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minwoo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user:minwoo [2022/07/13 19:05] minwoouser:minwoo [2022/12/25 17:02] minwoo
Line 7: Line 7:
  
 ====== Heider balance ====== ====== Heider balance ======
 +==== social balance 개념 ====
 Heider 균형 (Heider balance)의 개념을 꽤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는 논문의 한 부분을 인용하고자 한다.$\\$ Heider 균형 (Heider balance)의 개념을 꽤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는 논문의 한 부분을 인용하고자 한다.$\\$
 아래의 그림은 세 명의 사람들 간의 사회적인 관계를 서로 다른 색으로 구별하여 나타낸 것이다.$\\$ 아래의 그림은 세 명의 사람들 간의 사회적인 관계를 서로 다른 색으로 구별하여 나타낸 것이다.$\\$
Line 18: Line 19:
 (3) 사회적인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 친구가 남편 및 아내 중에서 한 명과의 관계를 좋지 않게 바꾼 결과의 삼각형.$\\$ (3) 사회적인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 친구가 남편 및 아내 중에서 한 명과의 관계를 좋지 않게 바꾼 결과의 삼각형.$\\$
 $\\$ $\\$
 +$\\$
 +위에서 설명한 '균형 있는 삼각형'의 의미는 '삼각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인 스트레스가 없다' 라고 바꾸어 설명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그림의 예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모두가 모두에게 좋은 관계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해당 삼각형 상에서는 사회적인 스트레스(social stress)가 발생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
 +두 번째 단계의 삼각형의 '균형이 깨진' (imbalanced) 이유도 직관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
 +모두가 친구 및 배우자 관계로서 '좋은 관계'를 가졌던 상태에서 부부 사이가 서로 좋지 않은 관계로 전환 되었으므로 그 둘 모두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친구의 입장은 다소 불편해진다.$\\$
 +(논문에서 든 예를 그대로 따라서 설명하자면) 그 친구가 각각의 배우자와 만날 때, 전 배우자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되면 입장이 불편해지고, 결국 그는 '균형'에 의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둘 중 한 명과의 관계를 좋지 않게 바꾸게 될 것이며$\\$
 +그 결과로 세 번째 삼각형과 같은 관계로 배열되어 다시 '균형 있는'(balanced) 삼각형이 된다는 것이다. $\\$
 +$\\$
 +즉, Heider의 균형 이론(balance theory)에 따른 i,j,k 세 사람으로 이루어진 삼각형 균형 (triad balance)을 다음과 같은 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Phi_{ijk}=J_{ij}J_{jk}J_{ki}$  ($J_{ij}$ : i와 j 사이의 관계, +1 또는 -1) $\\$
 +이때, $\Phi_{ijk}=1$ 인 경우가 balanced인 상태이고, $\Phi_{ijk}=-1$ 인 경우는 imbalanced한 상태로서 일반화가 가능하다.
 +
 +==== Group(cluster) 형성 개념 ====
 +위에서 설명한 대로, 상호간의 관계를 +1 또는 -1인 '2개의 값만을 갖는'(binary)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한 경우에는$\\$
 +Heider의 balance 개념을 이용하여 사회적 네트워크 (social network) 상에서 사회 집단이 두 개 이상의 그룹으로 쪼개어지는 원리를 보다 원활히 이해할 수 있다.
 +$\\$
 +이 게시글 맨 하단부의 '참고문헌' 목록 중 'On the Notion of Balance of a Signed Graph'의 제목을 가진 논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정리가 있다.$\\$
 +----
 +"complete signed graph 'G'가 balanced 하다는 것은 $\\$
 +'G가 두 부분(two subsets)으로 분할 되고, 동일한 부분 (the same subset) 내의 점(point, 일반적으로 node)들 끼리는 양(positive)의 부호로 연결되며 $\\$
 +서로 다른 부분 (the two different subsets) 사이의 점들 끼리는 음(negative)의 부호로 연결'되거나 $\\$
 +'G의 모든 점들이 서로 양의 부호로 연결' 되는 경우라는 것과 동치 이다.
 +----
 +후자의 경우와 같이 '모든 연결의 부호가 양수'라면, G에 속하는 임의의 $i,j,k$에 대해서 $\Phi_{ijk}=1$가 만족 되지만,$\\$
 +전자의 경우에서도 모든 삼각 구조에서  $\Phi_{ijk}=1$가 만족 될까?
 +$\\$
 +이를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그림을 살펴볼 수 있다. $\\$
 +{{:user:kandori_n_20_visualization.png?400|}} $\\$
 +위 그림에서 파란색 선(link)은 +1을, 빨간색 선은 -1의 값을 나타낸다.$\\$
 +즉,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며 각각의 '그룹 내부'의 점들 사이에는 +1의 선으로만 연결되어있고, '서로 다른 그룹'을 잇는 연결선은 -1의 부호만을 갖는다.$\\$
 +
 +이 경우, 존재하는 각각의 삼각 구조는 '2개의 부호가 -1, 1개의 부호가 +1인 구조' 이거나$\\$
 +'모든 부호가 +1인 구조' 만이 존재하므로, 삼각형 균형이 만족 된다는 것을 곧바로 알 수 있다.
  
-====== 참고 문헌 ====== +======참고 문헌====== 
-Social balance on networks: The dynamics of friendship and enmity (T.Antal, P.L.Krapivsky, S.Redner)[[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67278906003642]]$\\$ +  Social balance on networks: The dynamics of friendship and enmity(2006) (T.Antal, P.L.Krapivsky, S.Redner) [[https://doi.org/10.1016/j.physd.2006.09.028]]$\\$ 
-Frank Harary (1953) On the Notion of Balance of a Signed Graph [[https://projecteuclid.org/journals/michigan-mathematical-journal/volume-2/issue-2/On-the-notion-of-balance-of-a-signed-graph/10.1307/mmj/1028989917.full]]+  * The effect of social balance on social fragmentation (2020(Tuan Minh Pham, Imre Kondor, Rudolf Hanel and Stefan Thurner) [[https://doi.org/10.1098/rsif.2020.0752]] 
 +  * Balanced-imbalanced transitions in indirect reciprocity dynamics on networks (2021) (Koji Oishi, Shuhei Miyano, Kimmo Kaski, and Takashi Shimada) [[https://doi.org/10.1103/PhysRevE.104.024310]] 
 +  * On the Notion of Balance of a Signed Graph(1953) (Frank Harary) [[https://projecteuclid.org/journals/michigan-mathematical-journal/volume-2/issue-2/On-the-notion-of-balance-of-a-signed-graph/10.1307/mmj/1028989917.full]]
  • user/minwoo.txt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