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네덜란드식_마권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수학:네덜란드식_마권 [2016/02/16 20:40] – [상호배제가 아닌 사건들] admin수학:네덜란드식_마권 [2016/02/16 21:15] – [역의 증명] admin
Line 4: Line 4:
   * 확률은 0부터 1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 확률은 0부터 1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 확실하게 일어나는 일은 확률 1이다.   * 확실하게 일어나는 일은 확률 1이다.
-  * 상호배제하는 사건들의 확률은 더한다.+  * 상호배타적인 사건들의 확률은 더한다.
   * [[수학:확률|베이즈의 정리]]   * [[수학:확률|베이즈의 정리]]
  
Line 64: Line 64:
  
  
-=====상호배제 사건===== +=====상호배타적인 사건===== 
-상호배제하는 사건(즉 동시에 일어날 수 없는 사건) $E_1$과 $E_2$가 있다. $E = E_1 \cup E_2$는 $E_1$ 또는 $E_2$가 일어나는 사건을 의미한다. 각각에 대한 믿음을 $p(E_1)$과 $p(E_2)$, 그리고 $p(E)$라고 하자. 그리고 각각의 경우 내기에 거는 돈은 $p(E_1) S_{E_1}$과 $p(E_2) S_{E_2}$, 그리고 $p(E) S_E$가 될 것이다. 이 때 세 가지 가능한 경우가 있다:+상호배타적인 사건(즉 동시에 일어날 수 없는 사건) $E_1$과 $E_2$가 있다. $E = E_1 \cup E_2$는 $E_1$ 또는 $E_2$가 일어나는 사건을 의미한다. 각각에 대한 믿음을 $p(E_1)$과 $p(E_2)$, 그리고 $p(E)$라고 하자. 그리고 각각의 경우 내기에 거는 돈은 $p(E_1) S_{E_1}$과 $p(E_2) S_{E_2}$, 그리고 $p(E) S_E$가 될 것이다. 이 때 세 가지 가능한 경우가 있다:
   * $E_1$도 $E_2$도 일어나지 않음. 이 때 노름꾼이 갖게 되는 돈은 $G_{\overline{E}} = -p(E) S_E - p(E_1) S_{E_1} - p(E_2) S_{E_2}$이다.   * $E_1$도 $E_2$도 일어나지 않음. 이 때 노름꾼이 갖게 되는 돈은 $G_{\overline{E}} = -p(E) S_E - p(E_1) S_{E_1} - p(E_2) S_{E_2}$이다.
   * $E_1$이 일어남. 그러면 $G_{E_1} = [1-p(E)] S_E + [1-p(E_1)] S_{E_1} - p(E_2) S_{E_2}$이다.   * $E_1$이 일어남. 그러면 $G_{E_1} = [1-p(E)] S_E + [1-p(E_1)] S_{E_1} - p(E_2) S_{E_2}$이다.
Line 141: Line 141:
  
 =====확률의 정규화===== =====확률의 정규화=====
-사건 $E$와 $\overline{E}$가 상호배제 사건이고 이것 아니면 저것임이 확실하므로+사건 $E$와 $\overline{E}$가 상호배타적인 사건이고 이것 아니면 저것임이 확실하므로
 $$1 = P(E \cup \overline{E}) = P(E) + P(\overline{E})$$ $$1 = P(E \cup \overline{E}) = P(E) + P(\overline{E})$$
 이다. 이다.
  
 =====세 번째 규칙을 대체하기===== =====세 번째 규칙을 대체하기=====
-상호배제 사건의 확률들을 더할 수 있다는 세 번째 규칙 대신 정규화 조건을 넣을 수도 있다. 이를 보기 위해 상호배제 사건인 $E_1$과 $E_2$를 고려하고 $E = E_1 \cup E_2$라고 하자. $E_1$과 $E_2$가 모든 가능성을 포괄하므로 정규화 조건에 의해+상호배타적인 사건의 확률들을 더할 수 있다는 세 번째 규칙 대신 정규화 조건을 넣을 수도 있다. 이를 보기 위해 상호배타적인 사건인 $E_1$과 $E_2$를 고려하고 $E = E_1 \cup E_2$라고 하자. $E_1$과 $E_2$가 모든 가능성을 포괄하므로 정규화 조건에 의해
 $$p(E_1 |E) + p(E_2 |E) = 1$$ $$p(E_1 |E) + p(E_2 |E) = 1$$
 이다. 나아가, $E_1$ 또는 $E_2$가 일어났다면 $E$ 역시 당연히 일어난 것이므로 이다. 나아가, $E_1$ 또는 $E_2$가 일어났다면 $E$ 역시 당연히 일어난 것이므로
Line 181: Line 181:
 으로 정규화 조건을 얻는다. 으로 정규화 조건을 얻는다.
  
-======상호배제가 아닌 사건들====== +======상호배타적이지 않은 사건들====== 
-두 사건 $A$와 $B$는 일반적으로 상호배제하지 않다. 그러나 $A \cap \overline{B}$와 $B$는 상호배제 사건들이다. 그러므로 두 사건들의 확률은 더할 수 있다:+두 사건 $A$와 $B$는 일반적으로 상호배타적이지 않다. 그러나 $A \cap \overline{B}$와 $B$는 상호배타적인 사건들이다. 그러므로 두 사건들의 확률은 더할 수 있다:
 $$P(A \cap \overline{B}) + P(B) = P[(A \cap \overline{B}) \cup B].$$ $$P(A \cap \overline{B}) + P(B) = P[(A \cap \overline{B}) \cup B].$$
 분배 법칙에 의하면 분배 법칙에 의하면
Line 193: Line 193:
 $$p(A \cap B) = p(A) + p(B) - p(A \cap B)$$ $$p(A \cap B) = p(A) + p(B) - p(A \cap B)$$
 이다. 이다.
 +
 +======역의 증명======
 +즉 확률의 규칙을 따라 믿음을 형성하는 노름꾼을 만난다면 마권업자가 언제나 그에게 손해를 입히는 것이 불가능함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다음의 두 경우를 증명하면 그 둘을 조합함으로써 일반적인 이야기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첫 번째 경우=====
 +상호배타적이고 전체를 망라하는(exhaustive) 사건들 $N$ 개에 대해 내기를 건다고 생각하자. 각 사건 $j$에 대해 $S_j$의 판돈이 걸려있는데 노름꾼이 이에 $p_j$의 믿음을 가짐으로써 $p_j S_j$의 돈을 걸고 내기에 참여한다고 하자. 만일 사건 $j$가 일어난다면 노름꾼이 가지게 되는 금액은
 +$$G_j = S_j - \sum_{k=1}^N p_k S_k$$
 +이다. 전체를 놓고 보면 이 노름꾼이 가지게 될 금액의 기대값은
 +$$G = \sum_{j=1}^N p_j G_j = \sum_{j=1}^N p_j S_j - \sum_{j=1}^N \sum_{k=1}^N p_j p_k S_k
 += \left(1 - \sum_{k=1}^N p_k \right) \sum_{j=1}^N p_j S_j$$
 +이다. 확률이 정규화되어 있다면 $G=0$이고 이는 모든 결과를 음수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함을 의미한다.
 +
 +
 +=====두 번째 경우=====
 +조건부 사건에 대해 내기를 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앞에서 베이즈의 정리를 논하면서 다음의 결과를 적었다:
 +  *사건 $B$가 일어나지 않을 때 (확률은 $[1-p(B)]$): $$G_{\overline{B}} = -p(B) S_B - p(A\cap B) S_{A \cap B}$$
 +  *$B$는 일어났지만 $A$가 일어나지 않을 때 (확률은 $p(\overline{A}|B) p(B) = [1-p(A|B)] p(B)$): $$G_{\overline{A}|B} = [1-p(B)] S_B  - p(A|B) S_{A|B} - p(A\cap B) S_{A \cap B}$$
 +  *$A$와 $B$가 둘 다 일어날 때 (확률은 $p(A \cap B)$): $$G_{A \cap B} = [1-p(B)] S_B  - [1-p(A|B)] S_{A|B} - [1-p(A\cap B)] S_{A \cap B}$$
 +
 +따라서 노름꾼이 전체적으로 기대하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G = [1-p(B)] G_B + [1-p(A|B)] p(B) G_{A|B} + p(A\cap B) G_{A \cap B}.$$
 +위의 식들을 대입하고 정리하면
 +$$G = [p(A \cap B) - p(A|B) p(B)] \times \left[ S_B + S_{A|B} -p(B) S_B - p(A\cap B)S_{A \cap B} -p(A|B) S_{A|B} \right]$$
 +이므로 베이즈의 정리가 그 값을 0으로 만든다. 다시 말해 언제나 노름꾼이 잃게끔 꾸미는 것은 불가능하다.
 +
 +
  
  
  • 수학/네덜란드식_마권.txt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