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디락_델타_함수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수학:디락_델타_함수 [2016/04/06 09:24] admin수학:디락_델타_함수 [2016/05/24 16:15] – [적분 표현식] admin
Line 1: Line 1:
-======디락 델타 함수의 적분 표현식======+======적분 표현====== 
 +$f(x)$의 [[:수학:푸리에 변환]] 
 +$$f(x) = \int_{-\infty}^\infty g(k) e^{ikx} dx$$ 
 +$$g(k) = \frac{1}{2\pi} \int_{-\infty}^\infty f(x) e^{-ikx} dk$$ 
 +로부터 두 번째 식을 첫 번째 식에 대입하면 
 +\begin{eqnarray} 
 +f(x) &=& \int_{-\infty}^\infty \left[ \frac{1}{2\pi} \int_{-\infty}^\infty f(y) e^{-iky} dk \right] e^{ikx} dx\\ 
 +&=& \int_{-\infty}^\infty f(y) \left( \frac{1}{2\pi} \int_{-\infty}^\infty e^{ik(x-y)} dk \right) dy\\ 
 +&=& \int_{-\infty}^\infty f(y) \delta(x-y) dy 
 +\end{eqnarray} 
 +임을 알 수 있다. 식 (1)에서는 허깨비 변수 $y$를 사용했음에 유의한다. 즉 
 +$$\delta(x) = \frac{1}{2\pi} \int_{-\infty}^\infty e^{ikx} dk.$$ 
 + 
 +=====직접 적분을 통한 유도===== 
 +위 식을 바로 적분해서 디락 델타 함수임을 볼 수도 있는데 이 때에는 약간의 트릭이 필요하다. 
 + 
 +작은 양수 $\epsilon$을 집어넣어서 적분의 진동을 감쇠시켜보자. 그 후에 $\epsilon\rightarrow 0$의 극한을 취할 것이다. 그러면 
 + 
 +\begin{eqnarray} 
 +\frac{1}{2\pi} \int_{-\infty}^\infty e^{ikx} dk &=& \lim_{\epsilon\rightarrow 0} \left[ \frac{1}{2\pi} \int_0^\infty e^{ikx-\epsilon x} dk + \frac{1}{2\pi} \int_{-\infty}^0 e^{ikx+\epsilon x} dk \right]\\ 
 +&=& \lim_{\epsilon\rightarrow 0} \frac{1}{2\pi} \left[ \frac{1}{\epsilon+ix} + \frac{1}{\epsilon-ix} \right]\\ 
 +&=& \lim_{\epsilon\rightarrow 0} \frac{\epsilon}{\pi(\epsilon^2 + x^2)} 
 +\end{eqnarray} 
 +그런데 모든 $x\neq 0$에 대해서 $\lim_{\epsilon\rightarrow 0} \frac{\epsilon}{\pi(\epsilon^2 + x^2)}=0$이고, 임의의 $\epsilon>0$에 대해 
 +$$\int_{-\infty}^\infty \frac{\epsilon}{\pi(\epsilon^2 + x^2)} dx = 1$$ 
 +이어서 디락 델타 함수의 성질을 가진다. 
 + 
 +======등식======
 $$\delta(t-t') = \frac{1}{2\pi} \int_{-\infty}^\infty e^{i\omega(t-t')} d\omega$$ $$\delta(t-t') = \frac{1}{2\pi} \int_{-\infty}^\infty e^{i\omega(t-t')} d\omega$$
 인데, $\delta(t)$는 짝함수이므로 이는 또한 인데, $\delta(t)$는 짝함수이므로 이는 또한
Line 10: Line 37:
 \end{eqnarray*} \end{eqnarray*}
 [[물리:칼데이라-레겟 모형]]의 흩어지기 부분을 묘사할 때 사용되는 식이다. [[물리:칼데이라-레겟 모형]]의 흩어지기 부분을 묘사할 때 사용되는 식이다.
 +
 +======적분구간이 양수일 때======
 +[[물리:랑주뱅 방정식|2종 요동-흩어지기 정리]]의 유도와 [[물리:칼데이라-레겟 모형]]의 흩어지기 부분 분석에서처럼
 +$\delta(t)$를 $0$부터 $\infty$까지 적분해야 할 경우 $\delta(t)$가 짝함수이므로
 +$$\int_0^\infty \delta(t) dt = \frac{1}{2} \int_{-\infty}^\infty \delta(t) dt = \frac{1}{2}$$
 +이라고 놓는다.
 +
 +======함께 보기======
 +[[:수학:크로네커 델타]]
  
  • 수학/디락_델타_함수.txt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