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물리:이징_모형_husimi_트리_kagome_격자 [2023/09/18 15:42] minwoo물리:이징_모형_husimi_트리_kagome_격자 [2023/10/20 23:40] minwoo
Line 1: Line 1:
-====== Kagome 격자위의 이징 모형 ======+====== Kagome 격자 위의 이징 모형 ======
  
 Kagome 격자는 다음 그림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참고문헌 1의 그림 1.) Kagome 격자는 다음 그림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참고문헌 1의 그림 1.)
Line 17: Line 17:
 $$ \\ $$ $$ \\ $$
 Kagome 격자에 대해서 정확한 해와 다이어그램을 얻은 논문은 첫 번째 참고문헌에 해당한다.  Kagome 격자에 대해서 정확한 해와 다이어그램을 얻은 논문은 첫 번째 참고문헌에 해당한다. 
 +
 +====== Husimi 트리 위의 이징 모형 ======
  
 다만, (일종의 근사법으로서) Husimi 트리(tree) 구조에서의 이징 모형에 대해서 풀이한 뒤, 그 결과를 이용해서 kagome 격자 구조에서의 결과를 이해하는 방법도 있다. 다만, (일종의 근사법으로서) Husimi 트리(tree) 구조에서의 이징 모형에 대해서 풀이한 뒤, 그 결과를 이용해서 kagome 격자 구조에서의 결과를 이해하는 방법도 있다.
Line 35: Line 37:
  
 $$  $$ 
-g_n(\sigma_0) = \sum_{\{\sigma_1\}} \exp\Bigg[\beta\Bigg(J_3\sum_\Delta \sigma_0\sigma_1^{(1)} \sigma_2^{(2)} + J_2 \sum_{\text{n.n}}\sigma_0 \sigma_1 + h \sum _{j=1,2}\sigma_1^{(j)} \Bigg) \Bigg][g_{n-1}(\sigma_1^{(1)})]^{\gamma-1}[g_{n-1}(\sigma_1^{(2)})]^{\gamma-1}+g_n(\sigma_0) = \sum_{\{\sigma_1\}} \exp\Bigg[\beta\Bigg(J_3\sum_\Delta \sigma_0\sigma_1^{(1)} \sigma_1^{(2)} + J_2 \sum_{\text{n.n}}\sigma_0 \sigma_1 + h \sum _{j=1,2}\sigma_1^{(j)} \Bigg) \Bigg][g_{n-1}(\sigma_1^{(1)})]^{\gamma-1}[g_{n-1}(\sigma_1^{(2)})]^{\gamma-1}
 $$ $$
  
Line 43: Line 45:
 이러한 방식의 정의는 Husimi 트리가 트리 구조를 가지기에 가능한 것이다. 그에 따라, 분배함수 $Z=\sum_\sigma P(\sigma)$를 다음과 같이 적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정의는 Husimi 트리가 트리 구조를 가지기에 가능한 것이다. 그에 따라, 분배함수 $Z=\sum_\sigma P(\sigma)$를 다음과 같이 적을 수 있다.
  
-$$ Z = \sum_{\sigma_0} \exp(\beta h\sigma_0) [g_n(\sigma_0)]^{(\gamma-1)} $$+$$ Z = \sum_{\sigma_0} \exp(\beta h\sigma_0) [g_n(\sigma_0)]^{\gamma} $$
  
 따라서,  따라서, 
  
 $$ $$
-\langle \sigma_0 \rangle = Z^{-1} \sum_{\sigma_0} \sigma_0 \exp (\beta h\sigma_0 )[g_n(\sigma_0)]^{(\gamma-1)}+\langle \sigma_0 \rangle = Z^{-1} \sum_{\sigma_0} \sigma_0 \exp (\beta h\sigma_0 )[g_n(\sigma_0)]^{\gamma}
 $$ $$
 로 쓸 수 있다. 로 쓸 수 있다.
Line 64: Line 66:
 $$ $$
 \begin{align} \begin{align}
-\langle \sigma_0 \rangle &= \frac{\sum_{\sigma_0}\sigma_0 \exp(\beta h\sigma_0) [g_n(\sigma_0)]^{(\gamma-1)}}{Z} \\+\langle \sigma_0 \rangle &= \frac{\sum_{\sigma_0}\sigma_0 \exp(\beta h\sigma_0) [g_n(\sigma_0)]^{\gamma}}{Z} \\
  
-&= \frac{e^{\beta h}g_n(+)^{(\gamma-1)}\  - \ e^{-\beta h}g_n(-)^{(\gamma-1)}}{e^{\beta h}g_n(+)^{(\gamma-1)}\  + \ e^{-\beta h}g_n(-)^{(\gamma-1)}} \\ +&= \frac{e^{\beta h}g_n(+)^{\gamma}\  - \ e^{-\beta h}g_n(-)^{\gamma}}{e^{\beta h}g_n(+)^{\gamma}\  + \ e^{-\beta h}g_n(-)^{\gamma}} \\ 
-&= \frac{e^{2\beta h}g_n(+)^{(\gamma-1)} \ -g_n(-)^{(\gamma-1)}}{e^{2\beta h}g_n(+)^{(\gamma-1)} \ +g_n(-)^{(\gamma-1)}} \\ +&= \frac{e^{2\beta h}g_n(+)^{\gamma} \ -g_n(-)^{\gamma}}{e^{2\beta h}g_n(+)^{\gamma} \ +g_n(-)^{\gamma}} \\ 
-&= \frac{az_n^{(\gamma-1)} \ -1}{az_n^{(\gamma-1)} \ +1} +&= \frac{az_n^{\gamma} \ -1}{az_n^{\gamma} \ +1} 
 \end{align} \end{align}
 $$ $$
Line 81: Line 83:
  
 $$  $$ 
-g_n(\sigma_0) = \sum_{\{\sigma_1\}} \exp\Bigg[\beta\Bigg(J_3\sum_\Delta \sigma_0\sigma_1^{(1)} \sigma_2^{(2)} + J_2 \sum_{\text{n.n}}\sigma_0 \sigma_1 + h \sum _{j=1,2}\sigma_1^{(j)} \Bigg) \Bigg][g_{n-1}(\sigma_1^{(1)})]^{\gamma-1}[g_{n-1}(\sigma_1^{(2)})]^{\gamma-1}+g_n(\sigma_0) = \sum_{\{\sigma_1\}} \exp\Bigg[\beta\Bigg(J_3\sum_\Delta \sigma_0\sigma_1^{(1)} \sigma_1^{(2)} + J_2 \sum_{\text{n.n}}\sigma_0 \sigma_1 + h \sum _{j=1,2}\sigma_1^{(j)} \Bigg) \Bigg][g_{n-1}(\sigma_1^{(1)})]^{\gamma-1}[g_{n-1}(\sigma_1^{(2)})]^{\gamma-1}
 $$ $$
  
Line 138: Line 140:
 $$ \\ $$ $$ \\ $$
  
-따라서 우리는 $x_n$에 대하여 다음의 map을 얻은 것이다.+따라서 우리는 $z_n$에 대하여 다음의 map을 얻은 것이다.
  
 $$z_n=f(z_{n-1}), \quad f(z) = \frac{a^2b^2cz^{2(\gamma-1)}+2az^{\gamma-1}+c}{a^2z^{2(\gamma-1)} + 2acz^{\gamma-1} +b^2}$$ $$z_n=f(z_{n-1}), \quad f(z) = \frac{a^2b^2cz^{2(\gamma-1)}+2az^{\gamma-1}+c}{a^2z^{2(\gamma-1)} + 2acz^{\gamma-1} +b^2}$$
  
 +$$ \\ $$
 +만약 각각의 삼각형에 대한 상호작용(three-spin interaction)만 존재하는 모형이라면, map은 아래와 같이 쓰인다.
 +
 +$$ f(z) = \frac{cz^{2(\gamma-1)}+2z^{\gamma-1}+c}{z^{2(\gamma-1)} + 2cz^{\gamma-1} +1}$$
 +
 +===== Kagome 격자 ($\gamma=2$) =====
 +
 +위에서 얻은 map에서 $\gamma=2$를 대입한 경우는 kagome 격자에서의 이징 모형을 잘 근사하는 경우이다.
 +
 +그 경우, map은 아래와 같다.
 +
 +$$  f(z) = \frac{cz^2 +2z +c}{z^2 + 2cz  +1}$$
 +
 +이러한 map에 대해서 $z=f(z)$를 풀면 고정점(fixed point)을 얻을 수 있고, (직접 풀이하거나 Mathematica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
 +{{:물리:kagome_fixed_points.png?400|}}
 +
 +$$ \\ $$
 +$c=e^{2\beta J_3} $으로서 $c$는 음수가 아니므로 $-c$는 양수가 아니다.
 +
 +이때, $z_n=\frac{g_n(+)}{g_n(-)}$의 $g_n(\sigma)$는 지수함수(exponential)의 합의 형태로 표현된다는 것에 유의하면
 +
 +$z=f(z)$의 해는 (음수가 아닌) 양수임을 알 수 있다. 
 +
 +따라서, 위의 3가지 고정점 중 $z=1$만이 유일하게 가능한 경우이다.
 +
 +$$ \\ $$
 +그러한 $z=1$이 안정적인(stable) 고정점인지, 아래와 같이 확인해보면
 +
 +{{:물리:kagome_map.png?550|}}
 +
 +(초기의 $z$값에 무관하게) map을 수 차례 거친다면 $z=1$의 고정점으로 가게 된다.
 +
 +$$ \\ $$
 +이를 통해, $$
 +\begin{align}
 +\langle \sigma_0 \rangle= \frac{az_n^{\gamma} \ -1}{az_n^{\gamma} \ +1} 
 +\end{align}
 +$$
 +
 +에서 $\gamma=2$와 $a=1$, $z^*=1$ 을 대입하면 $\langle \sigma_0 \rangle =0$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
 +따라서, kagome 격자 위의 이징 모형의 해밀토니안이 각각의 삼각형에 대한 상호작용(three-spin interaction)만 포함한다면
 +
 +자화량의 기댓값이 $0$이라는 것을 위와 같은 근사를 통해 알아낼 수 있다.
 +
 +$$ \\ $$
 ====== 참고문헌 ====== ====== 참고문헌 ======
  
-1.Exact results for lattice models with pair and triplet interactions, X N Wu and F Y Wu, 1989.+1. Exact results for lattice models with pair and triplet interactions, X N Wu and F Y Wu, 1989.
    
-2. Phase diagrams of Ising models on Husimi trees II. Pair and multisite interaction systems, 1992.+2. Phase diagrams of Ising models on Husimi trees II. Pair and multisite interaction systems, James L. Monroe, 1992.
  
 3. Thermodynamic approach to three-site antiferromagnetic Ising model in chaotic region, N.S. Ananikian and S.K. Dallakian, 2018. 3. Thermodynamic approach to three-site antiferromagnetic Ising model in chaotic region, N.S. Ananikian and S.K. Dallakian, 2018.
  
  • 물리/이징_모형_husimi_트리_kagome_격자.txt
  • Last modified: 2023/11/15 17:03
  • by minw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