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 물리:스펙트럴_차원_spectral_dimension [2025/11/09 11:30] – minwoo | 물리:스펙트럴_차원_spectral_dimension [2025/11/09 11:51] (current) – minwoo | ||
|---|---|---|---|
| Line 3: | Line 3: | ||
| 격자와 같은 규칙적인 연결 구조(geometry)에 대해서 선형대수학의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었던 유클리드 차원은 주기성이 없는 연결 구조에 대해서 연속적인 차원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 격자와 같은 규칙적인 연결 구조(geometry)에 대해서 선형대수학의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었던 유클리드 차원은 주기성이 없는 연결 구조에 대해서 연속적인 차원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 ||
| - | 일례로, [[물리: | + | 일례로, [[물리: |
| 이러한 small-world한 연결 구조 또는 더 복잡한 네트워크의 구조에 대해서 유한한 값의 차원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spectral dimension $d_s$로 차원을 옳게 일반화할 수 있다. | 이러한 small-world한 연결 구조 또는 더 복잡한 네트워크의 구조에 대해서 유한한 값의 차원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spectral dimension $d_s$로 차원을 옳게 일반화할 수 있다. | ||
| Line 15: | Line 15: | ||
| $$\\$$ | $$\\$$ | ||
| - | 직관적으로, | + | 직관적으로, |
| + | |||
| + | ' | ||
| $$\\$$ | $$\\$$ | ||
| Line 24: | Line 26: | ||
| 이때 수학적으로는 spectral dimension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이때 수학적으로는 spectral dimension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
| - | $$P_i(t) \sim t^{-d_s/ 2}$$ | + | $$P_i(t) \sim t^{-d_s/ 2} \quad (t\gg 1)$$ |
| 이를 통해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실제로 무작위 행보 모형은 $d_s=2$에서 그 특성이 나뉜다는 것이다. | 이를 통해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실제로 무작위 행보 모형은 $d_s=2$에서 그 특성이 나뉜다는 것이다. | ||
| Line 38: | Line 40: | ||
| $$\\$$ | $$\\$$ | ||
| - | ===== Laplacian이 갖는 | + | ===== Laplacian이 갖는 |
| 원래의 무작위 행보 모형은 확률적 과정(stochastic process)이지만, | 원래의 무작위 행보 모형은 확률적 과정(stochastic process)이지만, | ||
| Line 55: | Line 57: | ||
| $$ \frac{\partial \pi(r, | $$ \frac{\partial \pi(r, | ||
| + | |||
| + | (이 게시글에서는 일반적인 연결 구조를 다루므로 유클리드 격자 또는 연속적인 공간이 아닌 이산적인 구조에 대해서 다루므로 $ \frac{d\pi_j(t)}{dt} = -\sum_k L_{kj} \pi_k(t)$에 대해서 더 설명하겠다.) | ||
| + | |||
| + | $$\\$$ | ||
| + | 여기서 확률 분포 벡터인 $\pi_j(t)$의 초기조건은 특정한 site $i$에 대해서 무작위 행보자가 시작한다는 의미로서 $\pi_j(0)=\delta_{ij}$라고 하자. 이때 $\delta_{ij}$는 크로네커-델타이다. | ||
| + | |||
| + | 그렇다면 $\pi_i(t)$는 다름이 아니라 위에서 논의했던 (시작점 i에 대한) 복귀 확률(return probability)와 정의 상 일치한다. | ||
| + | |||
| + | $$\\$$ | ||
| + | 그러한 확률이 라플라스 연산자의 이산적 구조에 대응되는 행렬로서 Laplacian matrix와 관련되는데, | ||
| + | |||
| + | 사실 수학적으로 (연속적인 시간 $t$로 연속체 가정을 취하기 전인) 이산적인 시간 $t' | ||
| + | |||
| + | (이 과정은 어렵지 않지만) 다소 설명이 길어질 수 있으므로 결론만 말하자면, | ||
| + | |||
| + | $$ P(t) \propto \int_0^{\lambda_{max}} \rho(\lambda)e^{-\lambda t} \ d\lambda.$$ | ||
| + | (초기 site에 대한 index인 i는 일반성을 잃지 않고 지울 수 있으므로 표시하지 않았다.) | ||
| + | |||
| + | 이때, Laplacian matrix의 고유값 중 가장 작은 크기인 $\lambda_{min}$는 항상 $0$임에 유의하자. | ||
| + | |||
| + | $$\\$$ | ||
| + | 위 관계식을 통해 우리는 무작위 행보자의 복귀 확률 $P_0(t)$를 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하면 Laplace matrix의 고유값 분포(eigenvalue spectrum)인 $\rho(\lambda)$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므로 | ||
| + | |||
| + | 복귀 확률의 장시간 거동으로 이해할 수 있었던 spectral dimension의 아래 정의는 | ||
| + | $$P(t) \sim t^{-d_s/ 2} \quad (t\gg 1)$$ | ||
| + | |||
| + | Laplacian matrix의 고유값에 대해서는 아래의 식으로도 얻을 수 있음을, 라플라스 변환의 공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 ||
| + | |||
| + | $$\rho(\lambda) \sim \lambda^{d_s/ | ||
| + | |||
| + | 따라서 고유값 분포를 얻고 그의 고유값이 작은 영역의 멱법칙 지수(power-law exponent)로 부터 spectral dimension을 얻을 수 있다. | ||
| + | |||
| + | (연속적인 경우에 Laplacian의 고유값은 파수 $k$의 제곱에 해당됨을 떠올려보면 알 수 있듯이, low momentum의 영역으로 기술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Gaussian model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