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확률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수학:확률 [2016/02/12 11:52] – [두 번째 예] admin수학:확률 [2017/01/20 16:28] – [상호독립과 짝독립] admin
Line 1: Line 1:
 +
 ======두 가지 관점====== ======두 가지 관점======
-=====빈도론=====+=====빈도론(frequentism) 혹은 객관주의(objectivism)=====
   *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매개변수는 고정된 상수로서 우리에게 알려져 있지 않다.   *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매개변수는 고정된 상수로서 우리에게 알려져 있지 않다.
   *확률은 장기간에 걸친 상대적 빈도로 해석된다.   *확률은 장기간에 걸친 상대적 빈도로 해석된다.
   *통계적 절차는 실험을 무한히 반복했을 때의 결과를 통해 평가된다.   *통계적 절차는 실험을 무한히 반복했을 때의 결과를 통해 평가된다.
  
-=====베이즈 학파의 =====+=====베이즈 학파(bayesian) 혹은 주주의(subjectivism)=====
   *매개변수의 실제 값이 우리에게 불확실하므로 이를 확률변수로 취급한다.   *매개변수의 실제 값이 우리에게 불확실하므로 이를 확률변수로 취급한다.
   *확률 법칙은 매개변수에 대한 추론을 위해 직접 사용된다.   *확률 법칙은 매개변수에 대한 추론을 위해 직접 사용된다.
Line 11: Line 12:
   *데이터를 수집하면서 베이즈의 정리를 따라 매개변수에 대한 우리의 믿음을 고쳐나간다. 이를 통해 사후(posterior) 확률을 얻는다.   *데이터를 수집하면서 베이즈의 정리를 따라 매개변수에 대한 우리의 믿음을 고쳐나간다. 이를 통해 사후(posterior) 확률을 얻는다.
  
-======베이즈의 정리====== +======확률론의 반례들====== 
-조건부 확률의 정의로부터 + 
-$$ P(B|A) = \frac{P(A \cap B)}{P(A)}= \frac{P(A \cap B)}{P(A \cap B+ P(A \cap \overline{B})} = \frac{P(A|B)P(B)}{P(A|B)P(B) + P(A|\overline{B})P(\overline{B})}. $+=====상호독립과 짝독립===== 
-이 식은 $P(A|B)$와 $P(B|A)$를 연결지어준다.+$\mathpb{P}(A_{i_{1}} A_{i_{2}}\cdots A_{i_{k}})=\mathpb{P}(A_{i_{1}})\mathpb{P}(A_{i_{2}})\cdots\mathpb{P}(A_{i{k}})$가 $k=2,\ldots,n$인 모든 $k$와, $1\leq i_{1}<i_{2}<\ldots<i_{k}\leq n$인 모든 $i_{1},i_{2},\ldots,i_{k}$에 대해 만족된다면 
 +$A_{1},\ldots,A_{n}\in \mathcal{F}$는 상호독립이라 한다. $k=n=2$인 경우에는 짝독립이라 한다.
  
-분모에 등장하는 것처럼 가능한 $B$의 사건에 대해 더함으로써 얻어지는 확률은 주변(marginal) 확률이라고도 불린+상호독립과 짝독립의 관계를 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상황을 생각하자.
-$$P(A) = P(A \cap B) + P(A \cap \overline{B}).$$ +
-======베이즈의 정리를 이용한 추론====== +
-=====첫 번째 예===== +
-5개의 공이 담긴 항아리가 있다. 공의 일부는 빨간색, 나머지는 녹색이지만 몇 개가 빨간색인지는 모른다. 확률변수 $X$가 항아리 속 빨간색 공의 갯수라고 하자. $X$의 가능한 값은 $x_i = 0, \ldots, 5$이다. 아무 정보가 없으므로 모든 값들이 동등하게 가능하다고 생각하자. 그러면 사전 확률은 $g(0) = g(1) = \ldots = g(5) = 1/6$이다.+
  
-무작위로 공을 하나 골라내자. 확률 변수 $Y$는 빨간 공이 나오면 1이고 아면 0이다. 그러면 조건부 확률은 $P(Y=1|X=x_i) = i/5$이고 $P(Y=0|X=x_i) = (5-i)/5$이다. 를 '가능도(likelihood)'라고 부른다. 결합 확률(빨간 이 $x_i$ 개 있고 내가 빨간 공을 뽑을 확률)은 가능도에 사전 확률을 곱하면 되므로만일 빨간 공이 나왔다고 하면 아래 처럼 사후 확률을 얻는다. 주변확률이 $1/2$에 유의한다. 즉 이 빨간 공을 관찰한 후 내가 가고 는 $X$에 대한 믿음을 나타낸다.+겉보기에 차이가 없는 $16$개의 바구가 앞에 놓여 있다. 바구니 안에는 $1$ 또는 $0$이 적힌 쪽지 하나씩이 들어 있는 공 $3$개가 각각 $1,2,3$고 표시되어 있다. 이 때, 우리가 바구니 하나를 열어서 $1$번 공에 $0$이 적힌 쪽지가 있을 지 $1$이 적혀 있을지 확인할 수 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아래와 같이 표기될 수 있다.
  
-^  $x_i  사전 확률  ^  가능도  ^  사전$\times$가능도  ^  사후 확률 +$A_{i}=$ $\{$ $i$번째 공에 $1$이 적혀있는 경우 $\}, i=1,2,3$
-|  0  |  1/6  |  0/5  |  0/30  |  0/15  | +
-|    1/6  |  1/5  |  1/30  |  1/15  | +
-|    1/6  |  2/5  |  2/30  |  2/15  | +
-|    1/6  |  3/5  |  3/30  |  3/15  | +
-|  4  |  1/6  |  4/5  |  4/30  |  4/15  | +
-|  5  |  1/6  |  5/5  |  5/30  |  5/15  | +
-| 합  |        |        1/2  |  1  |+
  
-공을 하나 더 뽑아보자 (빼낸 공을 다시 집어넣지 않는다)번에는 녹색 공이 나왔다고 해보자. 앞에서의 사후 확률이 이번에는 사전 확률이 되고 여기에서 갱신되는 확률 분포가 아래 표에 있다.+그렇면 
 +\begin{equation}\notag 
 +P(A_{1})=P(A_{2})=P(A_{3})=\frac{1}{2} 
 +\end{equation} 
 +이  
 +\begin{equation}\notag 
 +P(A_{1}A_{2})=P(A_{1}A_{3})=P(A_{2}A_{3})=\frac{1}{4} 
 +\end{equation} 
 +이 되어 $A_{1},A_{2},A_{3}$은 짝독립이 된다.
  
-^  $x_i$  ^  사전 확률  ^  가능도  ^  사전$\times$가능도  ^  사후 확률 +하지만 $P(A_{1}A_{2}A_{3})=\frac{3}{16}\neq\frac{1}{8}=P(A_{1})P(A_{2})P(A_{3})$인 사실로부터 상호독립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역으로 상호독립이면 짝독립을 만족한다.
-|  0  |  0  |  ??  |  0  |  0  | +
-|  1  |  1/15  |  4/4  |  1/15  |  1/5  | +
-|    2/15  |  3/4  |  1/10  |  3/10  | +
-|  3  |  3/15  |  2/4  |  1/10  |  3/10  | +
-|  4  |  4/15  |  1/4  |  1/15  |  1/5  | +
-|  5  |  5/15  |  0/4  |  0  |  0  | +
-| 합  |        |        1/  1  |+
  
-이렇게 한 번씩 사후 확률을 갱신하는 방법도 있고 두 번의 관찰을 동시에 고려해서 사후 확률을 만드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이 둘은 정확히 같은 결과를 준다. 
  
 +====상호독립과 짝독립의 관계====
 +다음과 같은 상황을 생각하자. \\
 +겉보기에 차이가 없는 $16$개의 바구니가 앞에 놓여 있다. 바구니 안에는 $1$ 또는 $0$이 적힌 쪽지 하나씩이 들어 있는 공 $3$개가 각각 $1,2,3$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이 때, 우리가 바구니 하나를 열어서 $1$번 공에 $0$이 적힌 쪽지가 있을 지 $1$이 적혀 있을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아래와 같이 표기될 수 있다.\\
  
-=====두 번째 예===== +$A_{i}=$ $\{$ $i$번째 에 $'1'$이 적혀있는 경우 $\}, i=1,2,3$
-큰 모집단서 $p$라는 비율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고 나머지는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하자. $n$ 번을 독립적으로 시도해서 그 특징을 가진 사람 $y$ 명을 뽑을 확률은 이항 분포로 주어질 것이다: +
-$$f(y|p) = \binom{n}{y} p^y (1-p)^{n-y}.$+
-$y$를 고정한 상태에서 $p$가 변화한다고 생각하면 위의 식이 가능도가 된다.+
  
-베이즈의 정리를 사용하려면 $p$의 값에 대한 우리의 믿음을 반영하는 사전 확률 $g(p)$가 있어야 한다. 사후 확률은 사전 확률이 가능도를 곱해서 얻어진다: $g(p|y\propto g(p) \times f(y|p)$. 위의 예에서도 보듯이 분모에 주변확률이 야 등호로 쓸 수 있는데 는 상대적인 비율만을 바꾸어줄 뿐 크게 중요하지 않다.+그렇다 
 +\begin{equation}\notag 
 +P(A_{1})=P(A_{2})=P(A_{3})=\frac{1}{2} 
 +\end{equation} 
 +이 되고 
 +\begin{equation}\notag 
 +P(A_{1}A_{2})=P(A_{1}A_{3})=P(A_{2}A_{3})=\frac{1}{4} 
 +\end{equation} 
 +이 어 $A_{1},A_{2},A_{3}$은 짝독립이 다.
  
-사전 확률로 베타 함수를 사용한다고 해보자: +하지만 $P(A_{1}A_{2}A_{3})=\frac{3}{16}\neq\frac{1}{8}=P(A_{1})P(A_{2})P(A_{3})$인 사실로부터 상호독립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상호독립이면 짝독립을 만족한다. 
-$$g(\pi; a,b) = \frac{\Gamma(a+b)}{\Gamma(a) \Gamma(b)} p^{a-1} (1-p)^{b-1}.$$+======함께 보기====== 
 +[[수학:베이즈의 정리]]
  
 +[[수학:네덜란드식 마권]]
  
 +[[수학:베이지언 자백약]]
 ======참고문헌====== ======참고문헌======
   * W. M. Bolstad, Introduction to Bayesian statistics (Wiley, Hoboken, NJ, 2007).   * W. M. Bolstad, Introduction to Bayesian statistics (Wiley, Hoboken, NJ, 2007).
 +  * J. M. Stoyanov, Counterexamples in Probability, 3rd edition(Dover, 2013)
  • 수학/확률.txt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