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러더퍼드_산란

This is an old revision of the document!


러더퍼드 산란

러더퍼드 산란 실험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 헬륨의 원자핵인 α입자를 원자살 형태로 상대적으로 원자번호가 큰 금속으로 만든 얇은 박막에 쏘아준다.

톰슨의 원자 모형

러더퍼드의 산란 실험 이전의 원자 모형으로는 톰슨의 원자 모형이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모형이었다. 톰슨은 원자가 중성일 것이라 생각하였다. 원자 내부에 양전하들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고 그 사이에 음전하가 건포도처럼 박혀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다. 이렇게 전하들이 분포되어 있으면 원자가 전기적으로 중성일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톰슨의 원자 모형에 따르면 위의 러더퍼드 산란 실험에서 α 입자가 금속 박막을 통과한 뒤의 경로는 처음 들어가는 경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간단한 계산


α입자가 질량 mα을 가지고 초기 속도 v0로 질량 mt인 목표 입자와 충돌하는 상황을 생각하자. 그리고 여기서 α입자의 속력은 v00.1c로 빛의 속력보다 매우 작아 상대론적 효과를 무시하자. 운동량 보존과 에너지 보존으로 boldsymbolv0v20를 계산할 수 있다. \bmαv0=mαvα+mtvt  v0=vα+mtmαvt 12mαv20=12mαv2α+12mtv2t  v20=v2α+mtmαv2t 계산에서 (vi)2=vivi=v2i이고 i=0, α, 그리고 t이다. 첫 번째 결과를 두 번째 결과에 대입하면 v20=(v2α+(mtm\lapha)2v2t+2mtmαvαvt)=v2α+mtmαv2t 을 얻게 되고 v2t(1mtmα)=vαvt 임을 알 수 있다. 이제 정지해 있는 전자에 α입자가 입사되어 충돌하는 상황을 생각해자. 그렇다면 mt=me가 될 것이다. 각 입자의 질량은 me0.5 MeV/c2, mα4×103 MeV/c2 그러므로 두 입자의 질량비는 mtmα104 이 된다.

  • 물리/러더퍼드_산란.1495059614.txt.gz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external 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