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양자기체의_밀도행렬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물리:양자기체의_밀도행렬 [2021/03/17 22:44] – [참고문헌] yong물리:양자기체의_밀도행렬 [2021/03/19 21:48] yong
Line 1: Line 1:
-To be added... (~03.21(?))  
- 
 ====== 개요 ====== ====== 개요 ======
 이상적인 양자 기체들은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만족한다. 이상적인 양자 기체들은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만족한다.
Line 390: Line 388:
  
 따라서 일반적인 경우에는 처음에 나타낸 것과 같이 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경우에는 처음에 나타낸 것과 같이 쓸 수 있게 된다.
 +
 +===== 이후 계산들 =====
 +이후 계산은 보즈 기체에서 보였던 계산과 유사하다. 먼저 적분항에 대한 계산을 해주면
 +
 +\begin{align}
 +    e^{-\beta F_A} = \frac{1}{N!}\sum_P \left(-1\right)^P \left( \prod_\nu \left(h_\nu\right)^{C_\nu} \right)
 +\end{align}
 +
 +으로 식을 나타낼 수 있다. 이제 생각해야 할 것은 페르미 기체에서 $\sum_P$ 이다. 여기서는 추가적으로
 +$\left(-1\right)^P$ 이라는 항이 들어갔기 때문에, 이것을 어떻게 바꿀 지 생각해보도록 하자. 먼저
 +앞의 N=3 예시에서, 6가지의 항을 사이클의 길이에 맞춰서 표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
 +
 +
 +| $Px_1, Px_2, Px_3$ | Cycles  | $\rho_A$와 같은 경우  | 부호 결정  |
 +|:---:|:---:|:---:|:---:|
 +| $x^{\prime}_1, x^{\prime}_2, x^{\prime}_3$ | (1)(2)(3) | $-x^{\prime}_1, x^{\prime}_3, x^{\prime}_2$ | + |
 +| $x^{\prime}_1, x^{\prime}_3, x^{\prime}_2$ | (1)(32) | $-x^{\prime}_1, x^{\prime}_2, x^{\prime}_3$ | - |
 +| $x^{\prime}_2, x^{\prime}_1, x^{\prime}_3$ | (21)(3) | $-x^{\prime}_2, x^{\prime}_3, x^{\prime}_1$ | - |
 +| $x^{\prime}_2, x^{\prime}_3, x^{\prime}_1$ | (231) | $-x^{\prime}_2, x^{\prime}_1, x^{\prime}_3$ | + |
 +| $x^{\prime}_3, x^{\prime}_2, x^{\prime}_1$ | (13)(2) | $-x^{\prime}_3, x^{\prime}_1, x^{\prime}_2$ | - |
 +| $x^{\prime}_3, x^{\prime}_1, x^{\prime}_2$ | (312) | $-x^{\prime}_3, x^{\prime}_2, x^{\prime}_1$ | + |
 +
 +예를들어 $Px_1, Px_2, Px_3$가 각각 $x^{\prime}_1, x^{\prime}_2, x^{\prime}_3$, $x^{\prime}_1, x^{\prime}_3, x^{\prime}_2$ 
 +와 같은 상황에서, 두 경우는 서로 반대칭 관계를 만족하므로 더하면 0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사이클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첫 번째 경우, 
 +
 +\begin{align}
 +    \left( \cdots \rightarrow 1 \rightarrow \cdots \right),
 +    \left( \cdots \rightarrow 2 \rightarrow \cdots \right),
 +    \left( \cdots \rightarrow 3 \rightarrow \cdots \right)    
 +\end{align}
 +
 +의 사이클이고, 두 번째 경우, 
 + 
 +\begin{align}
 +    \left( \cdots \rightarrow 1 \rightarrow \cdots \right),
 +    \left( \cdots \rightarrow 3 \rightarrow 2 \rightarrow \cdots \right)      
 +\end{align}
 +
 +의 사이클을 형성하고 있다. 정리되는 뒷항과 같이 무한곱 표현으로 나타내고, 반대칭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조건을 만족하면 된다. 먼저, 사이클의 길이가 홀수인 경우에는, 양의 부호 $(+)$ 를 가져야 하며, 
 +짝수인 경우에는, 음의 부호 $(-)$ 를 가지면 된다. 예시로 들었던 경우에 대해서는
 +
 +\begin{align}
 +    &C_1C_1C_1 \rightarrow (+)(+)(+) \rightarrow (+) \\
 +    &C_1C_2 \rightarrow (+)(-) \rightarrow (-)
 +\end{align}
 +
 +이렇게 부호가 결정이 된다. N=3 에 대해 정리한 표가 위와 같으며, 이를 사이클의 길이가 $C_q$ 까지 나타나는
 +N의 경우에 대해
 +
 +\begin{align}
 +    \prod_\nu \left[ (-1)^{\nu+1} \right]^{C_\nu} 
 +\end{align}
 +
 +을 만족하면 된다. 이 때 대괄호 지수 항으로 $C_\nu$ 가 붙는 것은, 예를 들어 형성되는 사이클의 블럭이
 +$C_1C_2C_2$ 이면, 부호가 $(+)$ 를 만족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대칭성을 만족하는 경우의 분배함수는
 +
 +\begin{align}
 +    e^{-\beta F_A} = \sum_{C_1, \cdots, C_q}\prod_\nu \left[ (-1)^{\nu+1} \right]^{C_\nu} 
 +    \frac{h_\nu^{C_\nu}}{C_\nu! \nu^{C_\nu}}
 +\end{align}
 +
 +으로 결정이 된다. 보즈 기체와 마찬가지로 직접 계산하는 것은 복잡하기에 이를 큰 바른틀 모둠에서의
 +분배함수에 대응하여 나타내면,
 +
 +\begin{align}
 +    e^{-\beta F} = \sum_{C_1, \cdots, C_q}\prod_\nu \left[ (-1)^{\nu+1} \right]^{C_\nu}\frac{h_\nu^{C_\nu}}{C_\nu! \nu^{C_\nu}} \alpha^{\nu C_\nu}
 +\end{align}
 +
 +이고 마찬가지로 합기호와 곱기호를 서로 바꾸면
 +
 +\begin{align}
 +    e^{-\beta F} &= \prod_\nu\sum_{C_\nu}^{\infty} \frac{1}{C_\nu!} 
 +    \left[ (-1)^{\nu+1} \frac{h_\nu \alpha^{\nu}}{\nu} \right]^{C_\nu}
 +\end{align}
 +
 +이 때 $C_\nu$ 가 짝수인 경우,
 +
 +\begin{align}
 +    \prod_\nu \exp \left( (-1)^{\nu+1} h_\nu \frac{\alpha^{\nu}}{\nu} \right)
 +\end{align}
 +
 +$C_\nu$ 가 홀수인 경우,
 +
 +\begin{align}
 +    \prod_\nu \exp \left( (-1)^{\nu} h_\nu \frac{\alpha^{\nu}}{\nu} \right)
 +\end{align}
 +
 +으로 결정된다.
  
 ====== 참고문헌 ====== ====== 참고문헌 ======
  • 물리/양자기체의_밀도행렬.txt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