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물리학:몬테_카를로_적분법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전산물리학:몬테_카를로_적분법 [2017/10/05 19:35] minjae전산물리학:몬테_카를로_적분법 [2017/10/10 14:36] – [오차] minjae
Line 1: Line 1:
 ======개요====== ======개요======
-난수를 이용한 함수의 적분법.+난수를 이용한 함수의 적분법이다.
  
 ======몬테 카를로 적분법====== ======몬테 카를로 적분법======
Line 7: Line 7:
 $$ I = \int_0^2\sin^2\left[\frac{1}{x(2-x)}\right]dx $$ $$ I = \int_0^2\sin^2\left[\frac{1}{x(2-x)}\right]dx $$
  
-{{::montecarlointegration.png|}}+{{ ::montecarlointegration.png |}}
  
 적분할 함수의 개형을 보면 양 끝 점으로 갈수록 무한히 가파르게 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반면, 함수의 그래프가 2$\times$1인 사각형 안에 알맞게 들어오기 때문에 적분값이 유한하고 그 값이 2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치적분을 할 때 사다리꼴 적분법이나 가우스 구적법을 많이 사용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위와 같이 가파르게 변하는 함수의 적분값을 적절하게 구해주지 못한다. 이러한 경우에 다른 여러 방법들 중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가 몬테 카를로 적분법이다. 적분할 함수의 개형을 보면 양 끝 점으로 갈수록 무한히 가파르게 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반면, 함수의 그래프가 2$\times$1인 사각형 안에 알맞게 들어오기 때문에 적분값이 유한하고 그 값이 2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치적분을 할 때 사다리꼴 적분법이나 가우스 구적법을 많이 사용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위와 같이 가파르게 변하는 함수의 적분값을 적절하게 구해주지 못한다. 이러한 경우에 다른 여러 방법들 중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가 몬테 카를로 적분법이다.
Line 20: Line 20:
  
 ====== 오차 ====== ====== 오차 ======
-무작위로 뽑은 점 하나가 함수값 보다 작을 확률이 $ p = I/A $이므로 함수값 보다 은 값을 가질 확률은 $ 1-p $이다. 만약 무작위 수를 뽑는 횟수가 $N$ 번이고 이 중 함수값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수가 $k$개가 뽑일 확률은 +무작위로 뽑은 점 하나가 함수값 보다 작을 확률이 $ p = I/A $이므로 함수값 보다 크거나 같은 값을 가질 확률은 $ 1-p $이다. 만약 무작위 수를 뽑는 횟수가 $N$ 번이고 이 중 함수값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수가 $k$개가 뽑일 확률은 
  
 $$ P(k) = \binom{N}{k}p^k(1-p)^{N-k} $$  $$ P(k) = \binom{N}{k}p^k(1-p)^{N-k} $$ 
Line 30: Line 30:
 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표준편차를 아래와 같이 얻을 수 있다. 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표준편차를 아래와 같이 얻을 수 있다.
  
-$$ \sigma = \sqrt{\text{var}~k}\frac{A}{N} = \frac{\sqrt{I(A-I)}}{\sqrt{N}} $$+$$ \sigma_N = \sqrt{\text{var}~k}\frac{A}{N} = \frac{\sqrt{I(A-I)}}{\sqrt{N}} $$
  
-따라서 무작위 수를 $N$ 번 얻어 몬테 카를로 적분법을 사용하면 정확한 적분값과 비교하여 $1/\sqrt{N}$에 비례하는 오차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따라서 무작위 수를 $N$ 번 얻어 몬테 카를로 적분법을 사용하면 난수를 이용하여 구한 적분의 기댓값과 비교하여 $1/\sqrt{N}$에 비례하는 오차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 \sigma \sim \frac{1}{\sqrt{N}} $$+$$ \sigma_N \sim \frac{1}{\sqrt{N}} $$ 
 + 
 +======함께 보기====== 
 +[[:전산물리학:평균값 방법]] 
 + 
 +======참고문헌====== 
 +  - M. E. J. Newman, //Computational Physics// (Createspace Independent Pub, 2012).
  • 전산물리학/몬테_카를로_적분법.txt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