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양자기체의_밀도행렬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물리:양자기체의_밀도행렬 [2021/03/17 22:44] – [참고문헌] yong물리:양자기체의_밀도행렬 [2021/03/23 13:32] – [Example: N=3 인 경우] yong
Line 1: Line 1:
-To be added... (~03.21(?))  
- 
 ====== 개요 ====== ====== 개요 ======
 이상적인 양자 기체들은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만족한다. 이상적인 양자 기체들은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만족한다.
Line 227: Line 225:
 \end{align} \end{align}
  
-이다. $\alpha = e^{+\mu\beta}$ 으로 두고, 위의 분배함수에 대입하면+이다. 이 때 큰분배함수의 퓨가시티 (fugacity) $\alpha = e^{+\mu\beta}$ 으로 두고, $e^{-\beta F_s}$ 를 분배함수의 $e^{-\beta F_N}$ 에 대입하면
  
 \begin{align} \begin{align}
Line 233: Line 231:
 \end{align} \end{align}
  
-며 사이클의 수 $C_q$ 는 0부터 무한대까지 진행할 것이다. (즉, $C_1$ 가 0부터 $\infty$, $C_2$ 가 0부터 $\infty$, ... +고, 사이클의 수 $C_q$ 가 0부터 무한대까지 진행할 것이다. (즉, $C_1$ 가 0부터 $\infty$, $C_2$ 가 0부터 $\infty$, ... 
-그리고 $C_q$ 가 0부터 $\infty$ 까지 더해진다.) 그러므로 합기호와 곱기호의 계산순서를 +그리고 $C_q$ 가 0부터 $\infty$ 까지 더해진다.) 그러므로 합기호와 곱기호의 계산순서를 바꿀 수 있고 분배함수
-바꿀 수 있고 분배함수+
  
 \begin{align} \begin{align}
Line 389: Line 386:
 \end{align} \end{align}
  
-따라서 일반적인 경우에는 처음에 나타낸 것과 같이 쓸 수 있게 된다.+따라서 일반적인 경우에는 처음에 나타낸 것과 같이 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만약 N 개의 경우 모든 항을 살펴보자 하는 경우, 
 +[[수학:슬레이터 행렬식]] 으로 일반화해서 나타낼 수 있다. 
 + 
 +===== 이후 계산들 ===== 
 +이후 계산은 보즈 기체에서 보였던 계산과 유사하다. 먼저 적분항에 대한 계산을 해주면 
 + 
 +\begin{align} 
 +    e^{-\beta F_A} = \frac{1}{N!}\sum_P \left(-1\right)^P \left( \prod_\nu \left(h_\nu\right)^{C_\nu} \right) 
 +\end{align} 
 + 
 +으로 식을 나타낼 수 있다. 이제 생각해야 할 것은 페르미 기체에서 $\sum_P$ 이다. 여기서는 추가적으로 
 +$\left(-1\right)^P$ 이라는 항이 들어갔기 때문에, 이것을 어떻게 바꿀 지 생각해보도록 하자. 먼저 
 +앞의 N=3 예시에서, 6가지의 항을 사이클의 길이에 맞춰서 표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 
 + 
 + 
 +| $Px_1, Px_2, Px_3$ | Cycles  | $\rho_A$와 같은 경우  | 부호 결정 
 +|:---:|:---:|:---:|:---:
 +| $x^{\prime}_1, x^{\prime}_2, x^{\prime}_3$ | (1)(2)(3) | $-x^{\prime}_1, x^{\prime}_3, x^{\prime}_2$ | + | 
 +| $x^{\prime}_1, x^{\prime}_3, x^{\prime}_2$ | (1)(32) | $-x^{\prime}_1, x^{\prime}_2, x^{\prime}_3$ | - | 
 +| $x^{\prime}_2, x^{\prime}_1, x^{\prime}_3$ | (21)(3) | $-x^{\prime}_2, x^{\prime}_3, x^{\prime}_1$ | - | 
 +| $x^{\prime}_2, x^{\prime}_3, x^{\prime}_1$ | (231) | $-x^{\prime}_2, x^{\prime}_1, x^{\prime}_3$ | + | 
 +| $x^{\prime}_3, x^{\prime}_2, x^{\prime}_1$ | (13)(2) | $-x^{\prime}_3, x^{\prime}_1, x^{\prime}_2$ | - | 
 +| $x^{\prime}_3, x^{\prime}_1, x^{\prime}_2$ | (312) | $-x^{\prime}_3, x^{\prime}_2, x^{\prime}_1$ | + | 
 + 
 +예를들어 $Px_1, Px_2, Px_3$가 각각 $x^{\prime}_1, x^{\prime}_2, x^{\prime}_3$, $x^{\prime}_1, x^{\prime}_3, x^{\prime}_2$  
 +와 같은 상황에서, 두 경우는 서로 반대칭 관계를 만족하므로 더하면 0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사이클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첫 번째 경우,  
 + 
 +\begin{align} 
 +    \left( \cdots \rightarrow 1 \rightarrow \cdots \right), 
 +    \left( \cdots \rightarrow 2 \rightarrow \cdots \right), 
 +    \left( \cdots \rightarrow 3 \rightarrow \cdots \right)     
 +\end{align} 
 + 
 +의 사이클이고, 두 번째 경우,  
 +  
 +\begin{align} 
 +    \left( \cdots \rightarrow 1 \rightarrow \cdots \right), 
 +    \left( \cdots \rightarrow 3 \rightarrow 2 \rightarrow \cdots \right)       
 +\end{align} 
 + 
 +의 사이클을 형성하고 있다. 정리되는 뒷항과 같이 무한곱 표현으로 나타내고, 반대칭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조건을 만족하면 된다. 먼저, 사이클의 길이가 홀수인 경우에는, 양의 부호 $(+)$ 를 가져야 하며,  
 +짝수인 경우에는, 음의 부호 $(-)$ 를 가지면 된다. 예시로 들었던 경우에 대해서는 
 + 
 +\begin{align} 
 +    &C_1C_1C_1 \rightarrow (+)(+)(+) \rightarrow (+) \\ 
 +    &C_1C_2 \rightarrow (+)(-) \rightarrow (-) 
 +\end{align} 
 + 
 +이렇게 부호가 결정이 된다. N=3 에 대해 정리한 표가 위와 같으며, 이를 사이클의 길이가 $C_q$ 까지 나타나는 
 +N의 경우에 대해 
 + 
 +\begin{align} 
 +    \prod_\nu \left[ (-1)^{\nu+1} \right]^{C_\nu}  
 +\end{align} 
 + 
 +을 만족하면 된다. 이 때 대괄호 지수 항으로 $C_\nu$ 가 붙는 것은, 예를 들어 형성되는 사이클의 블럭이 
 +$C_1C_2C_2$ 이면, 부호가 $(+)$ 를 만족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대칭성을 만족하는 경우의 분배함수는 
 + 
 +\begin{align} 
 +    e^{-\beta F_A} = \sum_{C_1, \cdots, C_q}\prod_\nu \left[ (-1)^{\nu+1} \right]^{C_\nu}  
 +    \frac{h_\nu^{C_\nu}}{C_\nu! \nu^{C_\nu}} 
 +\end{align} 
 + 
 +으로 결정이 된다. 보즈 기체와 마찬가지로 직접 계산하는 것은 복잡하기에 이를 큰 바른틀 모둠에서의 
 +분배함수에 대응하여 나타내면, 
 + 
 +\begin{align} 
 +    e^{-\beta F} = \sum_{C_1, \cdots, C_q}\prod_\nu \left[ (-1)^{\nu+1} \right]^{C_\nu}\frac{h_\nu^{C_\nu}}{C_\nu! \nu^{C_\nu}} \alpha^{\nu C_\nu} 
 +\end{align} 
 + 
 +이고 마찬가지로 합기호와 곱기호를 서로 바꾸면 
 + 
 +\begin{align} 
 +    e^{-\beta F} &= \prod_\nu\sum_{C_\nu}^{\infty} \frac{1}{C_\nu!}  
 +    \left[ (-1)^{\nu+1} \frac{h_\nu \alpha^{\nu}}{\nu} \right]^{C_\nu} 
 +\end{align} 
 + 
 +이 때 $C_\nu$ 가 짝수인 경우, 
 + 
 +\begin{align} 
 +    \prod_\nu \exp \left( (-1)^{\nu+1} h_\nu \frac{\alpha^{\nu}}{\nu} \right) 
 +\end{align} 
 + 
 +$C_\nu$ 가 홀수인 경우, 
 + 
 +\begin{align} 
 +    \prod_\nu \exp \left( (-1)^{\nu} h_\nu \frac{\alpha^{\nu}}{\nu} \right) 
 +\end{align} 
 + 
 +으로 결정된다.
  
 ====== 참고문헌 ====== ====== 참고문헌 ======
  • 물리/양자기체의_밀도행렬.txt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