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사다리_2차원_이징_모형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물리:사다리_2차원_이징_모형 [2023/01/18 20:42] minwoo물리:사다리_2차원_이징_모형 [2023/09/05 15:46] – external edit 127.0.0.1
Line 33: Line 33:
  
 $$ \\ $$ $$ \\ $$
-여기서 우리는 '전달 행렬' $T_{mn}를 이용하여 분배 함수 $Z$를 행렬 간의 곱 형태로 나타내고 싶다.+여기서 우리는 '전달 행렬' $T_{mn}$를 이용하여 분배 함수 $Z$를 행렬 간의 곱 형태로 나타내고 싶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전달 행렬의 성분을 정의하자. 따라서, 아래와 같이 전달 행렬의 성분을 정의하자.
Line 57: Line 57:
 $$ Z= \sum_{\{S_{m}\}} \prod_{m=1}^M \exp \left[ K \left(S_{m,1}S_{m+1,1} + S_{m,2}S_{m+1,2} + S_{m,1}S_{m,2} + S_{m+1,1}S_{m+1,2} \right)  \right] \\ $$ Z= \sum_{\{S_{m}\}} \prod_{m=1}^M \exp \left[ K \left(S_{m,1}S_{m+1,1} + S_{m,2}S_{m+1,2} + S_{m,1}S_{m,2} + S_{m+1,1}S_{m+1,2} \right)  \right] \\
 = \sum_{\{S_{m}\}} \prod_{m=1}^M T_{m,m+1}(S_{m,1},S_{m,2},S_{m+1,1},S_{m+1,2}) \\ = \sum_{\{S_{m}\}} \prod_{m=1}^M T_{m,m+1}(S_{m,1},S_{m,2},S_{m+1,1},S_{m+1,2}) \\
-= Tr\{\boldsymbol{T}_{12}\boldsymbol{T}_{23} ... \boldsymbol{T}_{M-1,M}\boldsymbol{T}_{M,M+1} \\\  += Tr\left(\boldsymbol{T}_{12}\boldsymbol{T}_{23} ... \boldsymbol{T}_{M-1,M}\boldsymbol{T}_{M,M+1} \right) \\  
-= Tr\{\boldsymbol{T}^M \}$$+= Tr\left(\boldsymbol{T}^M \right)$$
  
 위의 식 두번째 줄에서 세번째 줄로 넘어갈 때, 대각 성분들의 합(trace, $Tr$)을 계산하는 것으로서 등식이 성립함을 이용하였으며 위의 식 두번째 줄에서 세번째 줄로 넘어갈 때, 대각 성분들의 합(trace, $Tr$)을 계산하는 것으로서 등식이 성립함을 이용하였으며
Line 64: Line 64:
 그러한 관계가 성립하는 이유를 간단히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그러한 관계가 성립하는 이유를 간단히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 대각합(trace) 계산 ====+==== 대각합(trace) ====
  
 앞서 보았던 아래의 식에서 앞서 보았던 아래의 식에서
Line 95: Line 95:
 $$ \sum_{\{S_{1}\}} \sum_{\{S_{M}\}} T_{1,M}^{M-1} \ T_{M,M+1} = \sum_{\{S_{1}\}} \sum_{\{S_{M}\}}  T^{M-1}_{1,M} \ T_{M,1} = \sum_{\{S_{1}\}}  T^{M}_{1,1} $$ $$ \sum_{\{S_{1}\}} \sum_{\{S_{M}\}} T_{1,M}^{M-1} \ T_{M,M+1} = \sum_{\{S_{1}\}} \sum_{\{S_{M}\}}  T^{M-1}_{1,M} \ T_{M,1} = \sum_{\{S_{1}\}}  T^{M}_{1,1} $$
  
-이때, 위 식의 마지막 결과에서 $T^M _{1,1}$을 ${S_1}$에 대하여 합해주는 것은 $\boldsymbol{T^M}$의 대각합을 구하는 것이므로 $Tr\\boldsymbol{T^M} \}$과 같다.+이때, 위 식의 마지막 결과에서 $T^M _{1,1}$을 ${S_1}$에 대하여 합해주는 것은 $\boldsymbol{T^M}$의 대각합을 구하는 것이므로 $Tr\left( \boldsymbol{T^M} \right) $과 같다.
  
 $$ \\ $$ $$ \\ $$
-==== 고유값 계산 ====+==== 고유값으로 대각합 계산 ====
  
 앞서 언급된 전달 행렬 정의의 수식을 이용해서 앞서 언급된 전달 행렬 정의의 수식을 이용해서
Line 119: Line 119:
  
 $$ \\ $$ $$ \\ $$
-앞서 우리는 $ Z = Tr\{\boldsymbol{T}^M \}$의 결과를 얻었으므로, $\boldsymbol{T}$를+앞서 우리는 $ Z = Tr\left(\boldsymbol{T}^M \right)$의 결과를 얻었으므로, $\boldsymbol{T}$를
  
 대각 성분만을 갖는 대각 행렬 $\boldsymbol{D}$에 대해 $\boldsymbol{T} = \boldsymbol{UDU^{-1}}$ 으로 '대각선화(대각화, diagonalization)' 해준다면 대각 성분만을 갖는 대각 행렬 $\boldsymbol{D}$에 대해 $\boldsymbol{T} = \boldsymbol{UDU^{-1}}$ 으로 '대각선화(대각화, diagonalization)' 해준다면
Line 142: Line 142:
 분배 함수 $Z$를 구하기 위한 행렬 $\boldsymbol{D}$는 (Mathematica 등의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으며 분배 함수 $Z$를 구하기 위한 행렬 $\boldsymbol{D}$는 (Mathematica 등의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으며
  
-(내용 추가 예정)+{{:물리:diagonalization1.png?1000|}}
  
 +크기가 큰 순서대로 고유값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 \lambda_1 = \frac{1}{2} e^{-4K}(1+2e^{4K}+e^{8K}+\sqrt{1+14e^{8K}+e^{16K}}), \ \lambda_2 = -1+e^{4K}, \\
 + \lambda_3 = \frac{1}{2} e^{-4K}(1+2e^{4K}+e^{8K}-\sqrt{1+14e^{8K}+e^{16K}}), \ \lambda_4 = 1-e^{-4K} $$
 +
 +$\boldsymbol{D}$의 대각 성분들을 구했으므로, $Z =Tr(\boldsymbol{T^M}) =Tr(\boldsymbol{D^M})$의 식을 이용하여
 +
 +$$ Z = Tr\left(\boldsymbol{T}^M \right) = \lambda_1^M + \lambda_2^M + \lambda_3^M + \lambda_4^M $$
 +
 +위와 같이 분배 함수 $Z$를 구할 수 있다.
 +
 +$$ \\ $$
 +
 +==== $K$가 클 때의 근사 ====
 +
 +$K$의 값이 큰 경우에는, 이러한 4가지 값 중에서 (아래와 같이) 가장 크기가 큰 $\lambda_1$과 $\lambda_2$가 $Z$ 값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
 +{{:물리:eigenvalue.png?350|}}
 +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Z = Tr\left(\boldsymbol{T}^M \right) = \lambda_1^M + \lambda_2^M + \lambda_3^M + \lambda_4^M \approx \lambda_1^M + \lambda_2^M  $$
 +
 +$$ \\ $$
 +===== 참고문헌 =====
 +
 +Gun Sang Jeon, Fundamentals of Quantum Phase Transitions, 2023.
 +
 +Seung Ki Baek and Harri M¨akel¨a, Internal energy density of the critical three-state Potts model on the kagome lattice, 2013.
  • 물리/사다리_2차원_이징_모형.txt
  • Last modified: 2023/09/07 07:02
  • by minw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