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아인슈타인_모형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물리:아인슈타인_모형 [2017/11/07 20:54] – [개요] minjae물리:아인슈타인_모형 [2020/11/25 22:27] – [통계역학적 접근에 따른 될롱-프티 법칙 유도] minjae
Line 19: Line 19:
  
 ====== 모형의 형태 ====== ====== 모형의 형태 ======
-아인슈타인의 기본적인 생각은 어느 하나의 원자가 자신과 이웃한 원자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조화 운동을 할 것이라는 볼츠만의 생각과 비슷했다. 그는 여기서 더 나아가 모든 원자들이 동일한 조화 진동자 우물(퍼텐셜)에 갇혀 있고 이 때의 진동를 $\omega$라고 가정하였다. 1차원에서 조화 진동자 하나의 에너지 고유값은+아인슈타인의 기본적인 생각은 어느 하나의 원자가 자신과 이웃한 원자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조화 운동을 할 것이라는 볼츠만의 생각과 비슷했다. 그는 여기서 더 나아가 모든 원자들이 동일한 조화 진동자 우물(퍼텐셜)에 갇혀 있고 이 때의 진동 모드를 $\omega$라고 가정하였다. 1차원에서 조화 진동자 하나의 에너지 고유값은
  
 $$ E_n = \hbar\omega(n+1/2) $$ $$ E_n = \hbar\omega(n+1/2) $$
  
-이다. 이 때 분배함수를 계산해보면+이다. 이 때 분배함수는 
 + 
 +\begin{align*} 
 +Z_{1D} &= \sum_{n\geq0}e^{-\beta\hbar\omega(n+1/2)} \\ 
 +&= \frac{e^{-\beta\hbar\omega/2}}{1-e^{-\beta\hbar\omega}} \\ 
 +&=\frac{1}{e^{\beta\hbar\omega/2}-e^{-\beta\hbar\omega/2}} \\ 
 +&= \frac{1}{2\sinh(\beta\hbar\omega/2)} 
 +\end{align*} 
 + 
 +이고 평균 에너지는 
 + 
 +\begin{align*} 
 +\langle E \rangle &= -\frac{1}{Z_{1D}}\frac{\partial Z_{1D}}{\partial\beta} \\ 
 +&= 2\sinh(\beta\hbar\omega/2)\frac{1}{2}\left[\sinh(\beta\hbar\omega/2)\right]^{-3/2}\cosh(\beta\hbar\omega/2)\frac{\hbar\omega}{2} \\ 
 +&=\frac{\hbar\omega}{2}\coth\left(\frac{\beta\hbar\omega}{2}\right) \\ 
 +&=\frac{\hbar\omega}{2}\frac{e^{\beta\hbar\omega/2} + e^{-\beta\hbar\omega/2}}{e^{\beta\hbar\omega/2} - e^{-\beta\hbar\omega/2}} \\ 
 +&=\frac{\hbar\omega}{2}\frac{e^{\beta\hbar\omega} + 1}{e^{\beta\hbar\omega} - 1} \\ 
 +&=\frac{\hbar\omega}{2}\left[ \frac{2 + e^{\beta\hbar\omega} - 1}{e^{\beta\hbar\omega} - 1} \right] \\ 
 +&=\hbar\omega\left( n_{B}(\beta\hbar\omega) + 1/2 \right) 
 +\end{align*} 
 + 
 +이 된다. 여기서 $n_B$는 보즈 점유 인자이며 
 + 
 +$$ n_B(x) = \frac{1}{e^x-1} $$ 
 + 
 +이다. 이 결과에서 진동 모드 $\omega$는 평균 $n_B^{th}$까지의 여기를 나타내거나 $n_B$개의 보손들이 점유하고 있는 보손 궤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앞서 구한 평균에너지 $\langle E \rangle$을 온도 $T$에 대해 미분하면 고체의 비열을 구할 수 있다. 
 + 
 +\begin{align*} 
 +C &= \frac{\partial}{\partial T} \left[ \hbar\omega\left\{ \frac{1}{e^{\beta\hbar\omega} - 1} + \frac{1}{2}\right\} \right] \\ 
 +&= \frac{\partial\beta}{\partial T}\frac{\partial}{\partial\beta} \left[ \hbar\omega\left\{ \frac{1}{e^{\beta\hbar\omega} - 1} + \frac{1}{2}\right\} \right] \\ 
 +&= \frac{1}{k_BT^2}\left[ (\hbar\omega)^2(e^{\beta\hbar\omega} - 1)^{-2}e^{\beta\hbar\omega} \right] \\ 
 +&= k_B(\beta\hbar\omega)^2\frac{e^{\beta\hbar\omega}}{(e^{\beta\hbar\omega} - 1)^2} 
 +\end{align*} 
 + 
 +높은 온도에서 즉, $\beta\rightarrow0$일 때, $C=k_B$임을 확인할 수 있다. 
 + 
 +3차원인 경우에 대해 위 과정을 반복해보면 
 + 
 +$$E_{n_x,n_y,n_z} = \hbar\omega[(n_x+1/2) + (n_y+1/2) + (n_z+1/2)]$$ 
 + 
 +이기 때문에 분배함수는 
 + 
 +$$Z_{3D} = \sum_{n_x,~n_y,~n_z~\geq~0} = e^{-\beta E_{n_x,~n_y,~n_z}} = [Z_{1D}]^3$$ 
 + 
 +로 3차원 고체의 평균 에너지가 간단히 $\langle E_{3D} \rangle = 3\langle E_{1D} \rangle$임을 알 수 있다. 
 + 
 +결론적으로 3차원 고체의 비열이 
 + 
 +$$C = 3k_B(\beta\hbar\omega)^2\frac{e^{\beta\hbar\omega}}{(e^{\beta\hbar\omega} - 1)^2}$$ 
 + 
 +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 통계역학적 접근에 따른 될롱-프티 법칙 유도 ====== 
 +이번에는 아인슈타인 모형에서 아인슈타인 온도보다 높은 고온에서 될롱-프티 법칙을 따라가는 것을 생각해보자. 여기서는 열원과 3차원 공간 상자가 연결된 계에서, 상자의 입자가 줄어들어 열원으로 돌아가는 에너지 $\mu$를 고려할 것이다. 그리고 이 에너지 $\mu$는 조절할 수 있는 양이라고 하자. 따라서 입자 하나당의 에너지는 $\epsilon - \mu$가 될 것이고, 전체 입자의 에너지는  
 +$$ 
 +E = \sum_an_a(\epsilon_a - \mu) = N\sum_a(\epsilon_a - \mu) 
 +$$ 
 +이다. 그리고 에너지를 가진 기체의 확률이 $e^{-\beta{E}}$에 비례한다고 하자. 분배 함수는 
 +$$ 
 +Z = e^{-\beta{g}} = \sum_{n_1,n_2,n_3,\cdots}\exp{\{-\beta[\sum_an_a(\epsilon_a - \mu)]\}} 
 +$$ 
 +이다. 여기서 $\beta = 1/k_BT$, $\sum_{n_1,n_2,n_3,\cdots}$은 $n_1$에서 $n_1$ 부터 $n$까지 더한 것, $n_2$에서 $n_1$ 부터 $n$까지 더한 것, $n_3$에서 $n_1$ 부터 $n$까지 더한 것을 의미한다. 다시말해, 
 +$$ 
 +\begin{align} 
 +    &= \sum_{n_1,n_2,n_3,\cdots}\exp{\{-\beta[n_1(\epsilon_1-\mu) + n_2(\epsilon_2 - \mu) + \cdots]\}} \\ 
 +    &= \sum_{n_1}[-\beta{n_1}(\epsilon_1-\mu)]\sum_{n_2}[-\beta{n_2}(\epsilon_2-\mu)] \cdots 
 +\end{align} 
 +$$ 
 +다음으로 보즈-아인슈타인 기체는 $n_a = 0,1,2,\cdots$를 가지므로 
 +$$ 
 +    \sum_{n_i}e^{-\beta{n_i}(\epsilon_i-\mu)} = \frac{1}{1-e^{-\beta(\epsilon_i-\mu)}} 
 +$$ 
 +이 된다. 따라서 분배 함수는 무한곱 표현으로 
 +$$ 
 +    Z = e^{-\beta{g}} = \prod_i\left(\frac{1}{1-e^{-\beta(\epsilon_i-\mu)}}\right) 
 +$$ 
 +이고 분배 함수의 g를 표현하게 되면 양변에 자연로그를 취하여 
 +$$ 
 +    g = \frac{1}{\beta}\sum_i\ln(1-e^{-\beta(\epsilon_i-\mu)}) 
 +$$ 
 +이제 3차원 공간 상자 안에 입자들이 자유롭게 움직인다고 생각해보자. 3차원 운동량 미소 공간 $d^3k$에서 특정 운동량을 가지는 모드의 수는 
 +$s(d^3p/(2\pi\hbar)^3)V$인데, 여기서 V는 부피이고, s는 가능한 스핀의 상태수이다. 한편 에너지는 
 +$$ 
 +    \epsilon = \frac{p^2}{2m} = \frac{\hbar^2k^2}{2m} 
 +$$ 
 +이므로 이것을 g에 대입하자. 그리고 g를 연속적인 수로 간주하여 적분형태로 바꾸자. 
 +$$ 
 +\begin{align} 
 +    g &= \frac{s}{\beta}\int{\ln(1-e^{-\beta(p^2/2m-\mu)}}\frac{d^3p}{(2\pi\hbar)^3}V \nonumber \\ 
 +    &= \frac{s}{\beta}\int{\ln(1-e^{-\beta{p^2/2m}}e^{\beta\mu})}\frac{d^3p}{(2\pi\hbar)^3}V 
 +\end{align} 
 +$$ 
 +그리고 밀도 $\rho$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begin{align} 
 +    \rho = \frac{<N>}{V} = -\frac{1}{V}\frac{\partial{g}}{\partial{\mu}} 
 +\end{align} 
 +이와 같은 식이 성립하는 이유는 $<N>$과 Z의 관계에 있다. (Z를 $\mu$에 대해 편미분하고, $<N>$이 N개 Mode의 평균이므로 아래의 
 +식과 비교하면 된다.) 
 +$$ 
 +    <N> = \frac{1}{Z}\sum{N}\exp{\{-\beta[\sum_an_a(\epsilon_a-\mu)]\}} 
 +$$ 
 +g를 앞에서 구했으므로 관계식에 따라서 밀도는 
 +$$ 
 +    \rho = s\int\frac{e^{-\beta{p^2/2m}}e^{\beta\mu}}{1-e^{-\beta{p^2/2m}}e^{\beta\mu}}\frac{d^3p}{(2\pi\hbar)^3} 
 +$$ 
 +으로 결정이 된다. 이제 밀도에 대한 적분을 계산해보자. 적분 계산을 위해서 아래와 같이 치환을 하자. 
 +$$ 
 +    \alpha = e^{\beta\mu}, \qquad x^2 = \beta{p^2}/2m \rightarrow p^2 = 2mx^2/\beta, \qquad dp = (2m/\beta)^{1/2}dx 
 +$$ 
 +그러면 밀도에 대한 적분은 다음과 같이 바뀐다. 
 +$$ 
 +\begin{align} 
 +    \rho &= s\int_0^{\infty}\frac{e^{-x^2}\alpha}{1-e^{-x^2}\alpha}\left[\frac{x^2}{2\pi^2\hbar^3}(\frac{2m}{\beta})^{3/2}\right]dx \\ 
 +    &= s\frac{1}{2}\frac{1}{2\pi^2\hbar^3}(\frac{2m}{\beta})^{3/2}\int_{-\infty}^{\infty}\frac{e^{-x^2}\alpha{x^2}}{1-e^{-x^2}\alpha}dx 
 +\end{align} 
 +$$ 
 +여기서 적분은 분모의 테일러 전개, 그리고 가우스 적분의 계산으로 
 +$$ 
 +\begin{align} 
 +    \int_{-\infty}^{\infty}\frac{e^{-x^2}\alpha{x^2}}{1-e^{-x^2}\alpha}dx &= \int{x^2(\alpha{e^{-x^2}}dx + \alpha^2{e^{-2x^2}}dx + \cdots)} \\ 
 +    &= \alpha + \frac{\alpha^2}{2^{3/2}} + \frac{\alpha^3}{3^{3/2}} + \cdots \\ 
 +    &= \sum_{n=1}^{\infty}\frac{\alpha^n}{n^{3/2}} 
 +\end{align} 
 +$$ 
 +마지막 항의 급수는 디리클레 급수(Dirichlet Series) 
 +$$ 
 +\zeta_r(\alpha) = \sum_{n=1}^{\infty}\frac{\alpha^n}{n^r} 
 +$$ 
 +이므로 밀도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 
 +\rho = s\left(\frac{mk_{\beta}T}{2\pi{h^2}}\right)^{3/2}\zeta_{3/2}(\alpha) 
 +$$ 
 +이제 계의 전체 에너지를 계산해보도록 하자. 전체 에너지 U는 
 +$$ 
 +U = -\frac{1}{Z}\frac{\partial{Z}}{\partial{\beta}} + \mu<N> = \frac{\partial{(\beta{g})}}{\partial{\beta}} + \mu<N> 
 +$$ 
 +이고 각 항별로 계산하면, 
 +$$ 
 +\begin{align}     
 +    \frac{\partial{(\beta{g})}}{\partial{\beta}} &= \frac{\partial}{\partial{\beta}}(s\int{\ln(1-e^{-\beta{p^2/2m}}e^{\beta\mu})}\frac{d^3p}{(2\pi\hbar)^3}V) \nonumber \\ 
 +    &=s\int{\frac{-e^{-\beta{p^2/2m}}e^{\beta\mu}(-p^2/2m+\mu)}{1-e^{-\beta{p^2/2m}}e^{\beta\mu}}}\frac{d^3p}{(2\pi\hbar)^3}V 
 +\end{align} 
 +$$ 
 +$$ 
 +\begin{align} 
 +    \mu<N> &= -\mu\frac{\partial{g}}{\partial{\mu}} \nonumber \\ 
 +    &=-\mu\frac{\partial}{\partial\mu}(\frac{s}{\beta}\int{\ln(1-e^{-\beta{p^2/2m}}e^{\beta\mu})}\frac{d^3p}{(2\pi\hbar)^3}V \nonumber \\ 
 +    &=-\mu\frac{s}{\beta}\int{\frac{-e^{-\beta{p^2/2m}}e^{\beta\mu}\beta}{1-e^{-\beta{p^2/2m}}e^{\beta\mu}}}\frac{d^3p}{(2\pi\hbar)^3}V \\ 
 +    &=-\mu{s}\int{\frac{-e^{-\beta{p^2/2m}}e^{\beta\mu}}{1-e^{-\beta{p^2/2m}}e^{\beta\mu}}}\frac{d^3p}{(2\pi\hbar)^3}V 
 +\end{align} 
 +$$ 
 +따라서 전체 에너지 U는 
 +$$ 
 +U = s\int{\frac{-e^{-\beta{p^2/2m}}e^{\beta\mu}(-p^2/2m)}{1-e^{\beta{p^2/2m}}e^{\beta\mu}}}\frac{d^3p}{(2\pi\hbar)^3}V 
 +$$ 
 +으로 정리가 된다. 이 적분의 계산 역시 밀도를 적분하여 계산한 것처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계산을 하면 
 +$$ 
 +U = s\frac{3}{2}{k_B}T(\frac{m{k_B}T}{2\pi\hbar^2})^{3/2}V\zeta_{5/2}(\alpha) 
 +$$ 
 +이제 밀도와 에너지의 디리클레 급수를 비교해보자. 먼저 밀도에서는, 급수로 정리하면, 
 +$$ 
 +\zeta_{3/2}(\alpha) = \frac{\rho}{s}(\frac{mk_BT}{2\pi{h^2}})^{-3/2} = \frac{1}{s}(\frac{2\pi{h^2}}{mk_B})^{3/2}\frac{\rho}{T^{3/2}} 
 +$$ 
 +이 때 이 함수의 값을 결정하는 조건은 밀도와 온도로 결정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밀도가 낮고 온도가 매우 높으면 ${\rho}/{T^{3/2}}$는 매우 작을 것이며, 따라서 원래의 급수 형태에 따른 $\alpha$값도 작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에너지에도 같은 맥락으로 적용하면, 
 +$$ 
 +\zeta_{3/2}(\alpha) \approx \alpha, \qquad \zeta_{5/2}(\alpha) \approx \alpha 
 +$$ 
 +이므로, 단위 부피당 에너지를 계산하
 +$$ 
 +\begin{align} 
 +    \frac{U}{V} &= s\frac{3}{2}{k_B}T(\frac{m{k_B}T}{2\pi\hbar^2})^{3/2}\zeta_{5/2}(\alpha) \nonumber \\ 
 +    &\simeq s\frac{3}{2}{k_B}T(\frac{m{k_B}T}{2\pi\hbar^2})^{3/2}\zeta_{5/2}(\alpha)\frac{\zeta_{3/2}(\alpha)}{\zeta_{5/2}(\alpha)} \nonumber \\ 
 +    &= \frac{3}{2}{k_B}T\rho 
 +\end{align} 
 +$$ 
 +으로 될롱-프티 법칙을 따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다. 
 + 
 +======참고 문헌====== 
 +  * Steven H. Simon, //The Oxford Solid State Bas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  * Richard P. Feynman, //Statistical Mechanics: A set of lectures// (CRC Press, 1998).
  
-(편집 예정) 
  • 물리/아인슈타인_모형.txt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