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르장드르_변환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수학:르장드르_변환 [2016/08/17 20:56] – [예] admin수학:르장드르_변환 [2016/08/17 21:58] – [라플라스 변환과의 연결] admin
Line 19: Line 19:
 =====예===== =====예=====
 조화 퍼텐셜 $U = \frac{1}{2}k(x-x_{\min})^2$가 있고, 원래 그 최소점인 $x_{\min}$에 입자가 하나 있었다고 해보자. 조화 퍼텐셜 $U = \frac{1}{2}k(x-x_{\min})^2$가 있고, 원래 그 최소점인 $x_{\min}$에 입자가 하나 있었다고 해보자.
-힘 $f$가 걸리면 입자의 위치는 $x_0$로 옮겨가는데그 정확한 값은 방정식 +힘 $f$가 걸릴 때의 입자의 위치 $x$를 생각해보면, 방정식 
-$$\left. \frac{dU}{dx} \right|_{x_0} = k(x_0 - x_{\min}) = f$$+$$\frac{dU}{dx} = k(- x_{\min}) = f$$
 를 통해 구할 수 있다. 왜냐하면 퍼텐셜에서 비롯되는 힘은 $-dU/dx$이고 이 힘이 $-dU/dx + f = 0$로 역학적 평형을 이뤄야 하기 때문이다. 를 통해 구할 수 있다. 왜냐하면 퍼텐셜에서 비롯되는 힘은 $-dU/dx$이고 이 힘이 $-dU/dx + f = 0$로 역학적 평형을 이뤄야 하기 때문이다.
 위의 식을 위의 식을
-$$x_0 (f) = \frac{f}{k} + x_{\min}$$ +$$x(f) = \frac{f}{k} + x_{\min}$$ 
-으로 적을 수도 있을 것이다.+으로 고쳐 적을 수도 있을 것이다.
  
 +$U(x)$의 르장드르 변환은
 +\begin{eqnarray*}
 +V(f) &=& fx(f) - U[x(f)]\\
 +&=& f \left( \frac{f}{k} + x_{\min} \right) - \frac{1}{2}k \left[ \left(\frac{f}{k} + x_{\min} \right) - x_{\min} \right]^2\\
 +&=& \frac{f^2}{k} + fx_{\min} - \frac{1}{2} \frac{f^2}{k}\\
 +&=& \frac{1}{2} \frac{f^2}{k} + fx_{\min}
 +\end{eqnarray*}
 +이다. 한번 더 변환하면 원래의 식이 얻어지며, 아래의 식 역시 쉽게 확인 가능하다:
 +$$x(f) = \frac{dV}{df}.$$
  
 +만일 르장드르 변환을 통해 $V(f)$를 도입하는 대신 $U$를 $f$에 대해 씀으로써 $U[x(f)]$만을 적는다면 $x_{\min}$이라는 정보는 사라짐에 유의한다.
  
 +======라플라스 변환과의 연결======
 +[[물리:엔트로피]] $S$를 [[물리:볼츠만 상수]] $k_B$로 나눈 양을 $\mathcal{S}$라고 하자. [[물리:엔트로피]]의 통계역학적 해석에 의하면 $\mathcal{S} = \ln W(U)$인데, $W(U) dU$란 [[물리:내부 에너지]]가 $U$와 $U+dU$ 사이인 계가 가질 수 있는 위상공간의 부피를 말한다.
 +
 +[[물리:분배 함수]] $Z$는 다음처럼 [[수학:라플라스 변환]]을 통해 $W(U)$와 연결된다:
 +$$Z(\beta) = \int W(U) e^{-\beta U} dU.$$
 +이 때에 $\beta$란 온도 $T$에 대해 $\beta \equiv (k_B T)^{-1}$를 의미한다.
 +
 +[[수학:브롬위치 적분]]을 통해 [[수학:라플라스 변환]]의 역변환을 취하면
 +$$W(U) = \frac{1}{2\pi i} \int_C Z(\beta) e^{\beta U} d\beta$$
 +이다. $C$는 [[수학:브롬위치 적분]]의 경로를 말한다.
 +
 +[[물리:열역학 퍼텐셜|헬름홀츠 자유 에너지]] $F$에 대해
 +$\mathcal{F} \equiv \beta F$를 정의하면 $Z(\beta) = e^{-\mathcal{F}(\beta)}$이다.
 +따라서
 +$$W(U) = \frac{1}{2\pi i} \int_C e^{-\mathcal{F} + \beta U} d\beta$$
 +이다.
 +
 +입자의 수 $N$이 커지면 $F$와 $U$ 등은 [[물리:크기 변수]]이기 떄문에 $O(N)$으로 함께 커진다.
 +따라서 우변은 $\beta U - \mathcal{F}$의 최대, 즉 $\beta$에 대한 도함수가 0이 되는 지점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 \frac{\partial}{\partial \beta} (\beta U - \mathcal{F}) = 0.$$
 +달리 말하면 $U = \frac{\partial \mathcal{F}}{\partial \beta}$가 성립하게 된다.
 +
 +그리고 위의 [[수학:브롬위치 적분]]은
 +$$W(U) \approx \exp\left[ \beta U - \mathcal{F}[\beta(U)] \right]$$
 +으로 구해져서, $\mathcal{S} = \ln W$를 사용하면
 +$$\mathcal{F} = \beta U - \mathcal{S},$$
 +혹은 더 익숙한 표현으로는 $F = U - TS$의 결과를 준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 R. K. P. Zia, Edward F. Redish, and Susan R. McKay, [[http://dx.doi.org/10.1119/1.3119512|Making Sense of the Legendre Transform]], Am. J. Phys. 77, 614 (2009), [[https://arxiv.org/abs/0806.1147|arXiv:0806.1147]].   * R. K. P. Zia, Edward F. Redish, and Susan R. McKay, [[http://dx.doi.org/10.1119/1.3119512|Making Sense of the Legendre Transform]], Am. J. Phys. 77, 614 (2009), [[https://arxiv.org/abs/0806.1147|arXiv:0806.1147]].
  • 수학/르장드르_변환.txt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