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사다리_2차원_이징_모형

This is an old revision of the document!


사다리(ladder) 위의 이징 모형

2×M 사각 격자 상의 2차원 이징 모형을 다음과 같은 해밀토니안 H로 기술하자

βH=K2n=1Mm=1(Sm,nSm+1,n+Sm,nSm,n+1)

이때, 주기적 경계 조건(periodic boundary condition)을 양 방향에 적용하여 SM+1,nS1,nSm,3Sm,1이 성립하도록 설정하여 설명하겠다.

위의 해밀토니안을 이용해 분배 함수(partition function)를 구한다면 그 계에 대한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분배 함수를 원활히 구하기 위해서는, 그를 등가적으로 표현하는 '전달 행렬 (transfer matrix)'의 각 성분을 구하고

그의 고유값을 얻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의 분배 함수를

Z={Sm,n}eβH

전달 행렬을 이용한 표현식으로 적절히 바꾸고자 한다.

위에서 주어진 해밀토니안을 이용하여 분배 함수를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Z={Sm,n}eβH={Sm,n}exp[K2n=1Mm=1(Sm,nSm+1,n+Sm,nSm,n+1)]={Sm}exp[KMm=1(Sm,1Sm+1,1+Sm,2Sm+1,2+2Sm,1Sm,2)]={Sm}exp[KMm=1(Sm,1Sm+1,1+Sm,2Sm+1,2+Sm,1Sm,2+Sm+1,1Sm+1,2)]={Sm}Mm=1exp[K(Sm,1Sm+1,1+Sm,2Sm+1,2+Sm,1Sm,2+Sm+1,1Sm+1,2)]

위 식의 두번째 줄에서 2Sm,1Sm,2를 (m=1 부터 m=M 까지의 합에 대해 주기적 경계 조건을 적용하여) 세번째 줄의 Sm,1Sm,2+Sm+1,1Sm+1,2로 바꾸어 쓸 수 있다.

또한, exp 함수의 수학적인 특성을 이용하면 지수의 합을 exp 함수들의 곱으로 대체하여 마지막 줄로 쓸 수 있다.

여기서 우리는 '전달 행렬' Tmn를 이용하여 분배 함수 Z를 행렬 간의 곱 형태로 나타내고 싶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전달 행렬의 성분을 정의하자.

Tmn(Sm,1,Sm,2,Sn,1,Sn,2)exp[K(Sm,1Sn,1+Sm,2Sn,2+Sm,1Sm,2+Sn,1Sn,2)]

각각의 스핀(S) 값에 대해 그러한 성분을 갖는 전달 행렬을 전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Tmn(Tmn(1,1,1,1)Tmn(1,1,1,1)Tmn(1,1,1,1)Tmn(1,1,1,1)Tmn(1,1,1,1)Tmn(1,1,1,1)Tmn(1,1,1,1)Tmn(1,1,1,1)Tmn(1,1,1,1)Tmn(1,1,1,1)Tmn(1,1,1,1)Tmn(1,1,1,1)Tmn(1,1,1,1)Tmn(1,1,1,1)Tmn(1,1,1,1)Tmn(1,1,1,1))

이러한 전달 행렬을 이용해서 분배 함수 Z를 다음과 같이 표현하자.

Z={Sm}Mm=1exp[K(Sm,1Sm+1,1+Sm,2Sm+1,2+Sm,1Sm,2+Sm+1,1Sm+1,2)]={Sm}Mm=1Tm,m+1(Sm,1,Sm,2,Sm+1,1,Sm+1,2)=Tr(T12T23...TM1,MTM,M+1)=Tr(TM)

위의 식 두번째 줄에서 세번째 줄로 넘어갈 때, 대각 성분들의 합(trace, Tr)을 계산하는 것으로서 등식이 성립함을 이용하였으며

그러한 관계가 성립하는 이유를 간단히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앞서 보았던 아래의 식에서

Z={Sm}Mm=1exp[K(Sm,1Sm+1,1+Sm,2Sm+1,2+Sm,1Sm,2+Sm+1,1Sm+1,2)]={Sm}Mm=1Tm,m+1(Sm,1,Sm,2,Sm+1,1,Sm+1,2)

{Sm}은 임의의 위치(site)인 (m,m+1) 스핀에 대해서 합을 계산한다는 의미이다.

즉, {Sm}{S1}{S2}{S3} ... {SM}으로 표현한다면 다음의 과정을 통해 대각합의 결과를 이해할 수 있다.

우선, {Sm}m 중에서 m=2와 관련된 부분 부터 고려하는 다음의 식을

행렬 곱의 표기법을 적용해서 풀이해보자.

{S1}{S2}T12T23={S1}T213

이어서, m=3과 관련된 부분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풀이해보자.

{S1}{S3}T213T34={S1}T314

이러한 방식대로 m=M인 합 계산( )까지 진행하면, 주기적 경계 조건에 따라서 다음을 얻게 된다.

{S1}{SM}TM11,M TM,M+1={S1}{SM}TM11,M TM,1={S1}TM1,1

이때, 위 식의 마지막 결과에서 TM1,1S1에 대하여 합해주는 것은 TM의 대각합을 구하는 것이므로 Tr(TM)과 같다.

앞서 언급된 전달 행렬 정의의 수식을 이용해서

Tm,m+1(Sm,1,Sm,2,Sm+1,1,Sm+1,2)exp[K(Sm,1Sm+1,1+Sm,2Sm+1,2+Sm,1Sm,2+Sn,1Sm+1,2)]

행렬의 각 성분에 대입해주면 다음과 같다.

Tm,m+1=(e4K11111e4K11e4K11111e4K)T

앞서 우리는 Z=Tr(TM)의 결과를 얻었으므로, T

대각 성분만을 갖는 대각 행렬 D에 대해 T=UDU1 으로 '대각선화(대각화, diagonalization)' 해준다면

TM=UDMU1이 성립한다. (UU1=U1U=E, E : 단위 행렬)

이때, 다음과 같은 대각합의 성질에 따르면

Tr(ABC)=Tr(BCA)=Tr(CAB)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

Tr(TM)=Tr(UDMU1)=Tr(DMU1U)=Tr(DM)

즉, 대각 성분만을 갖는 행렬 DM번 거듭 곱셈한 결과는 D의 각 대각 성분들에 M 거듭 제곱을 취해준 것과 같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DM을 구하면 보다 쉽게 대각합을 구할 수 있다.

분배 함수 Z를 구하기 위한 행렬 D는 (Mathematica 등의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으며

크기가 큰 순서대로 고유값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λ1=12e4K(1+2e4K+e8K+1+14e8K+e16K), λ2=1+e4K,λ3=12e4K(1+2e4K+e8K1+14e8K+e16K), λ4=1e4K

D의 대각 성분들을 구했으므로, Z=Tr(TM)=Tr(DM)의 식을 이용하여

Z=Tr(TM)=λM1+λM2+λM3+λM4

위와 같이 분배 함수 Z를 구할 수 있다.

K의 값이 큰 경우에는, 이러한 4가지 값 중에서 (아래와 같이) 가장 크기가 큰 λ1λ2Z 값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Z=Tr(TM)=λM1+λM2+λM3+λM4λM1+λM2

Gun Sang Jeon, Fundamentals of Quantum Phase Transitions, 2023. Internal energy density of the critical three-state Potts model on the kagome lattice

  • 물리/사다리_2차원_이징_모형.1674702550.txt.gz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external 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