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 물리:랑주뱅_방정식 [2016/04/06 18:40] – [1종 요동-흩어지기 정리] admin | 물리:랑주뱅_방정식 [2023/09/05 15:46] (current) – external edit 127.0.0.1 | ||
|---|---|---|---|
| Line 28: | Line 28: | ||
| $\left< x^2 \right> \approx \frac{2k_B T}{\alpha} t$이다. 확산 계수 $D$를 $\left< x^2 \right> \approx 2Dt$라 적으므로, | $\left< x^2 \right> \approx \frac{2k_B T}{\alpha} t$이다. 확산 계수 $D$를 $\left< x^2 \right> \approx 2Dt$라 적으므로, | ||
| - | ======요동-흩어지기 정리====== | + | ======요동-흩어지기 정리 |
| =====1종 요동-흩어지기 정리 (그린-쿠보 관계식)===== | =====1종 요동-흩어지기 정리 (그린-쿠보 관계식)===== | ||
| 매우 작은 시간 $\tau$를 가지고 $\dot{v}(t) \approx \tau^{-1} \left[ v(t+\tau) - v(t) \right]$라고 쓸 수 있다. | 매우 작은 시간 $\tau$를 가지고 $\dot{v}(t) \approx \tau^{-1} \left[ v(t+\tau) - v(t) \right]$라고 쓸 수 있다. | ||
| Line 47: | Line 47: | ||
| 이다. 시간이 충분히 흘러서 $t \gg m/ | 이다. 시간이 충분히 흘러서 $t \gg m/ | ||
| $$\alpha = \frac{A}{2k_B T} = \frac{1}{k_B T} \int_0^\infty dt \left< F(t) F(0) \right> | $$\alpha = \frac{A}{2k_B T} = \frac{1}{k_B T} \int_0^\infty dt \left< F(t) F(0) \right> | ||
| + | 마지막의 적분 표현식은 [[수학: | ||
| ======비가역성====== | ======비가역성====== | ||
| Line 53: | Line 53: | ||
| [[물리: | [[물리: | ||
| - | + | [[물리: | |
| - | ======참고 문헌====== | + | ======참고문헌====== |
| - | *F. Reif, Fundamentals of Statistical and Thermal Physics (McGraw-Hill, | + | *F. Reif, //Fundamentals of Statistical and Thermal Physics// (McGraw-Hill, |
| - | *가와자키 쿄지 지음, 김봉수, | + | *가와자키 쿄지 지음, 김봉수, |
| *[[https:// | *[[https:// | ||
| *[[https:// | *[[https:// | ||
| - | *S. J. Blundell and K. M. Blundell, Concepts in Thermal Physics, 2nd ed. (Oxford Univ. Press, Oxford, 2010). | + | *S. J. Blundell and K. M. Blundel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