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생물학:가지치기_과정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진화생물학:가지치기_과정 [2016/07/20 17:52] – [푸아송 분포] minjae진화생물학:가지치기_과정 [2016/07/20 21:03] – [푸아송 분포] minjae
Line 14: Line 14:
  
 ======생성함수로의 표현====== ======생성함수로의 표현======
-자식 분포의 모멘트 생성함수를 $\phi$라고 하자. 편리함을 위해 모멘트 생성함수 정의식에서의 $e^t$를 $s$로 바꿔 표현하면+자식 분포의 [[수학:모멘트 생성함수]]를 $\phi$라고 하자. 편리함을 위해 모멘트 생성함수 정의식에서의 $e^t$를 $s$로 바꿔 표현하면 
 \begin{eqnarray} \begin{eqnarray}
-$\phi(s) = \phi_{X_{1}}(s)=E(s^{X_1}) = \sum_{k=0}^{\infty}p_{k}s^k$+\phi(s) = \phi_{X_{1}}(s) = E(s^{X_1}) = \sum_{k=0}^{\infty} p_{k} s^k
 \end{eqnarray} \end{eqnarray}
-가 된다. 이 식은 수열 $p_{k}$의 생성함수 표현과 정확히 일치한다.+가 된다. 이 식은 수열 $p_{k}$의 생성함수 표현과 정확히 일치한다. $X_{n}$의 모멘트 생성함수는 \\ 
 + 
 +\begin{eqnarray*} 
 +\phi_{X_{n}} = E[s^{X_{n}}] = \sum_{k=0}^{\infty} P(X_{n} = k) s^{k}  
 +\end{eqnarray*} 
 + 
 +로 나타낼 수 있다. 
 + 
 +조건부 기댓값의 계산법을 이용하여 계산해보면 
 +\begin{eqnarray*} 
 +\phi_{X_{n}} &=& E[s^{X_{n}}] \\ 
 +&=& \sum_{k=0}^{\infty} E[s^{X_{n}} | X_{n-1} = k] P(X_{n-1} = k) \\ 
 +&=& \sum_{k=0}^{\infty} E[s^{W_{1}+W_{2}+...+W_{k}] P(X_{n-1} = k)\\ 
 +&=& \sum_{k=0}^{\infty} E(s^{W_{1}} E(s^{W_{1}}) \ldots E(s^{W_{k}}) P(X_{n-1} = k)\\ 
 +&=& \sum_{k=0}^{\infty} \phi(s)^{k} P(X_{n-1} = k) \\ 
 +&=& \phi_{X_{n-1}}(\phi(s)) 
 +\end{eqnarray*}
  
 +가 되어 재귀함수의 형태를 얻을 수 있다.
 =====푸아송 분포===== =====푸아송 분포=====
-자식의 수가 푸아송 분포를 따르는 경우 $p_{k}=\frac{\lambda^{k}}{k!}e^{-\lambda}$가 되고 이것을 식 (1)에 대입하여 풀어보면+자식의 수가 [[수학:푸아송 분포]]를 따르는 경우 $p_{k}=\frac{\lambda^{k}}{k!}e^{-\lambda}$가 되고 이것을 식 (1)에 대입하여 풀어보면
  
 \begin{eqnarray*} \begin{eqnarray*}
  • 진화생물학/가지치기_과정.txt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