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물리학:압축_센싱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전산물리학:압축_센싱 [2023/09/05 15:46] – external edit 127.0.0.1전산물리학:압축_센싱 [2024/07/24 11:17] (current) admin
Line 9: Line 9:
 =====코드 구현===== =====코드 구현=====
 아래는 참고문헌 항목 중 codeproject.com에 있는 Matlab 코드를 python으로 옮긴 것이다. 아래는 참고문헌 항목 중 codeproject.com에 있는 Matlab 코드를 python으로 옮긴 것이다.
-<Code:python>+<code:python>
 from __future__ import print_function,division from __future__ import print_function,division
 from numpy import zeros,dot,transpose from numpy import zeros,dot,transpose
Line 37: Line 37:
 plot(xp-x) plot(xp-x)
 show() show()
-</Code>+</code>
 신호의 길이는 $N=256$인데 이 중 $P=5$개 지점에서만 0이 아닌 값을 가진다. 이 신호는 그런 의미에서 '희박'하다. $K=64$는 관찰의 횟수로서 $N$의 1/4에 불과하다. choice 명령을 써서 5개의 점을 임의로 골라내고 그 곳들의 값을 정규(normal) 분포로부터 결정한다. 신호의 길이는 $N=256$인데 이 중 $P=5$개 지점에서만 0이 아닌 값을 가진다. 이 신호는 그런 의미에서 '희박'하다. $K=64$는 관찰의 횟수로서 $N$의 1/4에 불과하다. choice 명령을 써서 5개의 점을 임의로 골라내고 그 곳들의 값을 정규(normal) 분포로부터 결정한다.
  
Line 56: Line 56:
  
 코드는 다음처럼 작성할 수 있다. 코드는 다음처럼 작성할 수 있다.
-<Code:python>+<code:python>
 from __future__ import print_function,division from __future__ import print_function,division
 from math import pi from math import pi
Line 97: Line 97:
 plot(x_rec, ".") plot(x_rec, ".")
 show() show()
-</Code>+</code>
 코드의 실행 결과는 아래 그림들처럼 나온다. 코드의 실행 결과는 아래 그림들처럼 나온다.
  
  • 전산물리학/압축_센싱.1693896415.txt.gz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