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복제_대칭성_깨짐_해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물리:복제_대칭성_깨짐_해 [2022/12/09 15:01] jiwon물리:복제_대칭성_깨짐_해 [2023/02/12 18:18] – [1차 복제 대칭성 깨짐] admin
Line 108: Line 108:
 \end{eqnarray} \end{eqnarray}
  
-[[수학:코시-슈바르츠 부등식]]에 의해 $q_1 \ge q_0$이다. $m_1$에 대해서도 최소화가 되어야 하지만 이 계산은 뒤에 쓰이지 않으므로 생략한다.+[[수학:코시-슈바르츠 부등식]]에 의해 $q_1 \ge q_0$이다. $m_1$에 대해서도 최소화가 되어야 한다.
  
 $J_0=h=0$일 때 $\Xi$는 $u$, $v$에 대해 홀함수이므로, 위 적분 표현식으로부터 $m=0$임을 알 수 있다. $J_0=h=0$일 때 $\Xi$는 $u$, $v$에 대해 홀함수이므로, 위 적분 표현식으로부터 $m=0$임을 알 수 있다.
 $q_1$에 대한 바로 앞의 식에서 $q_0$와 $q_1$이 작다고 놓고 우변을 전개하면 첫 항이 $\beta^2 J^2 q_1$이므로 $q_1$은 $T<T_f=J$에서 양수가 된다. 이는 복제대칭해에서 본 것과 동일한 결과이다. $q_1$에 대한 바로 앞의 식에서 $q_0$와 $q_1$이 작다고 놓고 우변을 전개하면 첫 항이 $\beta^2 J^2 q_1$이므로 $q_1$은 $T<T_f=J$에서 양수가 된다. 이는 복제대칭해에서 본 것과 동일한 결과이다.
 +
 +===물리량들===
 +
 +자유에너지를 $\beta$에 대해 미분함으로써 내부 에너지를 구할 수 있다. $J_0=0$으로 놓으면
 +\begin{equation}
 +U = \frac{\partial(\beta f_\text{1RSB})}{\partial \beta}
 += \frac{\beta J^2}{2}(1-m_1) q_1^2 + \frac{\beta J^2}{2} m_1 q_0^2 - \frac{\beta J^2}{2}
 +\end{equation}
 +이며, 미분과정에서는 $q_0$, $q_1$로 미분할 때 사용했던 식들을 가져다 썼다.
 +
 +나아가 $h=0$이면 앞에서 $m=0$인 것과 같은 논법으로 $q_0=0$임도 논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자유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begin{equation}
 +\beta f_\text{1RSB} = \frac{\beta^2 J^2}{4} \left[ (m_1-1)q_1^2 + 2q_1 -1 \right] - \frac{1}{m_1} \int Du \ln \int Dv \left[ 2\cosh \left( \beta J \sqrt{q_1} v \right) \right]^{m_1}.
 +\end{equation}
 +
 +그런데
 +\begin{equation}
 +I \equiv \int Dz \left[ 2\cosh\left(z \lambda)\right) \right]^{m_1}
 +\end{equation}
 +이라 할 때 $2\cosh(x) \approx \exp [x \times \text{sgn}(x)]$임을 통해 $\lim_{\lambda \to \infty} I = 2\exp(m_1^2 \lambda^2/2)$이므로
 +\begin{eqnarray}
 +\beta f_\text{1RSB} &\approx& \frac{\beta^2 J^2}{4} \left[ (m_1-1)q_1^2 + 2q_1 -1 \right] - \frac{1}{m_1} \int Du \ln \left\{ 2\exp(m_1^2 \beta^2 J^2 q_1/2) \right\}\\
 +&=& \frac{\beta^2 J^2}{4} \left[ (m_1-1)q_1^2 + 2q_1 -1 \right] - \frac{\beta^2 J^2}{2} m_1 q_1 - \frac{\ln 2}{m_1}.
 +\end{eqnarray}
 +
 +$m_1$으로 미분했을 때 0이 되는 조건으로부터
 +\begin{equation}
 +m_1 = \frac{2\sqrt{\ln 2}}{\beta J} \frac{1}{\sqrt{1-(1-q_1)^2}}
 +\end{equation}
 +을 결정할 수 있다. 이 식은 $T \to 0$에서 $m_1 \to 0$임을 보여준다.
 +
 +앞에서 [[물리:복제 대칭 해|복제대칭성을 가정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q_1 = 1-aT$라고 가정하자.
 +온도 $T$를 충분히 작게 잡은 후 적절한 초기값, 예를 들어 $m=0$과 $q_1=1$에서 출발하여, $m_1$에 대한 위의 식과 $q_1$에 대한 아래의 식
 +\begin{equation}
 +q_1 = \int Du \frac{\int Dv \cosh^{m_1}\left(\beta J \sqrt{q_1}\right) \tanh^2 \left(\beta J \sqrt{q_1}\right)}{\int Dv \cosh^{m_1}\left(\beta J \sqrt{q_1}\right)}
 +\end{equation}
 +을 반복해서 적용함으로써 수렴되는 해 $(m_1, q_1)$를 찾고 $a$의 크기를 가늠할 수 있다. [[물리:복제 대칭 해|복제대칭성을 가정했을 때]]와 마찬가지 근사를 써서 $-\beta [f]$를 적은 후 엔트로피 부분을 $a$의 함수로 적어보면 $S \approx J^2 a^2 / (4k_B) - Ja/\sqrt{2\pi}$이다. 여기에 방금 구한 $a$를 대입하면 $S \approx -0.04 k_B$를 얻는다. 이는 여전히 음수여서 물리적이지 않지만, [[물리:복제 대칭 해]]의 $-0.16k_B$에 비해 개선된 값이다. (계산된 엔트로피 값은 [[https://arxiv.org/abs/1506.07128|이 문서]]의 Fig. 3과 부합한다.)
 +
 +
 ====해의 안정성==== ====해의 안정성====
 1차 복제 대칭성 깨짐 해의 안정성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헤세 행렬의 세 번째 고윳값 $\lambda_3 = P-2Q-R$의 부호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J_0=h=0$로 둘 것이고, 다음 몇 가지 경우를 확인해보자. 1차 복제 대칭성 깨짐 해의 안정성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헤세 행렬의 세 번째 고윳값 $\lambda_3 = P-2Q-R$의 부호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J_0=h=0$로 둘 것이고, 다음 몇 가지 경우를 확인해보자.
Line 317: Line 356:
 \frac1{48}\cdot8\sum_{\alpha\beta\gamma}Q_{\alpha\beta}Q_{\gamma\delta}Q_{\mu\nu} = \frac16\text{Tr}\,Q^3 \frac1{48}\cdot8\sum_{\alpha\beta\gamma}Q_{\alpha\beta}Q_{\gamma\delta}Q_{\mu\nu} = \frac16\text{Tr}\,Q^3
 \end{align*} \end{align*}
-만큼 기여한다.+만큼 기여한다.\\
 4. $k=4$ 4. $k=4$
 +\begin{align*}
 +&\frac1{2^n}\frac1{24}\text{Tr}\left(\sum_{\alpha<\beta}Q_{\alpha\beta}S^\alpha S^\beta\right)^4\\
 +=&\frac1{2^n}\frac1{24\times16}\sum_{\alpha\neq\beta}\sum_{\gamma\neq\delta}\sum_{\mu\neq\nu}\sum_{\rho\neq\lambda}Q_{\alpha\beta}Q_{\gamma\delta}Q_{\mu\nu}Q_{\rho\lambda}\text{Tr}\left(S^\alpha S^\beta S^\gamma S^\delta S^\mu S^\nu S^\rho S^\gamma\right)
 +\end{align*}
 +마찬가지로 위 구속조건을 만족시키는 식의 형태는 $Q_{\alpha\beta}^4$, $Q_{\alpha\beta}^2Q_{\alpha\gamma}^2$, $Q_{\alpha\beta}Q_{\beta\gamma}Q_{\gamma\delta}Q_{\delta\alpha}$ 
 +세 가지가 존재하고, 각 항의 경우의 수는
  • 물리/복제_대칭성_깨짐_해.txt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