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생물학:가지치기_과정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진화생물학:가지치기_과정 [2016/07/20 15:03] minjae진화생물학:가지치기_과정 [2016/07/20 21:07] – [생성함수로의 표현] minjae
Line 1: Line 1:
 ======개요====== ======개요======
-어떤 성씨를 가진 남성이 $i$명의 아들을 가질 확률 $p_{i}$를 도입하여 성씨의 소멸에 대한 연구로 출발하였다.+어떤 성씨를 가진 남성이 $i$명의 자식을 가질 확률 $p_{i}$를 도입하여 성씨의 소멸에 대한 연구로 출발하였다.
  
 +======규칙======
 +성씨를 구성하는 개인의 수가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고 가정하자.
 +
 +  * 모든 세대 $n = 0, 1, 2,...$에서 각 개인이 자식을 가질 수는 무작위적이며 개인들 사이에서는 독립적이다. \\
 +  * 자식을 낳을 확률 질량 함수를 자식 분포라고 부르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p_{i} = $ $P$(자식의 수 $= i$), $i$ $=$ $0, 1, 2, ...$ \\
 +  * 단순한 경우를 제외하기 위해 $p_{0} < 1, p_{1} < 1$이라고 가정하자. 한 명으로 구성된 시작 세대를 $0$세대라고 하고 성씨의 가지치기 과정을 진행했을 때, 이 과정이 유한한 경우를 성씨의 '소멸'이라 하고 무한한 경우 '생존'이라 부른다. 
 +
 +위와 같은 가정을 도입하고 $n$세대에서의 인구수를 $X_{n}$으로 나타낸다면 가지치기 과정은 마르코프 연쇄로 볼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
 +  * $X_n = 0$인 경우, $n$세대에 계속 머무르게 되어 $0$은 흡수상태이다.
 +
 +======생성함수로의 표현======
 +자식 분포의 [[수학:모멘트 생성함수]]를 $\phi$라고 하자. 편리함을 위해 모멘트 생성함수 정의식에서의 $e^t$를 $s$로 바꿔 표현하면
 +
 +\begin{eqnarray}
 +\phi(s) = \phi_{X_{1}}(s) = E(s^{X_1}) = \sum_{k=0}^{\infty} p_{k} s^k
 +\end{eqnarray}
 +가 된다. 이 식은 수열 $p_{k}$의 생성함수 표현과 정확히 일치한다. $X_{n}$의 모멘트 생성함수는 \\
 +
 +\begin{eqnarray*}
 +\phi_{X_{n}} = E[s^{X_{n}}] = \sum_{k=0}^{\infty} P(X_{n} = k) s^{k} 
 +\end{eqnarray*}
 +
 +로 나타낼 수 있다.
 +
 +조건부 기댓값의 계산법을 이용하여 계산해보면
 +\begin{eqnarray*}
 +\phi_{X_{n}} &=& E[s^{X_{n}}] \\
 +&=& \sum_{k=0}^{\infty} E[s^{X_{n}} | X_{n-1} = k] P(X_{n-1} = k) \\
 +&=& \sum_{k=0}^{\infty} E[s^{W_{1}+W_{2}+...+W_{k}}] P(X_{n-1} = k)\\
 +&=& \sum_{k=0}^{\infty} E(s^{W_{1}}) E(s^{W_{1}}) \ldots E(s^{W_{k}}) P(X_{n-1} = k)\\
 +&=& \sum_{k=0}^{\infty} \phi(s)^{k} P(X_{n-1} = k) \\
 +&=& \phi_{X_{n-1}}(\phi(s))
 +\end{eqnarray*}
 +
 +가 되어 재귀함수의 형태를 얻을 수 있다.
 +=====푸아송 분포=====
 +자식의 수가 [[수학:푸아송 분포]]를 따르는 경우 $p_{k}=\frac{\lambda^{k}}{k!}e^{-\lambda}$가 되고 이것을 식 (1)에 대입하여 풀어보면
 +
 +\begin{eqnarray*}
 +\phi(s) &=& \sum_{k} p_{k}s^{k}\\
 +&=& \sum_{k} \frac{\lambda^{k}}{k!}e^{-\lambda} s^{k} \\
 +&=& e^{\lambda s}e^{-\lambda} \\
 +&=& e^{\lambda(s-1)}
 +\end{eqnarray*}
 +
 +여기서 $\lambda$는 자식 수의 평균을 의미한다.
 ======참고 문헌====== ======참고 문헌======
 https://www.math.ucdavis.edu/~gravner/MAT135A/resources/lecturenotes.pdf https://www.math.ucdavis.edu/~gravner/MAT135A/resources/lecturenotes.pdf
  • 진화생물학/가지치기_과정.txt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