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양자기체의_밀도행렬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물리:양자기체의_밀도행렬 [2021/03/16 17:30] – [순열군] yong물리:양자기체의_밀도행렬 [2021/03/23 13:32] – [Example: N=3 인 경우] yong
Line 1: Line 1:
-To be added... (~03.14)  
- 
 ====== 개요 ====== ====== 개요 ======
-이상적인 양자 기체들이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만족한다.+이상적인 양자 기체들은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만족한다.
 \begin{align} \begin{align}
     -\partial\rho / \partial\beta = H\rho     -\partial\rho / \partial\beta = H\rho
 \end{align} \end{align}
-이 관계식의 증명은 간단하다. 먼저 밀도행렬을 분배함수의 $\beta$의 함수로 간주자.+이 관계식의 증명은 간단하다. 먼저 양자역학에서 밀도행렬을 통계학적 형태로 기술면 
 \begin{align} \begin{align}
-    \rho(\beta) = e^{-\beta H} \text{Tr}e^{-\beta H}+    \rho(\beta) = \frac{e^{-\beta H_i}}{\sum_i e^{-\beta H_i}} 
 +    = \frac{e^{-\beta H}}{\text{Tr}\left[ e^{-\beta H} \right]}
 \end{align} \end{align}
 +
 이 때 분자는 규격화되지 않은(unnormalized) $\rho$ 이며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이 때 분자는 규격화되지 않은(unnormalized) $\rho$ 이며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begin{align} \begin{align}
Line 191: Line 192:
  
 이라는 순열군을 생각해보자.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는 $(1,2,4)(3)(5)$ 이라는 수열과, 앞의 방법대로 길이가 3인 이라는 순열군을 생각해보자.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는 $(1,2,4)(3)(5)$ 이라는 수열과, 앞의 방법대로 길이가 3인
-수열의 순서만을 동일하게 하여 같은 순열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 추가하여, 인접한 같은 길이의 +수열의 순서만을 동일하게 하여 같은 순열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 추가하여, 인접한 의 길이가 같은 것을 바꾸는, 이를테면  
-순열을 바꾸는, 이를테면 $(1,2,4)(5)(3)$ 도 동일한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는 서로 +$(1,2,4)(5)(3)$ 도 동일한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는 서로 상호작용하지 않는, 구분불가능한 보즈 입자의 경우를 생각하기 때문이다.  
-상호작용하지 않는, 구분불가능한 보즈 입자의 경우를 생각하기 때문이다. 지금의 경우에서 모든 +지금의 경우에서 모든 가능한 수열의 수를 계산하면, $3 \times 2! = 6$ 이 된다.
-가능한 수열의 수를 계산하면, $3 \times 2! = 6$ 이 된다.+
  
 일반화를 위해 정리하면, 일반화를 위해 정리하면,
-1. 같은 길이를 가진 사이클끼리는 서로 바꿀 수 있다. +  - 같은 길이를 가진 사이클끼리는 서로 바꿀 수 있다. 
-2. 주어진 사이클 안에서는 순환되는 순열을 만들 수 있다.+  주어진 사이클 안에서는 순환되는 순열을 만들 수 있다.
  
 첫 번째 경우에는 $\prod_\nu C_\nu!$ 만큼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고, 두 번째 경우에는 첫 번째 경우에는 $\prod_\nu C_\nu!$ 만큼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고, 두 번째 경우에는
Line 215: Line 215:
  
 ===== 큰 바른틀 모둠에 대응 ===== ===== 큰 바른틀 모둠에 대응 =====
-얻어낸 분배함수를 직접 계산하는 것은 약간 복잡해보인다. 따라서 우리는 N을 바꿈으로  +얻어낸 분배함수를 직접 계산하는 것은 약간 복잡해보인다. 따라서 우리는 N을 변수로 바꿔서  
-큰 바른틀 모둠 (grand canonical ensemble) 에서 자유에너지를 찾아보도록 하자. 큰 바른틀 모둠에서+큰 바른틀 모둠 (grand canonical ensemble) 에서의 자유에너지를 찾을 것이다. 큰 바른틀 모둠에서
 분배함수는 분배함수는
  
Line 225: Line 225:
 \end{align} \end{align}
  
-고, $\alpha = e^{+\mu\beta}$ 으로 두자. 만든 분배함수를 대입하면+다. 이 때 큰분배함수의 퓨가시티 (fugacity) $\alpha = e^{+\mu\beta}$ 으로 두고, $e^{-\beta F_s}$ 를 분배함수의 $e^{-\beta F_N}$ 에 대입하면
  
 \begin{align} \begin{align}
Line 231: Line 231:
 \end{align} \end{align}
  
-며 사이클의 수 $C_q$ 는 0부터 무한대까지 진행할 것이다. (즉, $C_1$ 가 0부터 $\infty$, $C_2$ 가 0부터 $\infty$, ... +고, 사이클의 수 $C_q$ 가 0부터 무한대까지 진행할 것이다. (즉, $C_1$ 가 0부터 $\infty$, $C_2$ 가 0부터 $\infty$, ... 
-그리고 $C_q$ 가 0부터 $\infty$ 까지 더해진다.) 그러므로 합기호와 곱기호의 계산순서를 +그리고 $C_q$ 가 0부터 $\infty$ 까지 더해진다.) 그러므로 합기호와 곱기호의 계산순서를 바꿀 수 있고 분배함수
-바꿀 수 있고 분배함수+
  
 \begin{align} \begin{align}
Line 249: Line 248:
  
 으로 얻어진다. 으로 얻어진다.
 +
 +====== 페르미 입자에 대한 분배함수 ======
 +===== 서로 상호작용하여 구분되는 경우 =====
 +이번에는 페르미 디락 통계를 따르는 입자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입자가 페르미 통계를 따르는 경우,
 +반대칭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대한 분배함수를 구축하기 위해서, 밀도행렬을 먼저 구해야 한다. 
 +반대칭적인 밀도행렬을 구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구성한 $\rho_D$ 를 반대칭성만을 고려하여 
 +$\rho_A$ 를 계산한다. $\rho_A$ 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begin{align}
 +    \rho_A \left( x_1, \cdots, x_k, \cdots, x_N; x^{\prime}_1, \cdots, x^{\prime}_k, \cdots, x^{\prime}_N \right) \\
 +    = \frac{1}{N!}\sum_P \left(-1\right)^P \rho_D \left( x_1, \cdots, x_k, \cdots, x_N; Px^{\prime}_1, \cdots, Px^{\prime}_k, \cdots, Px^{\prime}_N \right)
 +\end{align}
 +
 +$\rho_S$ 와 비교하면 $\left(-1\right)^P$ 이라는 항이 추가되었다. 이 때 $\left(-1\right)^P$는
 +순열의 홀짝에 따라 값이 변하며,
 +
 +\begin{align}
 +    \left(-1\right)^P
 +    \begin{cases}
 +        1 \quad &\text{짝수 순열} \\
 +        -1 \quad &\text{홀수 순열}
 +    \end{cases}
 +\end{align}
 +
 +이렇게 되는 이유를 N=2와 N=3인 경우를 살펴보도록 하자.
 +
 +==== Example: N=2인 경우 ====
 +앞에서 N=2 일 때 셀 수 있는 모든 경우에, 평균을 취한 것에서
 +
 +\begin{align}
 +    \frac{1}{2}\left[\rho_D \left(x_1, x_2;x^{\prime}_1, x^{\prime}_2; \beta \right) +
 +     \rho_D \left(x_1, x_2;x^{\prime}_2, x^{\prime}_1; \beta \right)\right]
 +    = \sum_{\text{all states}}e^{-\beta E_i}\psi_i\left(x_1, x_2\right)
 +    \frac{1}{2}\left[\psi^{*}\left(x^{\prime}_1, x^{\prime}_2\right) + \psi^{*}\left(x^{\prime}_2, x^{\prime}_1\right)\right]
 +\end{align}
 +
 +이 때 $\psi^{*}$ 가 반대칭성을 만족하는 경우는
 +
 +\begin{align}
 +    \frac{1}{2}\left[\psi^{*}\left(x^{\prime}_1, x^{\prime}_2\right) + \psi^{*}\left(x^{\prime}_2, x^{\prime}_1\right)\right]
 +    = 0
 +\end{align}
 +
 +다시말해
 +
 +\begin{align}
 +    \psi^{*}\left(x^{\prime}_2, x^{\prime}_1\right)
 +    = - \psi^{*}\left(x^{\prime}_1, x^{\prime}_2\right)
 +\end{align}
 +
 +이며 따라서 식은
 +
 +\begin{align}
 +    \frac{1}{2}\left[\rho_D \left(x_1, x_2;x^{\prime}_1, x^{\prime}_2; \beta \right) +
 +     \rho_D \left(x_1, x_2;x^{\prime}_2, x^{\prime}_1; \beta \right)\right]
 +    = 0
 +\end{align}
 +
 +으로 정리가 되고 좌변을 만족하기 위해
 +
 +\begin{align}
 +    \rho_D \left(x_1, x_2;x^{\prime}_1, x^{\prime}_2; \beta \right) =
 +    - \rho_D \left(x_1, x_2;x^{\prime}_2, x^{\prime}_1; \beta \right)
 +\end{align}
 +
 +이 되어야 하며, 처음에 나타냈던 식으로는
 +
 +\begin{align}
 +    \rho_A \left( x_1, x_2; x^{\prime}_1, x^{\prime}_2 \right)
 +    &= \frac{1}{2!}\sum_P \left(-1\right)^P \rho_D \left( x_1, x_2; Px^{\prime}_1, Px^{\prime}_2 \right) \\
 +    &= \frac{1}{2}\left[\rho_D \left(x_1, x_2;x^{\prime}_1, x^{\prime}_2; \beta \right)
 +    + \rho_D \left(x_1, x_2;x^{\prime}_2, x^{\prime}_1; \beta \right)\right]
 +\end{align}
 +
 +==== Example: N=3 인 경우 ====
 +3개의 경우도 생각해보자. 즉
 +
 +\begin{align}
 +    \rho_D \left(x_1, x_2, x_3;x^{\prime}_1, x^{\prime}_2, x^{\prime}_3; \beta \right)
 +    = \sum_{\text{all states}}e^{-\beta E_i}\psi_{i}\left(x_1, x_2, x_3\right)
 +    \psi_{i}^{*}\left( Px^{\prime}_1, Px^{\prime}_2, Px^{\prime}_3 \right)
 +\end{align}
 +
 +이 경우에는 가능한 다른 모든 경우는,
 +
 +\begin{align}
 +    \rho_D \left(x_1, x_2, x_3;x^{\prime}_1, x^{\prime}_2, x^{\prime}_3; \beta \right) \quad
 +    \rho_D \left(x_1, x_2, x_3;x^{\prime}_2, x^{\prime}_3, x^{\prime}_1; \beta \right) \quad
 +    \rho_D \left(x_1, x_2, x_3;x^{\prime}_3, x^{\prime}_1, x^{\prime}_2; \beta \right) \\
 +    \rho_D \left(x_1, x_2, x_3;x^{\prime}_1, x^{\prime}_3, x^{\prime}_2; \beta \right) \quad
 +    \rho_D \left(x_1, x_2, x_3;x^{\prime}_3, x^{\prime}_2, x^{\prime}_1; \beta \right) \quad
 +    \rho_D \left(x_1, x_2, x_3;x^{\prime}_2, x^{\prime}_1, x^{\prime}_3; \beta \right)
 +\end{align}
 +
 +이며 우변의 $\psi_{i}^{*}$ 도 6가지 경우가 있다.
 +
 +\begin{align}
 +    \psi_{i}^{*}\left( x^{\prime}_1, x^{\prime}_2, x^{\prime}_3 \right) \quad
 +    \psi_{i}^{*}\left( x^{\prime}_2, x^{\prime}_3, x^{\prime}_1 \right) \quad
 +    \psi_{i}^{*}\left( x^{\prime}_3, x^{\prime}_1, x^{\prime}_2 \right) \\
 +    \psi_{i}^{*}\left( x^{\prime}_1, x^{\prime}_3, x^{\prime}_2 \right) \quad
 +    \psi_{i}^{*}\left( x^{\prime}_3, x^{\prime}_2, x^{\prime}_1 \right) \quad
 +    \psi_{i}^{*}\left( x^{\prime}_2, x^{\prime}_1, x^{\prime}_3 \right)
 +\end{align}
 +
 +앞에서 N=2 인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반대칭의 특징에 따라 모두 더하면 0이 된다. 따라서 좌변만 남게되며
 +식을 정리하면
 +
 +\begin{align}
 +    &\frac{1}{6} [
 +    \rho_D \left(x_1, x_2, x_3;x^{\prime}_1, x^{\prime}_2, x^{\prime}_3; \beta \right)
 +    + \rho_D \left(x_1, x_2, x_3;x^{\prime}_2, x^{\prime}_3, x^{\prime}_1; \beta \right)
 +    + \rho_D \left(x_1, x_2, x_3;x^{\prime}_3, x^{\prime}_1, x^{\prime}_2; \beta \right) \\
 +    &+ \rho_D \left(x_1, x_2, x_3;x^{\prime}_1, x^{\prime}_3, x^{\prime}_2; \beta \right)
 +    + \rho_D \left(x_1, x_2, x_3;x^{\prime}_3, x^{\prime}_2, x^{\prime}_1; \beta \right)
 +    + \rho_D \left(x_1, x_2, x_3;x^{\prime}_2, x^{\prime}_1, x^{\prime}_3; \beta \right)
 +    ] = 0 
 +\end{align}
 +
 +이다. 이 경우에는
 +
 +\begin{align}
 +    \rho_D \left(x_1, x_2, x_3;x^{\prime}_1, x^{\prime}_2, x^{\prime}_3; \beta \right)
 +    = -\rho_D \left(x_1, x_2, x_3;x^{\prime}_1, x^{\prime}_3, x^{\prime}_2; \beta \right) \\
 +    \rho_D \left(x_1, x_2, x_3;x^{\prime}_2, x^{\prime}_3, x^{\prime}_1; \beta \right)
 +    = -\rho_D \left(x_1, x_2, x_3;x^{\prime}_2, x^{\prime}_1, x^{\prime}_3; \beta \right) \\
 +    \rho_D \left(x_1, x_2, x_3;x^{\prime}_3, x^{\prime}_1, x^{\prime}_2; \beta \right)
 +    = -\rho_D \left(x_1, x_2, x_3;x^{\prime}_3, x^{\prime}_2, x^{\prime}_1; \beta \right)
 +\end{align}
 +
 +가 되어야 식이 만족된다. 마찬가지로 3개의 경우도 식으로 나타내면
 +
 +\begin{align}
 +    \rho_A \left( x_1, x_2, x_3; x^{\prime}_1, x^{\prime}_2, x^{\prime}_3 \right)
 +    = \frac{1}{3!}\sum_P \left(-1\right)^P \rho_D \left( x_1, x_2, x_3; Px^{\prime}_1, Px^{\prime}_2,
 +    Px^{\prime}_3 \right)
 +\end{align}
 +
 +따라서 일반적인 경우에는 처음에 나타낸 것과 같이 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만약 N 개의 경우 모든 항을 살펴보자 하는 경우,
 +[[수학:슬레이터 행렬식]] 으로 일반화해서 나타낼 수 있다.
 +
 +===== 이후 계산들 =====
 +이후 계산은 보즈 기체에서 보였던 계산과 유사하다. 먼저 적분항에 대한 계산을 해주면
 +
 +\begin{align}
 +    e^{-\beta F_A} = \frac{1}{N!}\sum_P \left(-1\right)^P \left( \prod_\nu \left(h_\nu\right)^{C_\nu} \right)
 +\end{align}
 +
 +으로 식을 나타낼 수 있다. 이제 생각해야 할 것은 페르미 기체에서 $\sum_P$ 이다. 여기서는 추가적으로
 +$\left(-1\right)^P$ 이라는 항이 들어갔기 때문에, 이것을 어떻게 바꿀 지 생각해보도록 하자. 먼저
 +앞의 N=3 예시에서, 6가지의 항을 사이클의 길이에 맞춰서 표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
 +
 +
 +| $Px_1, Px_2, Px_3$ | Cycles  | $\rho_A$와 같은 경우  | 부호 결정  |
 +|:---:|:---:|:---:|:---:|
 +| $x^{\prime}_1, x^{\prime}_2, x^{\prime}_3$ | (1)(2)(3) | $-x^{\prime}_1, x^{\prime}_3, x^{\prime}_2$ | + |
 +| $x^{\prime}_1, x^{\prime}_3, x^{\prime}_2$ | (1)(32) | $-x^{\prime}_1, x^{\prime}_2, x^{\prime}_3$ | - |
 +| $x^{\prime}_2, x^{\prime}_1, x^{\prime}_3$ | (21)(3) | $-x^{\prime}_2, x^{\prime}_3, x^{\prime}_1$ | - |
 +| $x^{\prime}_2, x^{\prime}_3, x^{\prime}_1$ | (231) | $-x^{\prime}_2, x^{\prime}_1, x^{\prime}_3$ | + |
 +| $x^{\prime}_3, x^{\prime}_2, x^{\prime}_1$ | (13)(2) | $-x^{\prime}_3, x^{\prime}_1, x^{\prime}_2$ | - |
 +| $x^{\prime}_3, x^{\prime}_1, x^{\prime}_2$ | (312) | $-x^{\prime}_3, x^{\prime}_2, x^{\prime}_1$ | + |
 +
 +예를들어 $Px_1, Px_2, Px_3$가 각각 $x^{\prime}_1, x^{\prime}_2, x^{\prime}_3$, $x^{\prime}_1, x^{\prime}_3, x^{\prime}_2$ 
 +와 같은 상황에서, 두 경우는 서로 반대칭 관계를 만족하므로 더하면 0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사이클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첫 번째 경우, 
 +
 +\begin{align}
 +    \left( \cdots \rightarrow 1 \rightarrow \cdots \right),
 +    \left( \cdots \rightarrow 2 \rightarrow \cdots \right),
 +    \left( \cdots \rightarrow 3 \rightarrow \cdots \right)    
 +\end{align}
 +
 +의 사이클이고, 두 번째 경우, 
 + 
 +\begin{align}
 +    \left( \cdots \rightarrow 1 \rightarrow \cdots \right),
 +    \left( \cdots \rightarrow 3 \rightarrow 2 \rightarrow \cdots \right)      
 +\end{align}
 +
 +의 사이클을 형성하고 있다. 정리되는 뒷항과 같이 무한곱 표현으로 나타내고, 반대칭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조건을 만족하면 된다. 먼저, 사이클의 길이가 홀수인 경우에는, 양의 부호 $(+)$ 를 가져야 하며, 
 +짝수인 경우에는, 음의 부호 $(-)$ 를 가지면 된다. 예시로 들었던 경우에 대해서는
 +
 +\begin{align}
 +    &C_1C_1C_1 \rightarrow (+)(+)(+) \rightarrow (+) \\
 +    &C_1C_2 \rightarrow (+)(-) \rightarrow (-)
 +\end{align}
 +
 +이렇게 부호가 결정이 된다. N=3 에 대해 정리한 표가 위와 같으며, 이를 사이클의 길이가 $C_q$ 까지 나타나는
 +N의 경우에 대해
 +
 +\begin{align}
 +    \prod_\nu \left[ (-1)^{\nu+1} \right]^{C_\nu} 
 +\end{align}
 +
 +을 만족하면 된다. 이 때 대괄호 지수 항으로 $C_\nu$ 가 붙는 것은, 예를 들어 형성되는 사이클의 블럭이
 +$C_1C_2C_2$ 이면, 부호가 $(+)$ 를 만족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대칭성을 만족하는 경우의 분배함수는
 +
 +\begin{align}
 +    e^{-\beta F_A} = \sum_{C_1, \cdots, C_q}\prod_\nu \left[ (-1)^{\nu+1} \right]^{C_\nu} 
 +    \frac{h_\nu^{C_\nu}}{C_\nu! \nu^{C_\nu}}
 +\end{align}
 +
 +으로 결정이 된다. 보즈 기체와 마찬가지로 직접 계산하는 것은 복잡하기에 이를 큰 바른틀 모둠에서의
 +분배함수에 대응하여 나타내면,
 +
 +\begin{align}
 +    e^{-\beta F} = \sum_{C_1, \cdots, C_q}\prod_\nu \left[ (-1)^{\nu+1} \right]^{C_\nu}\frac{h_\nu^{C_\nu}}{C_\nu! \nu^{C_\nu}} \alpha^{\nu C_\nu}
 +\end{align}
 +
 +이고 마찬가지로 합기호와 곱기호를 서로 바꾸면
 +
 +\begin{align}
 +    e^{-\beta F} &= \prod_\nu\sum_{C_\nu}^{\infty} \frac{1}{C_\nu!} 
 +    \left[ (-1)^{\nu+1} \frac{h_\nu \alpha^{\nu}}{\nu} \right]^{C_\nu}
 +\end{align}
 +
 +이 때 $C_\nu$ 가 짝수인 경우,
 +
 +\begin{align}
 +    \prod_\nu \exp \left( (-1)^{\nu+1} h_\nu \frac{\alpha^{\nu}}{\nu} \right)
 +\end{align}
 +
 +$C_\nu$ 가 홀수인 경우,
 +
 +\begin{align}
 +    \prod_\nu \exp \left( (-1)^{\nu} h_\nu \frac{\alpha^{\nu}}{\nu} \right)
 +\end{align}
 +
 +으로 결정된다.
  
 ====== 참고문헌 ====== ====== 참고문헌 ======
   * Richard P. Feynman, //Statistical Mechanics: A set of lectures// (CRC Press, 1998).   * Richard P. Feynman, //Statistical Mechanics: A set of lectures// (CRC Press, 1998).
 +  * Wikipedia (en) //Antisymmetrizer// [[https://en.wikipedia.org/wiki/Antisymmetrizer]]
 +  * J.J. Sakurai, //Modern Quantum Mechanics//, 3.4 - Quantum Statistical Mechan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물리/양자기체의_밀도행렬.txt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