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주기적_경계_조건_pbc_을_갖는_비대칭_단순_배타_과정_asep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물리:주기적_경계_조건_pbc_을_갖는_비대칭_단순_배타_과정_asep [2023/01/02 19:26] minwoo물리:주기적_경계_조건_pbc_을_갖는_비대칭_단순_배타_과정_asep [2023/09/05 15:46] – external edit 127.0.0.1
Line 285: Line 285:
 ==== $L=4, N=2$ (행렬 성분으로 비교) ==== ==== $L=4, N=2$ (행렬 성분으로 비교) ====
  
-4칸 중에서 입자가 존재하는 칸을 O, 존재하지 않는 칸을 X 로 표기하면, 가령 OOXX는 $i=1,2$에 입자가 있고 $i=3,4$에 입자가 없는 배열을 의미하는 것으로 표기하겠다.+4칸 중에서 입자가 존재하는 칸을 O, 존재하지 않는 칸을 X 로 표기하면, 가령 OOXX는 $i=1,2$에 입자가 있고 $i=3,4$에 입자가 없는 ($N=2$) 배열을 의미하는 것으로 표기하겠다.
  
 이번 예에서 가능한 배열은 OOXX, OXOX, OXXO, XOOX, XOXO, XXOO로 총 ${4 \choose 2} = 6$가지 이다. 이번 예에서 가능한 배열은 OOXX, OXOX, OXXO, XOOX, XOXO, XXOO로 총 ${4 \choose 2} = 6$가지 이다.
Line 408: Line 408:
  
 $$ $$
-H_1 \begin{pmatrix}+H_2 \begin{pmatrix}
 P(\text{OOXX}) \\ P(\text{OOXX}) \\
 P(\text{OXOX}) \\ P(\text{OXOX}) \\
Line 480: Line 480:
  
 $$ $$
-H_3 \begin{pmatrix}+H_4 \begin{pmatrix}
 P(\text{OOXX}) \\ P(\text{OOXX}) \\
 P(\text{OXOX}) \\ P(\text{OXOX}) \\
Line 508: Line 508:
 ---- ----
  
-결과로 얻은 행렬 $H_1,H_2,H_3,$ 그리고 $H_4$를 전부 합한 $H$를 (프로그래밍 언어 등을 이용해서) 다음과 같이 얻게 되는데+결과로 얻은 행렬 $H_1,H_2,H_3,$ 그리고 $H_4$를 (프로그래밍 언어 등을 이용해서) 전부 합하여 $H$를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는데
  
 $$ $$
Line 551: Line 551:
 $$ $$
  
-$L=4,N=2$의 예를 통해서 다음의 해밀토니안이 으뜸 방정식과 잘 대응됨을 알 수 있다.+$L=4,N=2$의 예를 통해 다음의 해밀토니안이 으뜸 방정식과 잘 대응됨을 알 수 있다.
  
-$$H=\sum_i\Biggl\{ \color{purple}{-p\sigma_i^+ \sigma_{i+1}^- }\color{red}{-q\sigma_i^-\sigma_{i+1}^+ +$$ H=\sum_i\Biggl\{ -p\sigma_i^+ \sigma_{i+1}^--q\sigma_i^-\sigma_{i+1}^+  
-+ \frac{(\color{navy}{p}+\color{green}{q})}{4}(1-\sigma_i^z\sigma_{i+1}^z) \Biggl\}$$++ \frac{(p+q)}{4}(1-\sigma_i^z\sigma_{i+1}^z) \Biggl\} $$ 
 + 
 +$$ \\ $$ 
 + 
 +$H$의 식에서 음($-$)의 부호에 해당하는 항은 으뜸 방정식에서는 양($+$)의 부호 이므로 $P(\boldsymbol{\tau})$에 대해 '양의 기여'를 하지만 
 + 
 +$H$의 식에서 양($+$)의 부호에 해당하는 항은 으뜸 방정식에서는 음($-$)의 부호 이므로 $P(\boldsymbol{\tau})$에 대해 '음의 기여'를 한다. 
 + 
 +이를 통해, $H$의 행렬 표현에서의 대각 성분이 양의 기여분(in-flux)을 상쇄하는 음의 기여분(out-flux)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 \\ $$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Jae Dong Noh, Exactly Solvable Many-Body Stochastic Processes, 2014. Jae Dong Noh, Exactly Solvable Many-Body Stochastic Processes, 2014.
  • 물리/주기적_경계_조건_pbc_을_갖는_비대칭_단순_배타_과정_asep.txt
  • Last modified: 2023/09/07 06:58
  • by minw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