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 물리:반데르발스_모형 [2025/11/11 16:05] – [임계지수 $\beta$] admin | 물리:반데르발스_모형 [2025/11/13 17:28] (current) – [맥스웰 작도] admin | ||
|---|---|---|---|
| Line 25: | Line 25: | ||
| ====맥스웰 작도==== | ====맥스웰 작도==== | ||
| - | 어떤 고정된 $\tau$에서 $\pi$를 $\phi$의 함수로 그린다고 생각해보자. 이때 $\tau< | + | 어떤 고정된 $\tau$에서 $\pi$를 $\phi$의 함수로 그린다고 생각해보자. 이때 $\tau< |
| + | \begin{eqnarray*} | ||
| + | \pi^\ast &=& 4\tau - 6\tau \phi^\ast_l + 9\tau {\phi^\ast_l}^2 - \frac{3}{2} {\phi^\ast_l}^3\\ | ||
| + | \pi^\ast &=& 4\tau - 6\tau \phi^\ast_g + 9\tau {\phi^\ast_g}^2 - \frac{3}{2} {\phi^\ast_g}^3\\ | ||
| + | \pi^\ast (\phi^\ast_g - \phi^\ast_l) &=& \int_{\phi^\ast_l}^{\phi^\ast_g} \left( 4\tau - 6\tau \phi + 9\tau {\phi}^2 - \frac{3}{2} {\phi}^3 \right) d\phi\\ | ||
| + | &=& 4\tau \left(\phi^\ast_g - \phi^\ast_l \right) - 3\tau \left({\phi^\ast_g}^2 - {\phi^\ast_l}^2 \right) + 3\tau \left({\phi^\ast_g}^3 - {\phi^\ast_l}^3 \right) - \frac{3}{8} \left({\phi^\ast_g}^4 - {\phi^\ast_l}^4 \right). | ||
| + | \end{eqnarray*} | ||
| + | 마지막 식의 양변을 $\left(\phi^\ast_g - \phi^\ast_l \right)$로 나누어 주면, 다음의 식을 얻는다. | ||
| + | \[ \pi^\ast = 4\tau - 3\tau \left(\phi^\ast_g+\phi^\ast_l \right) + 3\tau \left({\phi^\ast_g}^2 + {\phi^\ast_l}^2 + \phi^\ast_g \phi^\ast_l \right) - \frac{3}{8} \left({\phi^\ast_g}^3 + {\phi^\ast_l}^3 + {\phi^\ast_g}^2 {\phi^\ast_l} + {\phi^\ast_g} {\phi^\ast_l}^2 \right). \] | ||
| + | ===직접 풀이=== | ||
| + | 이 세 식을 연립하여 풀고 $\tau$의 급수로 전개하면 (컴퓨터 대수 시스템을 사용해야 한다) 유일한 물리적 해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 ||
| + | \begin{eqnarray*} | ||
| + | \pi^\ast &=& 4\tau - 12\tau^2 + \ldots\\ | ||
| + | \phi^\ast_l &=& -2\sqrt{-\tau} + 2\tau + \ldots\\ | ||
| + | \phi^\ast_g &=& +2\sqrt{-\tau} + 2\tau + \ldots\\ | ||
| + | \end{eqnarray*} | ||
| + | 따라서 마지막의 두 식으로부터 $\beta = 1/2$이다. | ||
| + | |||
| + | ===섭동을 사용한 풀이=== | ||
| + | 먼저 $\phi=0$일 때의 결과인 $\pi^\ast \approx 4\tau$가 계속해서 만족된다고 가정하자. 이렇게 풀어 나갔을 때 $\lvert {\phi^\ast}^3_{l, | ||
| + | \[ 0 = - 6\tau \phi^\ast + 9\tau {\phi^\ast}^2 - \frac{3}{2} {\phi^\ast}^3 \] | ||
| + | 이는 사실상 이차방정식에 불과하므로 그 해는 $|\tau|$가 매우 작을 때 다음처럼 얻어진다. | ||
| + | \[ \phi^\ast = 3\tau \pm \sqrt{9\tau^2 - 4\tau} \approx \pm 2\sqrt{-\tau}.\] | ||
| + | 이것은 위에서 직접 풀이한 결과의 첫 항들을 옳게 재현하며, | ||
| + | |||
| + | 다음 차수의 항들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처럼 가정한다. | ||
| + | \begin{eqnarray*} | ||
| + | \pi^\ast &=& 4\tau + c_1\tau^2\\ | ||
| + | \phi^\ast_l &=& -2\sqrt{-\tau} + c_2\tau\\ | ||
| + | \phi^\ast_g &=& +2\sqrt{-\tau} + c_3\tau\\ | ||
| + | \end{eqnarray*} | ||
| + | |||
| + | 이를 위 세 개의 연립방정식에 집어넣고 가장 낮은 차수부터 정리해 적으면 다음과 같다. | ||
| + | \begin{eqnarray*} | ||
| + | 0 &=& -\pi^\ast + 4\tau - 6\tau \phi^\ast_l + 9\tau {\phi^\ast_l}^2 - \frac{3}{2} {\phi^\ast_l}^3 = (-36-c_1+12c_2)\tau^2 + O\left( \tau^{5/2} \right)\\ | ||
| + | 0 &=& -\pi^\ast + 4\tau - 6\tau \phi^\ast_g + 9\tau {\phi^\ast_g}^2 - \frac{3}{2} {\phi^\ast_g}^3 = (-36-c_1+12c_3)\tau^2 + O\left( \tau^{5/2} \right)\\ | ||
| + | 0 &=& -\pi^\ast + 4\tau - 3\tau \left(\phi^\ast_g+\phi^\ast_l \right) + 3\tau \left({\phi^\ast_g}^2 + {\phi^\ast_l}^2 + \phi^\ast_g \phi^\ast_l \right) - \frac{3}{8} \left({\phi^\ast_g}^3 + {\phi^\ast_l}^3 + {\phi^\ast_g}^2 {\phi^\ast_l} + {\phi^\ast_g} {\phi^\ast_l}^2 \right) = (-12-c_1)\tau^2 + O\left( \tau^{5/2} \right). | ||
| + | \end{eqnarray*} | ||
| + | |||
| + | 따라서 $\tau^2$ 앞의 계수들을 $0$으로 만들게끔 $a$, $b$, $c$를 결정하면 $c_1=-12$와 $c_2=c_3=2$를 얻는다. 이것 역시 직접 풀이한 결과와 일치한다. | ||
| =====임계지수 $\gamma$===== | =====임계지수 $\gamma$===== | ||
| + | |||
| + | 등온압축률에 대한 식을 고쳐 적으면 다음과 같으며 | ||
| + | \begin{eqnarray*} | ||
| + | \kappa_T &=& - \frac{1}{V} \left( \frac{\partial V}{\partial P} \right)_T\\ | ||
| + | & | ||
| + | & | ||
| + | \end{eqnarray*} | ||
| + | 마지막 줄로 넘어올 때에 $V\approx V_c$임을 이용했다. | ||
| + | 그러면 $\left( \partial \pi / \partial \phi \right)_\tau = -6\tau - \frac{9}{2}\phi^2$이다. 그리고 $\tau> | ||
| + | \[ | ||
| + | \kappa_T = \frac{1}{P_c} \left(\frac{1}{6\tau + \frac{9}{2}\phi^2}\right) = \left\{ | ||
| + | \begin{array}{ll} | ||
| + | \frac{1}{6P_c \tau} & \tau>0\\ | ||
| + | -\frac{1}{12P_c \tau} & \tau<0 | ||
| + | \end{array} | ||
| + | \right. | ||
| + | \] | ||
| + | 로서, $\tau$의 부호에 상관없이 $\kappa_T \propto |\tau|^{-1}$로 발산한다. 따라서 $\gamma = \gamma' | ||
| ======함께 보기====== | ======함께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