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user:yong [2022/03/28 16:02] – yong | user:yong [2023/09/05 15:46] (current) – external edit 127.0.0.1 | ||
---|---|---|---|
Line 62: | Line 62: | ||
f(\hat{C}, | f(\hat{C}, | ||
\end{equation*} | \end{equation*} | ||
+ | |||
+ | 으로, 이를테면 C와 D가 각각 파울리 행렬 X와 Z인경우, X와 Z의 고유벡터 중 최댓값은 f(ˆX,ˆZ)=1/√2이다. 마지막으로 각 관측값의 측정으로 얻는 확률을 p(c),q(d)라고 하자. | ||
+ | 먼저 각 엔트로피의 합은 | ||
+ | |||
+ | \begin{equation*} | ||
+ | H(\hat{C}) + H(\hat{D}) = -\sum_{c, | ||
+ | \end{equation*} | ||
+ | |||
+ | p(c),q(d)는 양자상태 |ψ⟩의 투영측정으로 얻을 수 있다. | ||
+ | |||
+ | \begin{equation*} | ||
+ | p(c) = | \langle c | \psi \rangle |^2 \qquad q(d) = | \langle d | \psi \rangle |^2 \qquad p(c)q(d) = | \langle c | \psi \rangle \langle d | \psi \rangle |^2 = | \langle c | \psi \rangle \langle \psi | d \rangle |^2 | ||
+ | \end{equation*} | ||
+ | |||
+ | 한편, |ψ⟩이 |c⟩,|d⟩으로 생성된(spanned) 공간으로 임의의 상태 |˜ψ⟩로 투영측정된다고 하면, p(c)q(d)의 확률은 | ||
+ | |||
+ | \begin{equation*} | ||
+ | p(c)q(d) = | \langle c | \psi \rangle \langle \psi | d \rangle |^2 = \lambda^2\cos^2(\theta-\phi)\cos^2(\phi) | ||
+ | \end{equation*} | ||
+ | |||
+ | 따라서 λ=1,ϕ=θ/2에서 확률의 최댓값을 만족하게 된다. 그러므로, | ||
+ | |||
+ | \begin{equation*} | ||
+ | p(c)q(d) = \cos^4(\theta/ | ||
+ | \end{equation*} | ||
+ | |||
+ | 이며 이경우에는 엔트로피 최솟값이 되므로, H(ˆC)+H(ˆD)의 부등식이 성립하게 된다. | ||
====== 참고문헌 ====== | ====== 참고문헌 ====== | ||
* M.A. Nielsen and I.L. Chuang, //Quantum Computation and Quantum Information: | * M.A. Nielsen and I.L. Chuang, //Quantum Computation and Quantum Information: | ||
+ | * D. Deutsch,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