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프랙탈_차원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물리:프랙탈_차원 [2022/01/18 15:31] sanghun물리:프랙탈_차원 [2022/01/18 15:38] sanghun
Line 2: Line 2:
  
 프랙탈(fractal)은 일부 작은 조각이 전체와 비슷한 기하학적 형태를 말한다.\\ 프랙탈(fractal)은 일부 작은 조각이 전체와 비슷한 기하학적 형태를 말한다.\\
-{{:물리:Koch.png?300|}}[1] {{:물리:mandelbrot_set.jpg?300|}}[2]\\ +{{ :물리:Koch.png?300 |}}\\ {{ :물리:mandelbrot_set.jpg?300 |}}\\ 
-프랙탈은 [[수학:코흐_곡선 | 코흐 곡선 (Koch curve)]](왼쪽 그림)와 같이 완전히 같은 모양이 반복될 수도 있고(exact), Mandelbrot set(오른쪽 그림)과 같이 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비슷한 모양이 반복될 수도 있으며(approximate), time series와 같이 확률적으로 프랙탈일 수도 있는(statistical)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프랙탈은 [[수학:코흐_곡선 | 코흐 곡선 (Koch curve)]](첫 번째 그림)와 같이 완전히 같은 모양이 반복될 수도 있고(exact), Mandelbrot set(두 번째 그림)과 같이 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비슷한 모양이 반복될 수도 있으며(approximate), time series와 같이 확률적으로 프랙탈일 수도 있는(statistical)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프랙탈 차원====== ======프랙탈 차원======
 프랙탈 차원(fractal dimension)은 프랙탈 기하학에서 공간에 패턴을 얼마나 조밀하게 채우는지 나타내는 비율을 말한다. 프랙탈 차원(fractal dimension)은 프랙탈 기하학에서 공간에 패턴을 얼마나 조밀하게 채우는지 나타내는 비율을 말한다.
  
-<color #ffffff> ........................................................................... </color> + 
-{{:물리:i.png?300|}}\\ +{{ :물리:i.png?300 |}}\\ 
-<color #ffffff> ............................................................................. </color> +{{ :물리:s.png?300 |}}
-{{:물리:s.png?300|}}+
  
 그림은 I 과정을 거칠 때 해상도가 b=2 배율로 반복되는 문양이 나타나게 되고, S 과정을 거칠 때 b=2 배율로 커지는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이 때 b를 스케일 팩터(scale factor)라고 한다. 그림은 I 과정을 거칠 때 해상도가 b=2 배율로 반복되는 문양이 나타나게 되고, S 과정을 거칠 때 b=2 배율로 커지는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이 때 b를 스케일 팩터(scale factor)라고 한다.
  
-<color #ffffff> ............................................................................. </color> +{{ :물리:si.png?300 |}}
-{{:물리:si.png?300|}}+
  
 두 과정을 합치게 되면 넓은 공간에서 반복되는 문양이 그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위와 같은 도형을 시어핀스키 삼각형(sierpinski triangle)이라고 한다. 이 때 도형의 각 요소에 대해 차원을 표현할 수 있다. 두 과정을 합치게 되면 넓은 공간에서 반복되는 문양이 그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위와 같은 도형을 시어핀스키 삼각형(sierpinski triangle)이라고 한다. 이 때 도형의 각 요소에 대해 차원을 표현할 수 있다.
Line 67: Line 65:
  
 ======그림 출처====== ======그림 출처======
-[1] https://en.wikipedia.org/wiki/Koch_snowflake\\ +  * https://en.wikipedia.org/wiki/Koch_snowflake\\ 
-[2] 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Mandel_zoom_00_mandelbrot_set.jpg+  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Mandel_zoom_00_mandelbrot_set.jpg
  • 물리/프랙탈_차원.txt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