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무작위_송이_모형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물리:무작위_송이_모형 [2024/06/11 17:26] – [이징 모형] admin물리:무작위_송이_모형 [2024/06/11 17:44] (current) – [이징 모형] admin
Line 26: Line 26:
 그러면 분배함수를 아래처럼 쓸 수 있다. 그러면 분배함수를 아래처럼 쓸 수 있다.
 $$Z = \sum_{\{\sigma_i\}} \sum_{\{n_{ij}\}} \prod_{\langle ij \rangle} e^\beta \left[ (1-p) \delta_{n_{ij},0} + p \delta_{\sigma_i \sigma_j} \delta_{n_{ij},1} \right].$$ $$Z = \sum_{\{\sigma_i\}} \sum_{\{n_{ij}\}} \prod_{\langle ij \rangle} e^\beta \left[ (1-p) \delta_{n_{ij},0} + p \delta_{\sigma_i \sigma_j} \delta_{n_{ij},1} \right].$$
-이 표현에 따르면 $\sigma_i \neq \sigma_j$일 때에 $n_{ij}=0$고, $\sigma_i = \sigma_j$일 때에는 확률 $p$로 $n_{ij}=1$확률 $1-p$로 $n_{ij}=0$이다.+이 표현에 따르면 $\sigma_i \neq \sigma_j$일 때에 $n_{ij}=0$인 항들만 살아남고, $\sigma_i = \sigma_j$일 때에는 $n_{ij}=1$인 항들이 확률 $p$의 가중치, $n_{ij}=0$인 항들이 확률 $1-p$의 가중치와 함께 살아남는다.
  
-$n_{ij}=1$을 $i$와 $j$ 사이 연결이 이어진 것으로, $n_{ij}=0$을 $i$와 $j$ 사이 연결이 끊어진 것으로 해석하자. 그러면 저 위쪽 처음의 분배함수 표현식 안에서 서로 다른 스핀 배열에 대응되던 각각의 항들은, $\sum_{\{n_{ij}\}}$가 표현하듯이 여기저기 이어지거나 끊긴 다양한 송이(cluster) 구조를 나타내는 항들로 다시 분해될 수 있다.+$n_{ij}=1$을 $i$와 $j$ 사이 연결이 이어진 것으로, $n_{ij}=0$을 연결이 끊어진 것으로 해석하자. 그러면 저 위쪽 처음의 분배함수 표현식 안에서 서로 다른 스핀 배열에 대응되던 각각의 항들은, $\sum_{\{n_{ij}\}}$가 표현하듯이 여기저기 이어지거나 끊긴 다양한 송이(cluster) 구조를 나타내는 항들로 다시 분해될 수 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https://en.wikipedia.org/wiki/Random_cluster_model   *https://en.wikipedia.org/wiki/Random_cluster_model
  • 물리/무작위_송이_모형.1718094378.txt.gz
  • Last modified: 2024/06/11 17:26
  • by ad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