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관 길이====== 상관 함수에서 파수 벡터 공간의 상관함수 $G(k)$ 는 $k=0$ 에서 $G(0) = \chi T$ 인 봉우리값과 그 주변으로 폭 $\xi^{-1}$ 를 가지는 뾰족한 함수로 근사될 수 있다. 이때 폭을 상관 길이의 역수라고 가정하는데 온도가 상전이 온도 근처이고 외부에서 아무런 자기장이 걸리지 않았을 때 테일러 전개의 2차 미분과 상관 길이가 발산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테일러 전개를 이용하여 함수를 근사하면 상관 길이의 값을 추측할 수 있다. $$\xi^{2} = -\frac{1}{2}G^{-1}(0)(d^{2}G(k)/dk^{2})_{k=0} , \quad |T-T_c| <<1,\quad h = 0$$ 이 때 $G(k)$가 0 근처에서 매우 뾰족한 함수이기 떄문에 2차 미분의 값은 매우 클 것이다. 따라서 $\xi$ 는 임계온도 근처에서 발산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관 길이 $\xi$에 대해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 $$\xi\propto |T-T_c|^{-\nu}, T>T_c$$ $$\xi\propto |T-T_c|^{-\nu^{\prime}}, T T_c, \rightarrow \nu $$ $$ \xi \propto |T-T_c|^{-\nu^{\prime}}, \quad T < T_c, \rightarrow \nu^{\prime} $$ $$ F \propto |T-T_c|^{\nu d} $$ 열용량은 단위 부피 당 자유에너지의 온도에 대한 2차 미분에 온도를 한번 더 곱한 형태로 표현된다. 상전이 온도 $T_c$ 근처에서 열용량의 [[:배규호:임계지수]] $\alpha$ 를 구하기 위해 차원 분석을 활용한다. $$ C = -T\frac{\partial^{2}F}{\partial T^{2}} \propto |T-T_c|^{\nu d - 2} $$ 열용량의 임계지수가 $\alpha$ 이므로 아래와 같은 관계가 성립하여야 한다. $$ \alpha = 2 - \nu d $$ 비슷한 방식으로 평균 스핀 밀도 $m$ 에 대한 임계지수 $\beta$, 자유장(apply field, h)의 차원 $d_h$ 그리고 $h$ 값이 $0$이 아닐 때 $ m \propto h^{\frac{1}{\delta}} $ 의 임계지수 $\delta$ 를 유도한다. 이 때 $$\nu^{\prime} = \nu$$ 로 가정하는데 이것은 재규격화에서 설명된다. 이와같은 차원 분석은 실제로 실험 데이터와 비교를 해보면 오차 10% 이내의 범위 안에서 잘 맞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눈금 바꿈 가설에 대한 논의====== 눈금 바꿈 가설과 차원분석을 통해 얻는 물리량의 차원과 임계 지수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차원(눈금 차원)에 대해서 $$ \text{dimension of}~\xi = -1 $$ $$ \text{dimension of}~k = 1 $$ $$ \text{dimension of}~\sigma_{k} = -1+\eta/2 $$ $$ \text{dimension of}~\sigma(x) = \frac{1}{2}(d-2+\eta ) $$ $$ \text{dimension of}~h = \frac{1}{2}(d+2-\eta) $$ 임계 지수들의 관계는 $$ \nu = \nu^{\prime} = \gamma/(2-\eta) $$ $$ \alpha = \alpha^{\prime} = 2 - \nu d $$ $$ \beta = frac{1}{2}\nu(d-2+\eta) $$ $$ \delta = (d+2-\eta)/(d-2+\eta) $$ 눈금 바꿈 가설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이 방법이 즉흥적이라는 것이다. 우선 가장 큰 상관길이 하나로 임계지수를 결정하는 것은 위험하다. 그 이유는 남아있는 상대적으로 작은 스케일이 차원에 따라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비록 실험에서 구한 결과를 맞추는데 눈금 바꿈 가설이 꽤 잘 들어맞는다고 해도 위와 같은 가정 때문에 이 방법을 지지해 줄 다른 설명이 필요하다. ======같이보기====== *[[물리:차원분석]] ======참고문헌====== *MA, Shang-Keng. Modern theory of critical phenomena. Da Capo Press,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