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현의_진동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물리:현의_진동 [2016/05/18 22:15] – [연속체 극한] admin물리:현의_진동 [2016/08/16 16:49] – [참고 문헌] admin
Line 1: Line 1:
 ======개요====== ======개요======
-가로로 놓인 현을 용수철로 연결된 질점들의 무수한 연쇄로 생각해서 에너지와 [[:물리:라그랑지언]]을 적고 이로부터 파동방정식을 유도한다. 질점의 질량은 $m$, 용수철 상수는 $K$라고 놓을 것이다.+가로로 놓인 현을 용수철로 연결된 질점들의 무수한 연쇄로 생각해서 에너지와 [[:물리:라그랑지언]]을 적고 이로부터 [[:물리:파동방정식]]을 유도한다. 질점의 질량은 $m$, 용수철 상수는 $K$라고 놓을 것이다.
  
 이 때 현에는 중력을 무시해도 좋을 만큼 충분히 큰 장력 $\tau$가 걸려 있으며 파동으로 인해 생기는 장력의 변화는 매우 작다고 본다. 파동은 횡파를 고려하여 각 질점은 세로 방향으로만 움직인다고 보는데 그 세로 방향의 변위 역시 충분히 작다고 가정할 것이다. 이 때 현에는 중력을 무시해도 좋을 만큼 충분히 큰 장력 $\tau$가 걸려 있으며 파동으로 인해 생기는 장력의 변화는 매우 작다고 본다. 파동은 횡파를 고려하여 각 질점은 세로 방향으로만 움직인다고 보는데 그 세로 방향의 변위 역시 충분히 작다고 가정할 것이다.
Line 12: Line 12:
 위치 에너지 계산을 위해 현이 진동하기 전 평형 상태에서 질점들 사이 거리가 $a$라고 해보자. 현이 진동하면서 $i$번째 질점의 세로 방향 변위가 $y_i$, 그 다음 질점의 변위가 $y_{i+1}$이 되었다고 하자. 그 둘의 차이를 $\Delta y = y_{i+1}-y_i$라고 부르면, 처음의 거리 $a$에 비해서 늘어난 거리는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위치 에너지 계산을 위해 현이 진동하기 전 평형 상태에서 질점들 사이 거리가 $a$라고 해보자. 현이 진동하면서 $i$번째 질점의 세로 방향 변위가 $y_i$, 그 다음 질점의 변위가 $y_{i+1}$이 되었다고 하자. 그 둘의 차이를 $\Delta y = y_{i+1}-y_i$라고 부르면, 처음의 거리 $a$에 비해서 늘어난 거리는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Delta l = \sqrt{a^2 + \Delta y^2} - a \approx a \left[ 1 + \frac{1}{2} \left( \frac{\Delta y}{a} \right)^2 \right] - a = \frac{1}{2}a \left( \frac{y_{i+1} - y_i}{a} \right)^2.$$ $$\Delta l = \sqrt{a^2 + \Delta y^2} - a \approx a \left[ 1 + \frac{1}{2} \left( \frac{\Delta y}{a} \right)^2 \right] - a = \frac{1}{2}a \left( \frac{y_{i+1} - y_i}{a} \right)^2.$$
 +여기에서 $\epsilon \ll 1$에 대해 $(1+\epsilon)^n \approx 1+n\epsilon$라는 근사식이 사용되었다.
 따라서 장력 $\tau$에 대해 한 일이 위치 에너지가 된다고 보면 위치 에너지의 총량은 따라서 장력 $\tau$에 대해 한 일이 위치 에너지가 된다고 보면 위치 에너지의 총량은
 $$V = \sum_i \frac{1}{2} \tau a \left( \frac{y_{i+1} - y_i}{a} \right)^2$$ $$V = \sum_i \frac{1}{2} \tau a \left( \frac{y_{i+1} - y_i}{a} \right)^2$$
Line 30: Line 31:
 $$\frac{y(x+dx,t)-y(x,t)}{dx} = \frac{\partial y}{\partial x} = y'$$ $$\frac{y(x+dx,t)-y(x,t)}{dx} = \frac{\partial y}{\partial x} = y'$$
 로 쓸 수 있다. $x$와 $t$를 독립변수로 취했을 때의 [[:물리:라그랑지언]]은 로 쓸 수 있다. $x$와 $t$를 독립변수로 취했을 때의 [[:물리:라그랑지언]]은
-$$L = \iint \frac{1}{2} \left( \rho \dot{y}^2 - \tau y'^2 \right) dx~ dt$$+$$L = \iint \frac{1}{2} \left( \rho \dot{y}^2 - \tau y'^2 \right) dx~ dt = \iint \frac{1}{2} \left[ \rho \left( \frac{\partial y}{\partial t} \right)^2 - \tau \left( \frac{\partial y}{\partial x} \right)^2 \right] dx~ dt$$
 이다. 라그랑지언 밀도 $L_1 = \frac{1}{2} \left( \rho \dot{y}^2 - \tau y'^2 \right)$를 정의한 다음 이다. 라그랑지언 밀도 $L_1 = \frac{1}{2} \left( \rho \dot{y}^2 - \tau y'^2 \right)$를 정의한 다음
 이 두 변수 모두에 대해 [[:수학: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을 적용하면 이 두 변수 모두에 대해 [[:수학: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을 적용하면
Line 37: Line 38:
  
 혹은 위에서 구한 운동방정식에 극한을 취함으로써 같은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 혹은 위에서 구한 운동방정식에 극한을 취함으로써 같은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
-$$\rho ~dx~ \ddot{y} = \tau~dx \left[ \frac{\frac{\partial y}{\partial x} \left(x+\frac{dx}{2}\right) - \frac{\partial y}{\partial x} \left(x-\frac{dx}{2}\right)}{dx} \right] = \tau~dx~\frac{\partial^2 y}{\partial x^2}.$$+$$\rho ~dx~ \ddot{y} = \tau~dx \left[ \frac{\frac{\partial y}{\partial x} \left(x+\frac{dx}{2},t\right) - \frac{\partial y}{\partial x} \left(x-\frac{dx}{2},t \right)}{dx} \right] = \tau~dx~\frac{\partial^2 y}{\partial x^2}.$$
  
 ======함께 보기====== ======함께 보기======
 [[:물리:조화 고체]] [[:물리:조화 고체]]
  
-======참고 문헌======+======참고문헌======
   * D. Sober, [[http://faculty.cua.edu/sober/612/Lagrangian_wave_eq.pdf|Two Lagrangian approaches to the wave equation]]   * D. Sober, [[http://faculty.cua.edu/sober/612/Lagrangian_wave_eq.pdf|Two Lagrangian approaches to the wave equation]]
  
  
  
  • 물리/현의_진동.txt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