슬릿이 좁아졌으므로 회절 무늬는 넓어진다. 아까 화살표로 표시했던 스크린의 지점에 극대점이 만들어져 밝은 띠가 보인다고 가정하자.
  
 {{:물리:babinet2.png?400|}} {{:물리:babinet2.png?400|}}
Line 17: Line 17:
 전자기파의 중첩을 생각해보면 마지막 두 그림의 빛을 합했을 때에 처음 그림의 결과가 나와야 할 것이다. 화살표 부분을 생각해보면 첫 번째 그림에서 그 지점이 어두웠으므로, 중첩의 결과는 상쇄간섭이어야 한다. 그리고 두 파동 사이에 상쇄간섭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진폭이 같고 위상에서 $\pi$만큼의 차이가 나야 할 것이다. 전자기파의 중첩을 생각해보면 마지막 두 그림의 빛을 합했을 때에 처음 그림의 결과가 나와야 할 것이다. 화살표 부분을 생각해보면 첫 번째 그림에서 그 지점이 어두웠으므로, 중첩의 결과는 상쇄간섭이어야 한다. 그리고 두 파동 사이에 상쇄간섭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진폭이 같고 위상에서 $\pi$만큼의 차이가 나야 할 것이다.
  
-우리가 스크린에서 회절 무늬의 밝고 어두움을 관찰할 때위상 정보는 지워지며 빛의 강도는 진폭의 제곱으로부터 결정된다. 이는 마지막 그림 상황에서 화살표 부분의 밝기가 두 번째 그림에서의 밝기와 **일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첫 번째 그림에서 어두웠던 부분 전부에 대해 같은 논리로, 물체에 의한 회절 무늬가 물체 모양 슬릿의 회절 무늬와 일치해야 함을 논할 수 있다. 단, 첫 번째 그림에서 스크린 중앙부의 매우 좁은 영역은 밝았으므로거기에서는 이 논리가 적용되지 않는다.+우리가 스크린에서 회절 무늬의 밝고 어두움을 관찰할 때 위상 정보는 지워지며 빛의 강도는 진폭의 제곱으로부터 결정된다. 이는 마지막 그림 상황에서 화살표 부분의 밝기가 두 번째 그림에서의 밝기와 **일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첫 번째 그림에서 어두웠던 부분 전부에 대해 같은 논리로, 물체에 의한 회절 무늬가 물체 모양 슬릿의 회절 무늬와 일치함을 논할 수 있다. 단, 첫 번째 그림에서 스크린 중앙부의 매우 좁은 영역은 밝았으므로 거기에서는 이 논리가 적용되지 않는다.
  
 ======응용====== ======응용======
  • 물리/바비네의_원리.txt
  • Last modified: 2023/11/09 21:42
  • by ad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