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평균장_이론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물리:평균장_이론 [2016/02/11 12:32] admin물리:평균장_이론 [2023/09/05 15:46] (current) – external edit 127.0.0.1
Line 1: Line 1:
-======평균장 해밀토니안======+======평균장 근사======
  
 [[물리:이징 모형]]의 [[물리:해밀토니안]]은 다음과 같이 쓰여진다: [[물리:이징 모형]]의 [[물리:해밀토니안]]은 다음과 같이 쓰여진다:
Line 20: Line 20:
 $$=  N_B J m^2 - 2 J m \sum_{(ij) \in B} S_i - h \sum_{i} S_i$$ $$=  N_B J m^2 - 2 J m \sum_{(ij) \in B} S_i - h \sum_{i} S_i$$
 $$=  N_B J m^2 - J m z \sum_{i} S_i - h \sum_{i} S_i$$ $$=  N_B J m^2 - J m z \sum_{i} S_i - h \sum_{i} S_i$$
-$$=  N_B J m^2 - (J m z +h) \sum_{i} S_i$$+$$=  N_B J m^2 - (J m z +h) \sum_{i} S_i.$$ 
 +이 때 $N_B$는 전체 연결선의 수, $z$는 한 스핀 당 연결선의 수를 의미한다. 그러니까 연결선을 따라 더하면($\sum_{(ij)\in B}$) 각 스핀은 $z/2$번 더해지는 것에 해당한다 (한 연결선이 두 개의 스핀에 공유되므로 $1/2$). 
 + 
 +이렇게 근사적인 해밀토니안을 분배함수 식에 대입하면 
 +$$Z = \mbox{Tr~}\exp \left[ \beta \left( N_B Jm^2 - (Jmz+h)\sum_i S_i \right) \right]$$ 
 +$$ = e^{-\beta N_B Jm^2} [2\cosh \beta(Jmz+h)]^N$$ 
 +이고 대각합 계산으로부터 자기화가 만족해야 하는 식 
 +$$m = \frac{1}{Z} \mbox{Tr~} S_i e^{-\beta H} = \tanh \beta (Jmz+h)$$ 
 +를 얻는다. 
 + 
 +======무한 범위 모형====== 
 +모든 스핀이 서로 연결된 이징 모형의 경우 평균장 이론은 정확한 답을 준다. 이 때의 해밀토니안은 
 +$$H = -\frac{J}{2N} \sum_{i \neq j} S_i S_j - h \sum_i S_i$$ 
 +이다. 첫 항의 $1/2$은 각 스핀쌍이 한 번씩만 나타나도록 추가한 것이고 $1/N$은 해밀토니안을 [[물리:크기 변수]]로 만들기 위해서이다. 
 + 
 +첫 번째 항의 합을 다음처럼 고쳐 쓸 수 있다: 
 +$$\sum_{i \neq j} S_i S_j = \left(\sum_i S_i \right)^2 - N.$$ 
 +따라서 분배함수는 
 +$$Z = \mbox{Tr} \exp \left[ \frac{\beta J}{2N} \left(\sum_i S_i \right)^2 - \frac{\beta J}{2} + \beta h \sum_i S_i \right]$$ 
 +이 된다. 이 중 $\beta J/2$는 상수이고 물리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으므로 무시한다. 
 + 
 +[[수학:허바드-스트라토노비치 변환]]에 의하면 
 +$$e^{ax^2/2} = \sqrt{\frac{aN}{2\pi}} \int_{-\infty}^\infty dm~ e^{-Nam^2/2 + \sqrt{N}amx}$$ 
 +이므로 $a=\beta J$과 $x = \frac{1}{\sqrt{N}} \sum_i S_i$를 대입하면 
 +$$e^{\frac{\beta J}{2} \frac{1}{N} \left( \sum_i S_i \right)^2} = \frac{\beta J N}{2\pi} \int_{-\infty}^\infty dm~ e^{-N\beta J m^2/2 + \beta J m \sum_i S_i}$$ 
 +이다. 여기에 대각합을 걸면 $\sum_i S_i$에만 걸리므로, 결과적으로 분배함수는 
 +$$Z = \mbox{Tr} \sqrt{\frac{\beta J N}{2\pi}} \int_{-\infty}^\infty dm~ e^{-N\beta Jm^2/2 + \beta (Jm+h) \sum_i S_i}$$ 
 +$$= \sqrt{\frac{\beta J N}{2\pi}} \int_{-\infty}^\infty dm~ e^{-N\beta Jm^2/2} [2\cosh \beta(Jm+h)]^N$$ 
 +$$= \sqrt{\frac{\beta J N}{2\pi}} \int_{-\infty}^\infty dm~ \exp \left\{  - \frac{N\beta Jm^2}{2} + N\ln [2\cosh \beta (Jm + h)] \right\}$$ 
 +이 된다. 
 + 
 +[[수학:안장점 근사]] 방법에 의하면 $N \rightarrow \infty$에서 가장 큰 기여분은 아래 방정식이 만족될 때 얻어진다: 
 +$$ \frac{\partial}{\partial m} \left\{ - \frac{\beta Jm^2}{2} + \ln [2\cosh \beta (Jm + h)] \right\} = 0.$$ 
 +이는 위에서 구한 $m = \tanh \beta (Jm+h)$와 같은 식이다. 
 + 
 +여기에서 $m$은 단순히 적분변수로서 등장했음에 유의하라. 그럼에도 $m$이라는 기호를 쓴 것은 여기에 직접적인 물리적 의미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처음의 분배함수 식 
 +$$Z = \mbox{Tr} \sqrt{\frac{\beta J N}{2\pi}} \int_{-\infty}^\infty dm~ e^{-N\beta Jm^2/2 + \beta (Jm+h) \sum_i S_i}$$ 
 +에 [[수학:안장점 근사]] 방법을 적용하면 
 +$$ \frac{\partial}{\partial m} \left\{ -\frac{\beta Jm^2}{2} + \beta (Jm+h) \frac{1}{N} \sum_i S_i \right\} = 0$$ 
 +이 되면서 $m = \frac{1}{N} \sum_i S_i$임을 확인할 수 있다. 
 + 
 + 
 +======참고문헌====== 
 +  *H. Nishimori, //Statistical physics of spin glasse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n introduction// (Clarendon, Oxford, 2001).
  
  • 물리/평균장_이론.1455163369.txt.gz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external 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