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물리학:입실론_기계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전산물리학:입실론_기계 [2019/01/22 13:35] – [예: 짝수 과정(Even process)] admin전산물리학:입실론_기계 [2019/01/22 13:36] – [$L=3$의 통계] admin
Line 55: Line 55:
 우리는 여기까지 상태를 나누겠다고 결정해놓았으므로 이제 이 세 상태 사이의 전이를 결정해야 한다. 이 때 길이 $L_\text{max}-1$인 문자열로부터 시작하여 어느 상태로 가는지를 보는 것이 원칙이다. 예컨대 00 뒤에 0이 오면 (1/2의 확률) 000이므로 $B$에서 $B$로의 전이가 있다는 뜻이고, 나머지 1/2의 확률로 00 뒤에 1이 오면 001이 되므로 $B$에서 $D$로 가는 전이가 있다는 뜻이다. 우리는 여기까지 상태를 나누겠다고 결정해놓았으므로 이제 이 세 상태 사이의 전이를 결정해야 한다. 이 때 길이 $L_\text{max}-1$인 문자열로부터 시작하여 어느 상태로 가는지를 보는 것이 원칙이다. 예컨대 00 뒤에 0이 오면 (1/2의 확률) 000이므로 $B$에서 $B$로의 전이가 있다는 뜻이고, 나머지 1/2의 확률로 00 뒤에 1이 오면 001이 되므로 $B$에서 $D$로 가는 전이가 있다는 뜻이다.
  
-반면 길이 $L_\text{max}$인 문자열을 가지고 이 과정을 수행하는 것은 문제가 되는데, 예컨대 011 다음에 1을 붙이고 앞의 0을 잊어버리면 (가정상 우리에겐 $L_\text{max}=3$의 기억 제한이 있으므로) 111이 되어 F로 간다고 놓을 수도 있지만, 이 경우 1이 지금까지 몇 개나 나왔었는지에 대한 정보는 영원히 사라져버리고 만다. 그러면 짝수 과정의 기본 성질은 소실될 것이다. 이런 것은 data closure라고 불리는 일반적인 문제에 속한다.+반면 길이 $L_\text{max}$인 문자열을 가지고 이 과정을 수행하는 것은 문제가 되는데, 예컨대 011 다음에 1을 붙이고 앞의 0을 잊어버리면 (가정상 우리에겐 $L_\text{max}=3$의 기억 제한이 있으므로) 111이 되어 F로 간다고 놓을 수도 있지만, 이 경우 1이 지금까지 몇 개나 나왔었는지에 대한 정보는 영원히 사라져버리고 만다. 그러면 짝수 과정의 기본 성질은 소실될 것이다. 이는 data closure라고 불리는 일반적인 문제에 속한다.
  
 물론 $F$처럼 어떤 상태가 길이 $L_\text{max}$인 문자열 하나만을 가지고 있다면 어쩔 수 없이 이로부터 전이를 말해야 할 것이지만 이는 예외적인 상황이다. 물론 $F$처럼 어떤 상태가 길이 $L_\text{max}$인 문자열 하나만을 가지고 있다면 어쩔 수 없이 이로부터 전이를 말해야 할 것이지만 이는 예외적인 상황이다.
  • 전산물리학/입실론_기계.txt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