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베테_가설_풀이_bethe_ansatz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물리:베테_가설_풀이_bethe_ansatz [2023/03/29 08:56] minwoo물리:베테_가설_풀이_bethe_ansatz [2023/09/05 15:46] – external edit 127.0.0.1
Line 521: Line 521:
 \frac{A_{321}}{A_{312}} = -\frac{z_2-1}{z_1-1}= B(z_2,z_1),\\ \frac{A_{321}}{A_{312}} = -\frac{z_2-1}{z_1-1}= B(z_2,z_1),\\
 $$ $$
 +
 +이러한 결과들을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
 +B(z_2,z_1) \equiv \frac{A_{213}}{A_{123}}, \ B(z_3,z_2) \equiv \frac{A_{132}}{A_{123}} \\
 +B(z_3,z_1) \equiv \frac{A_{231}}{A_{213}}, \ B(z_3,z_1) \equiv \frac{A_{312}}{A_{132}} \\
 +B(z_3,z_2) \equiv \frac{A_{321}}{A_{231}}, \ B(z_2,z_1) \equiv \frac{A_{321}}{A_{312}}
 +$$
 +
 +$$ \\ $$
 +$[5]$.
 +
 +이제, 파동 함수 $\psi(x_1,x_2,x_3)$에 다음과 같은 '주기적 경계 조건(PBC)'를 적용하고자 한다.
 +
 +$$\psi(x_2,x_3,x_1+L)=\psi(x_1,x_2,x_3)$$
 +
 +($x_1 < x_2 < x_3$ 이며 $x_2 < x_3 < x_1 +L$ 임에 유의하자.)
 +
 +$$ \\ $$
 +이러한 조건을 위에서 도입했던 파동함수에 아래와 같이 적용한다.
 +
 +$$
 +(\ A_{123}z_1^{x_2}z_2^{x_3}z_3^{x_1+L}
 ++A_{213}z_2^{x_2}z_1^{x_3}z_3^{x_1+L}
 ++A_{132}z_1^{x_2}z_3^{x_3}z_2^{x_1+L} \\
 +\qquad \qquad \qquad +A_{312}z_3^{x_2}z_1^{x_3}z_2^{x_1+L}
 ++A_{231}z_2^{x_2}z_3^{x_3}z_1^{x_1+L}
 ++A_{321}z_3^{x_2}z_2^{x_3}z_1^{x_1+L}
 +\ )
 +$$
 +
 +$$
 +=(\ \color{orange}{A_{123}z_1^{x_2}z_2^{x_3}z_3^{x_1}z_3^L}
 ++\color{purple}{A_{213}z_2^{x_2}z_1^{x_3}z_3^{x_1}z_3^L}
 ++\color{black}{A_{132}z_1^{x_2}z_3^{x_3}z_2^{x_1}z_2^L} \\
 +\qquad \qquad \qquad+ \color{red}{A_{312}z_3^{x_2}z_1^{x_3}z_2^{x_1}z_2^L}
 ++\color{green}{A_{231}z_2^{x_2}z_3^{x_3}z_1^{x_1}z_1^L}
 ++\color{blue}{A_{321}z_3^{x_2}z_2^{x_3}z_1^{x_1}z_1^L}
 +\ )
 +$$
 +
 +$$
 +=(\color{green}{A_{123}z_1^{x_1}z_2^{x_2}z_3^{x_3}}
 ++\color{black}{A_{213}z_2^{x_1}z_1^{x_2}z_3^{x_3}}
 ++\color{blue}{A_{132}z_1^{x_1}z_3^{x_2}z_2^{x_3}} \\
 +\qquad \qquad \qquad +\color{orange}{A_{312}z_3^{x_1}z_1^{x_2}z_2^{x_3}}
 ++\color{red}{A_{231}z_2^{x_1}z_3^{x_2}z_1^{x_3}}
 ++\color{purple}{A_{321}z_3^{x_1}z_2^{x_2}z_1^{x_3}}
 +\ )
 +$$
 +
 +$$ \\ $$
 +위의 풀이에 따라, 아래의 결과를 얻는다.
 +
 +$$
 +z_1^L = \frac{A_{132}}{A_{321}} = \frac{A_{132}}{A_{312}}\frac{A_{312}}{A_{321}} = B(z_1,z_3)B(z_1,z_2)
 +$$
 +
 +$$
 +z_2^L = \frac{A_{213}}{A_{132}} = \frac{A_{213}}{A_{123}}\frac{A_{123}}{A_{132}} = B(z_2,z_1)B(z_3,z_2)
 +$$
 +
 +$$
 +z_3^L = \frac{A_{312}}{A_{123}} = \frac{A_{312}}{A_{132}}\frac{A_{132}}{A_{123}} = B(z_3,z_1)B(z_3,z_2)
 +$$
 +
 +$$ \\ $$
 +===== ASEP model =====
 +
 +TASEP 모형에 대해서 $N=1$, $N=2$, 그리고 $N=3$의 경우에 대해 풀이하였으므로
 +
 +'ASEP 모형'에 대한 다음의 결과와 비교할 수 있다.
 +
 +$$
 +E = \sum_{j=1}^N (1-p/z_j - qz_j)
 +$$
 +
 +그리고 $\{z_j\}$는 다음의 BAE를 만족한다.
 +
 +$$
 +z_j^L = \prod_{l\ne j} \left[ -\frac{z_j-qz_jz_l -p}{z_l-qz_jz_l -p} \right].
 +$$
 +
 +$$ \\ $$
 +입자가 오른쪽으로만 이동하는 경우로서 $q=0$, $p=1$를 대입하면, 
 +
 +앞서 수식과 함께 베테 가설 풀이로 살펴본 TASEP 모형의 결과들을 이해할 수 있다.
 +
 +$$ \\ $$
 +===== 풀이 시 주의할 사항 =====
 +
 +앞서 소개한 [[물리:주기적_경계_조건_pbc_을_갖는_비대칭_단순_배타_과정_asep|[링크] ]]의 내용에 따라, 
 +
 +ASEP 모형의 고유값 $E=0$는 곧 시간에 무관한 '정상 상태(stationary state)'에 해당하는 고유값이다.
 +
 +$$ \\ $$
 +베테 가설 풀이를 진행하면, 이러한 $E=0$에 대해서 파동함수 $\psi(x_1,x_2,...,x_N)$이 $0$이 되는 것으로 잘못 이해할 수 있는 경우가 생긴다.
 +
 +가령, 위에서 $N=2$에 대한 TASEP 모형을 풀이할 때, 각 계수 사이의 비율에 대한 조건식을 다음과 같이 얻었다.
 +
 +$$ \frac{A_{21}}{A_{12}}=-\frac{1-z_2}{1-z_1}=-\frac{z_2-1}{z_1-1} $$
 +
 +$$ \\ $$
 +이때, $E = \sum_{i=1}^2 (1-1/z_i)$가 $0$인 경우는 $z_1=z_2=1$인 경우로서 $z_1=z_2$가 서로 같은 경우이다. (아래의 '$z$에 대한 조건' 내용 참고.)
 +
 +따라서, $ \frac{A_{21}}{A_{12}}=-\frac{z-1}{z-1}= -1$으로서
 +
 +$z_1=z_2=z$로 두면 다음과 같은 이상한 결과를 얻게 될 수 있다.
 +
 +$$\psi(x_1,x_2)=A_{12}z^{x_1}z^{x_2} + A_{21}z^{x_1}z^{x_2}= A_{12}(z^{x_1}z^{x_2}-z^{x_1}z^{x_2})=0.$$
 + 
 +$$ \\ $$
 +그러나, 이것은 옳지 않다. 앞서 얻은 계수의 비율에 대한 조건은 원래 다음의 형태를 가졌다.
 +
 +$$
 +\to A_{12}+A_{21}=A_{12}z_2+A_{21}z_1  
 +$$
 +
 +$$ 
 +\to  A_{12}(1-z_2)=A_{21}(z_1-1)=-A_{21}(1-z_1)  
 +$$
 +
 +여기에서, **$z_1=z_2=1$이라면** 양변을 $0$으로 나눌 수 없으며
 +
 +계수 $A_{12}$와 $A_{21}$에 무관하게 방정식이 만족되므로
 +
 +$z_1=z_2=1$일 때는 (아래와 같이) 파동함수가 상수(constant)이다.
 +
 +$$\psi(x_1,x_2)=A_{12}z_1^{x_1}z_2^{x_2} + A_{21}z_2^{x_1}z_1^{x_2}=A_{12}+A_{21}.$$
 +
 +$$ \\ $$
 +이러한 파동함수의 값은 규격화(normalization)를 통해서 결정 가능하다.
 +
 +$$\\ $$
 +즉, 베테 가설 풀이를 통해 해를 구할 경우에는 $0/0$꼴의 극한값을 계산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며, 이러한 경우에는
 +
 +나누기 전의 원식을 미리 잘 파악해두는 것이 중요하다.
 +
 +$$ \\ $$
 +
 +===== $z$에 대한 조건 =====
 +$N=1$의 예에서 파동함수를 도입할 때, $z=e^{ik}$로서 $z$의 크기가 $1$이라는 조건이 포함되었다.
 +
 +$N=2,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z$의 크기가 $1$이라는 조건은 Bethe ansatz에 포함되어야 한다.
 +
 +
 +이러한 조건은 고유값이 $E=0$인 경우가 정상 상태(stationary state)의 해이며, 그 해가 유일한 해라는 것을 보이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
 +$$ \\ $$
 +예를 들어 $N=2$에서 $E = \sum_{i=1}^2 (1-1/z_i)$이고, 그러한 $E=0$를 만족하는 $\{z_1, z_2\}$의 쌍은 무수히 많다.
 +
 +즉, (위에서 언급한 $z$에 대한 조건이 없다면) 다음을 만족하기만 하면 TASEP의 $E=0$에 해당하는 해가 됨을 알 수 있다.
 +
 +$$
 +z_2 = \frac{z_1}{-1+2 z_1}
 +$$
 +
 +이렇듯 변수는 2개이고 풀이되는 조건식은 1개이므로, 해가 유일하지 않고 무수히 많게 되어
 +
 +$z_1,z_2$의 크기에 대한 제한 조건이 추가로 필요하다.
 + 
 +$$ \\ $$
 +베테 가설 풀이는 원래 1차원 양자 사슬 모형을 풀이할 때에는 $z_i=e^{ik_i}$로 설정하여 해를 도입하므로
 +
 +그를 따라서, 일반적인 $N$의 경우도 $z$의 크기가 $1$과 같다는 조건을 포함하면
 +
 +TASEP의 $E=0$일 때의 해가 $z_1=z_2=1$로서 유일하다는 것을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다.
 +
 +{{:물리:bethe_mathematica.png?650|}}
 +
 +(Mathematica를 이용하여) 파란색 그래프는 조건에 따라 $|z_1|=1$을 그린 것이고, 주황색 그래프는 $|z_2|=|\frac{z_1}{-1+2 z_1}|=1$를 만족하는 $z_1$을 그린 것이다.
 +
 +두 그래프의 접점이 $z_1=1$이므로 $z_2=\frac{z_1}{-1+2 z_1}=\frac{1}{-1+2}=1$로서 $z_1=z_2=1$이다.
 +
 +
 +$$ \\ $$
 +===== 참고 문헌 =====
 +
 +Jae Dong Noh, Exactly Solvable Many-Body Stochastic Processes, 2014.
 +
 +Leh-Hun Gwa and Herbert Spohn, Bethe solution for the dynamical-scaling exponent of the noisy Burgers equation, 1992.
 +
 +
 +
  • 물리/베테_가설_풀이_bethe_ansatz.txt
  • Last modified: 2023/09/07 06:56
  • by minw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