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단일_입자_양자역학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물리:단일_입자_양자역학 [2023/10/24 16:45] minwoo물리:단일_입자_양자역학 [2023/11/22 10:22] (current) minwoo
Line 8: Line 8:
 우선 '빛 보다 빠른 입자'를 '빛원뿔(light cone)'위에서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우선 '빛 보다 빠른 입자'를 '빛원뿔(light cone)'위에서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물리:그림_8.2_no_comment_.png?300|}}+{{:물리:lightcone1.png?250|}}
  
-즉, 특수상대성 이론에 위배되지 않는 (허용되는) 경로(time-like라고 부른다)는 원뿔의 안쪽에 해당하며 다음을 만족하는 것이다.+즉, 특수상대성 이론에 위배되지 않는 (허용되는) 경로(time-like라고 부른다)는 원뿔의 안쪽에 해당하며 다음을 만족하는 것이다. ($c=1$로 두었다.)
  
 $$ |x|^2 =t^2-(x^1)^2-(x^2)^2-(x^3)^2 >0 $$ $$ |x|^2 =t^2-(x^1)^2-(x^2)^2-(x^3)^2 >0 $$
Line 19: Line 19:
 $$ \\ $$ $$ \\ $$
 이때,  이때, 
-$ |x|^2 =t^2-(x^1)^2-(x^2)^2-(x^3)^2 <0 $의 경로(space-like라고 부른다)를 따라가는 경로는 허용가능하지 않는 것이다. +$ |x|^2 =t^2-(x^1)^2-(x^2)^2-(x^3)^2 <0 $의 경로(space-like라고 부른다)를 따라가는 경로는 허용지 않는 것이다. 
  
  
-그럼 해당 경로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양을 정의하고 +그럼, 다음과 같은 양을 정의하고 
  
 $$ \mathcal{A}=\langle \boldsymbol{x} |e^{-i\hat{H}t}| \boldsymbol{x}=0\rangle $$ $$ \mathcal{A}=\langle \boldsymbol{x} |e^{-i\hat{H}t}| \boldsymbol{x}=0\rangle $$
  
-$$ +해당 경로(space-like)에서 $| \mathcal{A}| ^2$이 0이 아닌지를 확인해보자. 
 + 
 +$$ \\ $$ 
 +===== $\mathcal{A}$ ===== 
 + 
 +$\mathcal{A}$를 운동량(momentum) 공간에서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다. 
 + 
 + 
 +$$
 \begin{align}  \begin{align} 
 \mathcal{A}=\langle \boldsymbol{x} |e^{-i\hat{H}t}| \boldsymbol{x}=0\rangle & \mathcal{A}=\langle \boldsymbol{x} |e^{-i\hat{H}t}| \boldsymbol{x}=0\rangle &
Line 34: Line 42:
 \end{align} \end{align}
 $$ $$
- 
-$| \mathcal{A}| ^2$이 0이 아닌지를 확인해보자. 
- 
 $$ \\ $$ $$ \\ $$
-첫 번째 줄에서는 완전 집합(complete set)의 성질인 $1=\int d^ep | \boldsymbol{p} \rangle \langle \boldsymbol{p}| $을 이용하였다.+ 
 +첫 번째 줄에서는 완전 집합(complete set)의 성질인 $1=\int d^3p | \boldsymbol{p} \rangle \langle \boldsymbol{p}| $을 이용하였다.
  
  
Line 62: Line 68:
 $$  $$ 
 \begin{align}  \begin{align} 
-\mathcal{A} &= \int _0 ^{2\pi} d\phi \int^\infty _0 \frac{d|\boldsymbol{p} |}{(2\pi)^3}|\boldsymbol{p}|^2 \int^{\pi} _{0} d\theta e^{i\boldsymbol{p}\cdot \boldsymbol{x}}e^{-iE_p t} \\+\mathcal{A} &= \int _0 ^{2\pi} d\phi \int^\infty _0 \frac{d|\boldsymbol{p} |}{(2\pi)^3}|\boldsymbol{p}|^2 \int^{\pi} _{0} d\theta\ \sin\theta e^{i\boldsymbol{p}\cdot \boldsymbol{x}}e^{-iE_p t} \\
 &= \int _0 ^{2\pi} d\phi \int^\infty _0 \frac{d|\boldsymbol{p} |}{(2\pi)^3}|\boldsymbol{p}|^2 \int^{-1} _{1} (-du) e^{i|\boldsymbol{p}||\boldsymbol{x}|u}e^{-iE_p t} \\ &= \int _0 ^{2\pi} d\phi \int^\infty _0 \frac{d|\boldsymbol{p} |}{(2\pi)^3}|\boldsymbol{p}|^2 \int^{-1} _{1} (-du) e^{i|\boldsymbol{p}||\boldsymbol{x}|u}e^{-iE_p t} \\
 &= \frac{1}{{(2\pi)^3}}\int _0 ^{2\pi} d\phi \int^\infty _0  d|\boldsymbol{p} |\ |\boldsymbol{p}|^2 \int^{1} _{-1} du e^{i|\boldsymbol{p}||\boldsymbol{x}|u}e^{-iE_p t} \\ &= \frac{1}{{(2\pi)^3}}\int _0 ^{2\pi} d\phi \int^\infty _0  d|\boldsymbol{p} |\ |\boldsymbol{p}|^2 \int^{1} _{-1} du e^{i|\boldsymbol{p}||\boldsymbol{x}|u}e^{-iE_p t} \\
Line 78: Line 84:
 구면 좌표계의 야코비안(Jacobian)이 $r^2 \sin\theta $임을 참고하자. 구면 좌표계의 야코비안(Jacobian)이 $r^2 \sin\theta $임을 참고하자.
  
-$$ \\ $$ 
-(참고로, 위의 계산에서 아직 $ |x|^2 =t^2-(x^1)^2-(x^2)^2-(x^3)^2 <0 $라는 조건은 대입하지 않았다.) 
 $$ \\ $$ $$ \\ $$
 위에서 마지막 줄의 적분식을 두 항으로 분리한 뒤, 적분 범위를 아래와 같이 바꿔주면 보다 간단해진다. 위에서 마지막 줄의 적분식을 두 항으로 분리한 뒤, 적분 범위를 아래와 같이 바꿔주면 보다 간단해진다.
  
-$$ +$$
 \begin{align}  \begin{align} 
 \mathcal{A} & \frac{-i}{(2\pi)^2|\boldsymbol{x}|}\int^\infty _0 d|\boldsymbol{p} |\ |\boldsymbol{p}|  \mathcal{A} & \frac{-i}{(2\pi)^2|\boldsymbol{x}|}\int^\infty _0 d|\boldsymbol{p} |\ |\boldsymbol{p}| 
Line 110: Line 114:
 위의 적분을 풀이하는 수학적인 방법은 복소(complex) 적분이다. 위의 적분을 풀이하는 수학적인 방법은 복소(complex) 적분이다.
  
-===== $\mathcal{A}$ : 복소 적분 =====+=====  복소 적분 =====
  
 우리가 계산하고자 하는 적분은 $|\boldsymbol{p}|$의 $-\infty$ 부터 $\infty$까지의 범위에 대한 적분이므로 우리가 계산하고자 하는 적분은 $|\boldsymbol{p}|$의 $-\infty$ 부터 $\infty$까지의 범위에 대한 적분이므로
Line 121: Line 125:
 $$ $$
  
- +{{:물리:fig_a.png?250|}}
-{{:물리:그림_8.3_a_.png?250|}}+
  
 (허수축이 $\pm im$에서 잘린(cut) 이유는, 시간 연산자(time operator)의 고유값에 해당하는 $e^{-iE_pt}$의 지수는 허수이기 때문이다. (허수축이 $\pm im$에서 잘린(cut) 이유는, 시간 연산자(time operator)의 고유값에 해당하는 $e^{-iE_pt}$의 지수는 허수이기 때문이다.
Line 142: Line 145:
 이때, 다음의 그림의 닫힌 곡선 안에서는 특이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때, 다음의 그림의 닫힌 곡선 안에서는 특이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물리:그림_8.3_b_.png?250|}}+{{:물리:fig_b.png?250|}}
  
 따라서 우리의 적분을 반원 위쪽을 지나는 경로에 대한 적분으로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우리의 적분을 반원 위쪽을 지나는 경로에 대한 적분으로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
 +$$ \\ $$ 
 +또한, 반원의 크기가 커질수록 그 반원을 지나는 적분의 (총 적분에 대한) 기여분은 $0$에 근접한다.
  
 $$ \\ $$ $$ \\ $$
-또한, '조르당의 보조 정리(Jordan’s lemma)'에 따르면, 반원의 크기가 커질수록+따라서, '조르당의 보조 정리(Jordan’s lemma)'에 따르면, 유의미한 적분 경로는 아래의 그림과 같다.
  
-반원을 지나는 적분의 (총 적분에 대한) 기여분은 $0$에 근접한다.+{{:물리:fig_c.png?250|}}
  
 ('조르당의 보조 정리'는 이번 게시글 맨 아래에 보충 설명하였다.) ('조르당의 보조 정리'는 이번 게시글 맨 아래에 보충 설명하였다.)
- 
  
 $$ \\ $$ $$ \\ $$
-따라서, 유의미한 적분 경로는 아래의 그림과 같다.+따라서, $\mathcal{A}$에 대한 적분 식을 다음과 같이 바꿀 수 있다.
  
-{{:물리:그림_8.3_c_.png?250|}}+$$ 
 +\begin{align} 
 +\mathcal{A}  & \frac{-i}{(2\pi)^2|\boldsymbol{x}|}\left(\int^\infty _{-\infty } d|\boldsymbol{p} |\ |\boldsymbol{p}|  
 +  e^{i|\boldsymbol{p}||\boldsymbol{x}|} \ e^{-it\sqrt{|\boldsymbol{p}|^2 + m^2}}  \right)  \\
  
 +& \frac{-i}{(2\pi)^2|\boldsymbol{x}|} \bigg[\left(\int^m_{\infty } d(iz)\  iz 
 +  e^{-z|\boldsymbol{x}|} \ e^{-t\sqrt{z^2 - m^2}}  \right)  \\
 +  & \qquad \qquad  \ \ + \bigg[\left(\int^\infty_{m} d(iz)\  iz 
 +  e^{-z|\boldsymbol{x}|} \ e^{ t\sqrt{z^2 - m^2}}  \right)  \bigg]\\
  
 +& \frac{ i}{(2\pi)^2|\boldsymbol{x}|} \bigg[-\left(\int^{\infty }_m dz\  z 
 +  e^{-z|\boldsymbol{x}|} \ e^{-t\sqrt{z^2 - m^2}}  \right)  \\
 +  & \qquad \qquad  \ \ + \bigg[\left(\int^\infty_{m} dz\  z 
 +  e^{-z|\boldsymbol{x}|} \ e^{ t\sqrt{z^2 - m^2}}  \right)  \bigg] \\
 +
 +& \frac{i}{(2\pi)^2|\boldsymbol{x}|} \int_m^\infty dz \ ze^{-z|\boldsymbol{x}|}\left( e^{t\sqrt{z^2-m^2}}-e^{-t\sqrt{z^2-m^2}}
 +\right) \\
 +
 +&= \frac{i}{2\pi^2|\boldsymbol{x}|} \int_m^\infty dz \ ze^{-(z-m)|\boldsymbol{x}|} \sinh\left(t\sqrt{z^2-m^2}\right)
 +\\ \\
 +
 +& \quad \quad \quad \left(\because \sinh(x) = \frac{e^{x}-e^{-x}}{2}\right)
 +\end{align}
 +$$
 +
 +위의 적분에서, 복소 평면 상의 2사분면에서는 $e^{t\sqrt{z^2-m^2}}$의 지수가 음수인데, 이는 $z$의 크기가 커질수록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성이 반영된 것이고
 +
 +1사분면에서는 $e^{t\sqrt{z^2-m^2}}$의 지수가 양수로서 $z$의 크기가 커질수록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성이 반영된 것이다.
 +
 +(이에 대한 수학적인 이유는 아래의 '조르당의 보조 정리'에서 함께 설명하였다.)
 +
 +
 +$$ \\ $$
 +위의 적분 경로에 대해서 피적분함수는 양의 부호를 갖는다. 따라서, $|\mathcal{A}|^2$은 $0$이 아닌 값을 갖게 된다. 
 +
 +이는 단일입자로 기술되는 양자역학은 더 이상 적절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 \\ $$ $$ \\ $$
Line 166: Line 204:
 조르당의 보조 정리란,  조르당의 보조 정리란, 
  
-$ (1) a>0 $ 이며+$ (1)\ \gamma >0 $ 이며
  
-$ (2) f(z) $가 $\lim_{R \to \infty} |f(Re^{i\theta})|=0$을 만족하는(well-behaved) 함수일 때,+$ (2)f(\tilde{z}) $가 $\lim_{R \to \infty} |f(Re^{i\theta})|=0$을 만족하는(well-behaved) 함수일 때,
  
  
 '무한한 크기를 가지며 양의 허수축에 정의되는 반원'을 따라서 다음의 적분을 계산한 결과는 $0$이라는 것이다. '무한한 크기를 가지며 양의 허수축에 정의되는 반원'을 따라서 다음의 적분을 계산한 결과는 $0$이라는 것이다.
  
-$$ \int_{-\infty}^{\infty} dz\ f(z)e^{iaz}$$+$$ \int_{-\infty}^{\infty} d\tilde{z}\ f(\tilde{z})e^{i\gamma \tilde{z}}$$
  
 $$ \\ $$ $$ \\ $$
-앞서 설명한 경우에서는, 아래의 적분에서+앞서 설명한 경우에서는, 아래의 적분에서 $|\boldsymbol{p}|=a+ib$로 두었을 때 
  
 $$  $$ 
-\mathcal{A}  =  \frac{-i}{(2\pi)^2|\boldsymbol{x}|}\left(\int^\infty _{-\infty } d|\boldsymbol{p} |\ |\boldsymbol{p}|  +\begin{align} 
-  e^{i|\boldsymbol{p}||\boldsymbol{x}|} \ e^{-it\sqrt{|\boldsymbol{p}|^2 + m^2}}  \right)  \\+\mathcal{A}  &=  \frac{-i}{(2\pi)^2|\boldsymbol{x}|}\left[\int^\infty _{-\infty } d|\boldsymbol{p} |\ |\boldsymbol{p}|  
 +  e^{i|\boldsymbol{p}||\boldsymbol{x}|} \ e^{-it\sqrt{|\boldsymbol{p}|^2 + m^2}}  \right]  \\ 
 +   
 +& = \frac{-i}{(2\pi)^2|\boldsymbol{x}|}\left[\int^\infty _{-\infty } d|\boldsymbol{p} | \ |\boldsymbol{p}| e^{-it\sqrt{(a^2+b^2+2iab) + m^2}} \  
 +  e^{i|\boldsymbol{p}||\boldsymbol{x}|} \right] \\ 
 +  
 +\end{align}
 $$ $$
  
-$a$가 $|x|$이고 $f(z)$는 $|\boldsymbol{p}| e^{-it\sqrt{|\boldsymbol{p}|^2 + m^2}}$에 대응된다.+$\gamma $가 $|x|$이고 $f(\tilde{z})$는 $|\boldsymbol{p}| e^{-it\sqrt{(a^2+b^2+2iab) + m^2}}$에 대응된다.
  
-$|x|$는 공간(space)에 대해 정의되는 값으로서 $0$보다 크고, 함수 $|\boldsymbol{p}| e^{-it\sqrt{|\boldsymbol{p}|^2 + m^2}}$의 값을 $|p|=z=Re^{i\theta}$로 두고 $R$의 값을 증가시켜서 보면+$$\\$$
  
-$z$의 허수부의 값도 증가할 것이다. 따라, 아래와 같이 그 허수부의 영을 살펴보+$R$의 증가에 의해서 감소하는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복소 평면 상에서 $a<0, \ b>0$인 영역과 $a>0, \ b>0$인 각각의 영역에서 $a,b$가 증가할 때 (점점 큰 반지름 $\sqrt{a^2+b^2}$을 갖는 반원 위의 경로에서)
  
 +$(a+ib) e^{-it\sqrt{(a^2+b^2+m^2)+i(2ab)}}$이 어떠한 경향성을 보이는지 확인하자.
 +
 +$$ \\ $$
 +
 +==== $(i)\ \ a<0,\ b>0, \ \sqrt{a^2+b^2} \gg 1$ ====
 +
 +오일러 공식을 통한 극좌표 형식으로, 아래의 복소수를 바꿔서 표현해보자.
 +
 +$$((a^2-b^2+m^2) +i(2ab))=Ae^{i\theta}$$
 +
 +이때, $A=\sqrt{(a^2-b^2+m^2)^2 + 4a^2b^2}$이며, 위상(phase)각은 다음과 같다.
 +
 +$$ \theta = \begin{cases}
 +  \tan^{-1}\left(\frac{2ab}{a^2-b^2+m^2}\right)  & \text{for } (a^2-b^2+m^2)>0\\    
 +  \pi + \tan^{-1}\left(\frac{2ab}{a^2-b^2+m^2}\right)  & \text{for } (a^2-b^2+m^2)<0, \ ab\ge 0\\ 
 +  -\pi + \tan^{-1}\left(\frac{2ab}{a^2-b^2+m^2}\right)  & \text{for } (a^2-b^2+m^2)<0, \ ab<0\\ 
 +  \frac{\pi}{2} & \text{for } (a^2-b^2+m^2)=0, \ ab>0\\ 
 +  -\frac{\pi}{2} & \text{for } (a^2-b^2+m^2)=0, \ ab<0
 +\end{cases}
 $$ $$
-\exp\left[{-it\sqrt{{\text{\{i(Im[z])}\}}^2 + m^2}}\right]=\exp\left[{-it\sqrt{-\text{Im}[Re^{i\theta}]+ m^2}}\right]\\ 
  
-=\exp\left[{-it\sqrt{-R\sin \theta +m^2}}\right] \\+이때, 우선 $e^{-it\sqrt{(a^2+b^2+m^2)+i(2ab)}}$만을 극좌표 형식으로 바꿔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exp\left[{-t\sqrt{R\sin \theta - m^2}}\right] \\ 
  
-(\because i=\sqrt{-1})+$$ 
 + \exp\left[{-it\sqrt{Ae^{i\theta}}}\right] 
 + =\exp\left[{-it\ \sqrt{A}e^{i\frac{\theta}{2} }}\right]\\ 
 + =\exp\left[t\sqrt{A}\sin(\theta/2) -it\sqrt{A}\cos(\theta/2)\right] \\ 
 + =\exp\left[t\sqrt{A}\sin(\theta/2) \right]\exp\left[ -it\sqrt{A}\cos(\theta/2)\right] 
 $$ $$
  
-이므로$R\to\infty$의 극한에서 해당 값은 $0$다.+따라서, ($t>0$이므로) 결국 $\sin(\theta/2)$의 부호가 $e^{-it\sqrt{(a^2+b^2+m^2)+i(2ab)}}$의 경향성을 결정한다.
  
 +$(i)$의 경우에 대해서, $a<0, \ b>0$이며 $\sqrt{a^2+b^2} \gg 1$인 경우이므로
  
 +$ab<0$라는 공통적인 조건을 갖는 상황에서, 아래와 같이 2가지 경우의 극한에 대해서 확인해볼 수 있다.
  
 +$$ \\ $$
 +===$(1) \ a \gg b, \sqrt{a^2+b^2} \to \infty$ ===
 +
 +이 경우, 위에서 살펴본 위상각($\theta$)의 정의를 참고하면
 +
 +$\tan^{-1}\left(\frac{2ab}{a^2-b^2+m^2}\right) $의 $a^2-b^2+m^2$이 양수임을 알 수 있다.
  
 +또한, $a \gg b$이며 $\sqrt{a^2+b^2} \to \infty$의 극한을 고려한다면, $\theta = \tan^{-1}\left(\frac{2ab}{a^2-b^2+m^2}\right)$는 $0$에 가까운 음의 값을 갖게 될 것이다. ($\because ab<0$)
  
 $$ \\ $$ $$ \\ $$
 +그 경우에 $\sin(\theta/2)$의 부호도 음수이므로, 해당 경우에 
 +
 +$\exp\left[t\sqrt{A}\sin(\theta/2) \right]\exp\left[ -it\sqrt{A}\cos(\theta/2)\right]$는 
 +(해당 경우에서 $A=\sqrt{(a^2-b^2+m^2)^2 + 4a^2b^2}$가 증가하므로) 
 +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항이다.
 +
 +$$ \\ $$
 +===$(2) \ a \ll b, \sqrt{a^2+b^2} \to \infty$ ===
 +
 +이 경우는 $\tan^{-1}\left(\frac{2ab}{a^2-b^2+m^2}\right) $의 $a^2-b^2+m^2$이 음수의 값을 갖는다.
 +
 +
 +이때, $\sqrt{a^2+b^2}\to \infty$의 극한에서  $-\pi+\tan^{-1}\left(\frac{2ab}{a^2-b^2+m^2}\right)$는 $-\pi$에 가까운 값을 갖는다. 표현하자면, $-\pi +\epsilon$이며, $\epsilon$은 어떤 양의 실수이다.
 +
 +$$ \\ $$
 +따라서, 위상각 $\theta$는 (위에서 살펴본 식에 의하면, $\{2ab/(a^2-b^2+m^2)\}$의 부호에 따라서) $-\pi/2$ 또는 $-3\pi/2$에 가까운 값을 갖는다.
 +
 +$$ \\ $$
 +따라서, $\sin(\theta/2)$의 부호는 음수이므로, 해당 경우에 
 +
 +$\exp\left[t\sqrt{A}\sin(\theta/2) \right]\exp\left[ -it\sqrt{A}\cos(\theta/2)\right]$는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항이다.
 +
 +$$ \\ $$
 +
 +==== $(ii)\ \ a>0,\ b>0, \ \sqrt{a^2+b^2} \gg 1$ ====
 +
 +이번에는 $a$와 $b$가 둘 다 양수인 경우로서 $ab>0$인 경우를 살펴보고자 한다.
 +
 +
 +===$(1) \ a \ll b, \sqrt{a^2+b^2} \to \infty$ ===
 +
 +이 경우는 $\tan^{-1}\left(\frac{2ab}{a^2-b^2+m^2}\right) $의 $a^2-b^2+m^2$이 음수의 값을 갖는다.
 +
 +
 +마찬가지로 확인해보자면, $\sqrt{a^2+b^2}\to \infty$의 극한에서  $\theta = \pi+\tan^{-1}\left(\frac{2ab}{a^2-b^2+m^2}\right)$는 $\pi$에 가까운 값을 갖는다.
 +
 +따라서, $\theta = \pi -\epsilon$이며, $\epsilon$은 어떤 양의 실수이다.
 +
 +$$ \\ $$
 +그 경우에 $\sin(\theta/2)$의 부호는 양수이므로,
 +
 +$\exp\left[t\sqrt{A}\sin(\theta/2) \right]\exp\left[ -it\sqrt{A}\cos(\theta/2)\right]$는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항이다.
 +
 +$$ \\ $$
 +===$(2) \ a \gg b, \sqrt{a^2+b^2} \to \infty$ ===
 +
 +이 경우는 $\tan^{-1}\left(\frac{2ab}{a^2-b^2+m^2}\right) $의 $a^2-b^2+m^2$이 양수의 값을 갖는다.
 +
 +확인해보자면, $\sqrt{a^2+b^2}\to \infty$의 극한에서  $\theta =  \tan^{-1}\left(\frac{2ab}{a^2-b^2+m^2}\right)$는 $0$에 가까운 양의 값을 갖는다.
 +
 +$$ \\ $$
 +그 경우에 $\sin(\theta/2)$의 부호는 양수이므로,
 +
 +$\exp\left[t\sqrt{A}\sin(\theta/2) \right]\exp\left[ -it\sqrt{A}\cos(\theta/2)\right]$도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항이다.
 +
 +$$ \\ $$
 +==== 지수적 증가 : 해당 적분 계산에서 중요하지 않은 이유 ====
 +
 +우리는 위에서 $e^{-it\sqrt{|\boldsymbol{p}|^2 + m^2}} = e^{-it\sqrt{(a^2+b^2+m^2)+i(2ab)}}$의 항이 지수적으로 감소하는지, 증가하는지를 확인해보았고
 +
 +$a<0,\ b>0$일 때는 지수적으로 감소하지만, $a>0, \ b>0$인 경우에는 지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
 +$$ \\ $$
 +다만,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도 피적분함수는 발산하지 않는다. 조르당의 보조 정리를 언급한 부분에서의 수식은 다음과 같았다.
 +
 +\begin{align}
 +\mathcal{A} & \frac{-i}{(2\pi)^2|\boldsymbol{x}|}\left[\int^\infty _{-\infty } d|\boldsymbol{p} |\ |\boldsymbol{p}| 
 +  e^{i|\boldsymbol{p}||\boldsymbol{x}|} \ e^{-it\sqrt{|\boldsymbol{p}|^2 + m^2}}  \right]  \\
 +&= \frac{-i}{(2\pi)^2|\boldsymbol{x}|}\left[\int^\infty _{-\infty } d|\boldsymbol{p} |\ |\boldsymbol{p}| 
 +  e^{i(\alpha |\boldsymbol{p}||\boldsymbol{x}|)} \ e^{-i\{(\alpha -1)|\boldsymbol{p}||\boldsymbol{x}| + t\sqrt{|\boldsymbol{p}|^2 + m^2}\}} \right] 
 +\end{align}
 +
 +여기에서 $\alpha$는 꽤 작은 수여서, $1-\alpha$가 $1$에 매우 가까운 상수라고 하자.
 +
 +이때, $e^{-it\sqrt{(a^2+b^2+m^2)+i(2ab)}}$의 지수적인 감소 또는 증가를 결정하는 것은 
 +
 +$$
 +\exp\left[t\sqrt{A}\sin(\theta/2) \right]\\
 +=\exp\left[t\sqrt{\sqrt{(a^2-b^2+m^2)^2 + 4a^2b^2}}\sin(\theta/2)\right]
 +$$
 +이다.
 +
 +$$ \\ $$
 +여기에서, $ab>0$이며 $a\gg b$인 경우에서는
 +
 +$\exp\left[t\sqrt{\sqrt{(a^2-b^2+m^2)^2 + 4a^2b^2}}\sin(\theta/2)\right]$의 크기 정도는 $\exp\left[t\{a\sin(\theta/2)\}\right]$인데, 
 +
 +$a\gg b, \sqrt{a^2+b^2}\to \infty$인 경우는 $2ab/(a^2-b^2 +m^2)\approx 0 $이며 $\theta \approx 0$이었다. 따라서, 작은각 근사와 테일러 전개(Taylor expansion)을 다음과 같이 이용하면
 +
 +$$
 +\sin(\theta/2) = \theta/2-\mathcal{O}(\theta^3)\\
 +\approx \frac{1}{2}\tan^{-1}\left(\frac{2ab}{a^2-b^2+m^2}\right) \\
 +\approx \frac{ab}{a^2-b^2+m^2}
 +$$
 +이 되므로, $a$의 발산으로 인해 해당 $\exp$항이 발산하지 않는다.
 +
 +따라서,  $e^{-i\{(\alpha -1)|\boldsymbol{p}||\boldsymbol{x}|\}}$의 $e^{-\{1-\alpha\} b|\boldsymbol{x}| }$에 의해 지수적으로 감소한다.
 +
 +$$ \\ $$
 +
 +한편, $ab>0$이며 $a\ll b$인 경우에서는 $\theta$에 대해서 곧바로 작은각 근사를 적용할 수 없다. ($\because \theta \approx \pi$)
 +
 +또한, $b \gg a$인 경우이므로 $\exp\left[t\sqrt{\sqrt{(a^2-b^2+m^2)^2 + 4a^2b^2}}\sin(\theta/2)\right]$의 크기 정도는 $\exp\left[t\{b\sin(\theta/2)\}\right]$이다.
 +
 +$$ \\ $$
 +다만, 전체 피적분함수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다.
 +
 +$$
 +f(\tilde{z})=|a+ib| e^{-i\{(\alpha -1)|\boldsymbol{p}||\boldsymbol{x}|} e^{-it\sqrt{(a^2+b^2+m^2)+i(2ab)}}\\
 +\propto |a+ib|\exp\left[-\{1-\alpha\}b|\boldsymbol{x}|+bt\sin(\theta/2)\right]
 +$$
 +
 +이때, 우리가 고려하는 적분 경로는 $|\boldsymbol{x}| > t$로서, 특수 상대성이론을 위배하는 경우이다.
 +
 +또한 $\theta$는 $\pi$ 보다 작은 수이다.
 +
 +$$ \\ $$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서도 $b>0$에서 반원의 반지름이 커짐에 따라 피적분함수는 증가하지 않고, 지수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
 +그렇기에 앞선 과정에서 처럼 조르당의 보조 정리를 사용할 수 있다.
 +
 +
 ====== 참고문헌 ====== ====== 참고문헌 ======
 +
 1. Tom Lancaster and Stephen J. Blundell, Quantum Field Theory for the Gifted Amateur, 2014. 1. Tom Lancaster and Stephen J. Blundell, Quantum Field Theory for the Gifted Amateur, 2014.
 +
 +2. Jack Gunion and U.C. Davis, Class Notes for Quantum Field Theory: Section I.
 +
  • 물리/단일_입자_양자역학.1698133507.txt.gz
  • Last modified: 2023/10/24 16:45
  • by minw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