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아인슈타인_모형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물리:아인슈타인_모형 [2020/11/11 10:07] yong물리:아인슈타인_모형 [2020/11/25 22:27] – [통계역학적 접근에 따른 될롱-프티 법칙 유도] minjae
Line 76: Line 76:
  
 ====== 통계역학적 접근에 따른 될롱-프티 법칙 유도 ====== ====== 통계역학적 접근에 따른 될롱-프티 법칙 유도 ======
-이번에는 아인슈타인 모형에서 아인슈타인 온도보다 높은 고온에서 될롱-프티 법칙을 따라가는 것을 생각해보자. 여기서는 열원과 3차원 공간 박스가 연결된 계에서, 박스의 입자가 줄어들어 열원으로 돌아가는 에너지 $\mu$를 고려할 것이다. 그리고 이 에너지 $\mu$는 조절할 수 있는 양이라고 하자. 따라서 입자 하나당의 에너지는 $\epsilon - \mu$가 될 것이고, 전체 입자의 에너지는 +이번에는 아인슈타인 모형에서 아인슈타인 온도보다 높은 고온에서 될롱-프티 법칙을 따라가는 것을 생각해보자. 여기서는 열원과 3차원 공간 상자가 연결된 계에서, 상자의 입자가 줄어들어 열원으로 돌아가는 에너지 $\mu$를 고려할 것이다. 그리고 이 에너지 $\mu$는 조절할 수 있는 양이라고 하자. 따라서 입자 하나당의 에너지는 $\epsilon - \mu$가 될 것이고, 전체 입자의 에너지는 
 $$ $$
 E = \sum_an_a(\epsilon_a - \mu) = N\sum_a(\epsilon_a - \mu) E = \sum_an_a(\epsilon_a - \mu) = N\sum_a(\epsilon_a - \mu)
Line 103: Line 103:
     g = \frac{1}{\beta}\sum_i\ln(1-e^{-\beta(\epsilon_i-\mu)})     g = \frac{1}{\beta}\sum_i\ln(1-e^{-\beta(\epsilon_i-\mu)})
 $$ $$
-이제 3차원 공간 박스안에 입자들이 자유롭게 움직인다고 생각해보자. 3차원 운동량 미소 공간 $d^3k$에서 특정 운동량을 가지는 모드의 수는+이제 3차원 공간 상자 안에 입자들이 자유롭게 움직인다고 생각해보자. 3차원 운동량 미소 공간 $d^3k$에서 특정 운동량을 가지는 모드의 수는
 $s(d^3p/(2\pi\hbar)^3)V$인데, 여기서 V는 부피이고, s는 가능한 스핀의 상태수이다. 한편 에너지는 $s(d^3p/(2\pi\hbar)^3)V$인데, 여기서 V는 부피이고, s는 가능한 스핀의 상태수이다. 한편 에너지는
 $$ $$
Line 153: Line 153:
 이므로 밀도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이므로 밀도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 $$
-\rho = s(\frac{mk_{\beta}T}{2\pi{h^2}})^{3/2}\zeta_{3/2}(\alpha)+\rho = s\left(\frac{mk_{\beta}T}{2\pi{h^2}}\right)^{3/2}\zeta_{3/2}(\alpha)
 $$ $$
 이제 계의 전체 에너지를 계산해보도록 하자. 전체 에너지 U는 이제 계의 전체 에너지를 계산해보도록 하자. 전체 에너지 U는
  • 물리/아인슈타인_모형.txt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