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규호:임계지수

This is an old revision of the document!


임계지수

보통 상전이에서 유의미하게 관측되는 데이터의 예로 자화밀도, 자기 감수율, 열용량, 그리고 중성자 산란 단면적이 있다.

대부분의 자성체에서 위 데이터들은 $T_c$ 근방에서 특이점을 가지는 함수인 것처럼 보이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가 온도의 함수, 좀 더 자세히는 $|T-T_c|$ 에 비례한다고 할 수 있을것이다.

예를 들어 열용량 $C$ 가 $|T-T_c|$ 에 어떻게 비례하는지 아래와 같이 써 볼 수 있다. $$ C \propto |T-T_c|^{-\alpha}, \quad T>T_c $$ $$ C \propto |T-T_c|^{-\alpha^{\prime}}, \quad T<T_c $$

이 때 $\alpha , \alpha^{\prime} $ 을 열용량에 대한 임계지수 라고 표현한다. 이와 비슷하게 다른 데이터에 대해서도 임계지수를 설정해 준다.

  • 배규호/임계지수.1494906406.txt.gz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external 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