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규호:상관_함수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배규호:상관_함수 [2017/06/30 08:24] bekuho배규호:상관_함수 [2019/10/20 18:41] (current) – removed bekuho
Line 1: Line 1:
-======상관함수====== 
- 
-===상관함수를 얻기=== 
-임의의 함수 $A(x)$ 가 있을 때 변수 $x \in [a,b]$ 에 대해 $x \ rightarrow x+x_{corr}$ 을 한 함수 $A(x+x_{corr})$ 를 
- 
-$A(x)$ 에 곱하여 구간에서의 평균을 구하자. 이렇게 얻어진 $x_{corr}$ 의 함수를 $G(x_{corr})$ 이라고 하고 상관함수라고 부른다.  
- 
-\begin{equation*} 
-\begin{split} 
-G(x_{corr}) &= \frac{\int_{a}^{b} A(x)A(x+x_{corr}) dx}{(b-a)}\\ 
-&= \big<A(x)A(x+x_{corr})\big> 
-\end{split} 
-\end{equation*} 
- 
-===간단한 예제: 코사인 함수=== 
- 
-$t\in [0,2\pi]$ 에서 함수 $\cos{t}$에 대한 상관함수를 얻어보자.  
- 
-\begin{equation*} 
-\begin{split} 
-G(t_{corr}) &= \frac{\int_{0}^{2\pi} \cos(t) \cos(t+t_{corr})dt }{2\pi}\\ 
-&= \frac{1}{2} \cos(t_{corr}) 
-\end{split} 
-\end{equation*} 
- 
-얻어진 $G$ 를 잘 보면 $t_{corr}$ 이 $\pi$의 정수배일 때 진폭이 최대 혹은 최소임을 알 수 있다.  
- 
-이 의미는 주기함수를 $1$주기나 $\farc{1}{2}$주기만큼 옮긴 함수는 한 주기동안의 모양이 같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자성체의 스핀 밀도에서의 이용=== 
- 
-강자성체는 임계온도 이상에서 상자성체가 된다. 그렇다면 임계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임계온도에 접근할수록 스핀 밀도의 평균인 
- 
-자화도가 0이 된다. 이때 임계온도 근처에서 스핀 방향이 같은 몇개의 영역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 영역의 상관 길이는 아주 크다.   
- 
-어떤 기준점 $0$ 으로부터 위치가 $\vec{r}$ 만큼 떨어진 곳의 스핀 밀도를 $\sigma(\vec{r})$ 이라고 부르자. 
- 
-이때 스핀 밀도의 편차에 대한 상관함수를 $G(0)$ 이라고 하면 상관함수를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  
- 
-$$ G(0) = \big<(\sigma(0) - <\sigma>)(\sigma(\vec{r}) - <sigma>)\big> $$ 
- 
-임계온도로 갈수록 $<sigma>$ 는 0에 가까워지게 된다. 따라서 위의 $G(0)$ 값은 어떤 기준점으로부터 $\vec{r}$만큼 떨어진 곳을  
- 
-기준으로 할때의 스핀 분포가 기준점 $0$에서의 분포와  얼마나 비슷한가로 결정된다. 이때 이 두 지점은 상관성이 있다고 하자.  
- 
-임의의 $\vec{r}$ 에 대해 $G(0)$가 항상 큰 값을 가지게끔 하려면 $|\vec{r}| \rightarrow 0$ 부터 $|\vec{r}| \rightarrow \infty$ 까지 스핀의 분포가 같아야 한다는 결론이 나오게 된다.  
- 
-임계온도 근처에서 $G(k=0)$는 발산하는 것 같은 값을 가짐이 중성자 산란 실험에서 알려져 있다. 중성자 산란 실험에서는 스핀을 가지는 입자 사이의 거리가 아닌  
- 
-운동량 운반자 개념을 사용한다. 그런데 조금 바꾸어 생각해보면 장거리에 걸쳐서 그 범위 내의 스핀의 분포가 같게 나타난다면 공간 $x$에 대한 주기가 매우 작아야 한다.   
- 
-이때 운동량 공간의 파수벡터는 상대적으로 0에 가까워져야 하고 운동량 운반자를 파수벡터로 설명하는 중성자 산란 실험에서 $G(k = 0)$의 결론이 나오게 된다.   
- 
-따라서 장거리에 걸쳐서 스핀 방향이 거의 같은 몇개,  혹은 2개의 영역이 나타난다고 설명하는 것은 타당하다.   
- 
- 
-======참고문헌====== 
- 
-  * MA, Shang-Keng. Modern theory of critical phenomena. Da Capo Press, 2000. 
-  * Leonid Zhigilei. University of Virginia, MSE 4270/6270: Introduction to Atomistic Simulations(http://www.people.virginia.edu/~lz2n/mse627/notes/Correlations.pdf) 
- 
- 
- 
- 
- 
- 
-  
- 
-  
- 
- 
- 
- 
  
  • 배규호/상관_함수.1498780450.txt.gz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external 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