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입실론_전개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물리:입실론_전개 [2018/05/14 17:59] – [새로운 고정점] admin물리:입실론_전개 [2022/04/09 17:13] – ↷ Links adapted because of a move operation 66.249.64.119
Line 130: Line 130:
 \end{eqnarray*} \end{eqnarray*}
  
-[[배규호:wick의 정리|윅의 정리]]를 사용하면 6점 상관함수는 2점 상관함수들 곱의 조합으로 분해될 수 있어서 다음처럼 정리된다:+[[수학:_정리|윅의 정리]]를 사용하면 6점 상관함수는 2점 상관함수들 곱의 조합으로 분해될 수 있어서 다음처럼 정리된다:
 \begin{eqnarray*} \begin{eqnarray*}
 &&\sum_{ijkl} \left< \phi_i^2(x) \phi_j^2(x) \phi_k(y) \phi_l(y) \right> \sigma'_k(y) \sigma_l'(y)\\ &&\sum_{ijkl} \left< \phi_i^2(x) \phi_j^2(x) \phi_k(y) \phi_l(y) \right> \sigma'_k(y) \sigma_l'(y)\\
Line 312: Line 312:
  
 ===4번 항=== ===4번 항===
-마지막 항은 여섯 개 변수에 대해 [[배규호:Wick의 정리|윅의 정리]]를 사용하는 것이다:+마지막 항은 여섯 개 변수에 대해 [[수학:_정리|윅의 정리]]를 사용하는 것이다:
 \begin{eqnarray*} \begin{eqnarray*}
 && \left< (\sigma'_x \cdot \phi_x) (\sigma'_y \cdot \phi_y) \phi_x^2 \phi_y^2 \right>\\ && \left< (\sigma'_x \cdot \phi_x) (\sigma'_y \cdot \phi_y) \phi_x^2 \phi_y^2 \right>\\
Line 434: Line 434:
 이며 이 때 $s^{-2} \ll 1$로 가정했다. 이며 이 때 $s^{-2} \ll 1$로 가정했다.
  
-====새로운 고정점에 따른 임계거동====+====$d<4$의 임계거동====
  
 이 새로운 고정점 주위에서 $\delta r_0 \equiv r_0 - r_0^\ast$와 $\delta u \equiv u - u^\ast$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선형근사를 통해 적어보자. 이 새로운 고정점 주위에서 $\delta r_0 \equiv r_0 - r_0^\ast$와 $\delta u \equiv u - u^\ast$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선형근사를 통해 적어보자.
Line 482: Line 482:
 \delta &=& \frac{d+2-\eta}{d-2+\eta} \approx \frac{4-\epsilon+2}{4-\epsilon-2} \approx 3+\epsilon \delta &=& \frac{d+2-\eta}{d-2+\eta} \approx \frac{4-\epsilon+2}{4-\epsilon-2} \approx 3+\epsilon
 \end{eqnarray*} \end{eqnarray*}
 +
 +무모하게 보이지만 놀랍게도 이런 방식으로 저차원 모형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 3차원 이징 모형은 $\epsilon=1$, $n=1$인 경우인데 $\epsilon$의 차수를 높여가며 계산하면 다른 계산방법들과 일치하는 값으로 수렴한다. 세 번째 열은 5차항까지 더한 결과이다.
 +
 +^ 임계지수 ^ $O(\epsilon)$ ^ $O(\epsilon^5)$ ^ Direct RG ^ 고온 전개 ^
 +|$\nu$ | 0.58 | 0.630 | 0.630 | 0.633 |
 +|$\eta$| 0    | 0.037 | 0.031 | 0.042 |
 +
 +2차원 이징 모형의 경우에도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
 +^ 임계지수 ^ $O(\epsilon)$ ^ $O(\epsilon^5)$ ^ 정확한 값 ^
 +|$\nu$ | 0.67 | 0.99 | 1   |
 +|$\eta$| 0   | 0.26  | 0.25|
 +
  
  
 ======참고문헌====== ======참고문헌======
   * Shang-Keng Ma, //Modern Theory of Critical Phenomena// (Westview Press, 1976, 2000).   * Shang-Keng Ma, //Modern Theory of Critical Phenomena// (Westview Press, 1976, 2000).
 +  * John Cardy, //Scaling and Renormalization in Statistical Physics//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1996).
  • 물리/입실론_전개.txt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