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생물학:가지치기_과정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진화생물학:가지치기_과정 [2016/07/20 17:52] – [푸아송 분포] minjae진화생물학:가지치기_과정 [2023/09/05 15:46] (current) – external edit 127.0.0.1
Line 14: Line 14:
  
 ======생성함수로의 표현====== ======생성함수로의 표현======
-자식 분포의 모멘트 생성함수를 $\phi$라고 하자. 편리함을 위해 모멘트 생성함수 정의식에서의 $e^t$를 $s$로 바꿔 표현하면+자식 분포의 [[수학:모멘트 생성함수]]를 $\phi$라고 하자. 편리함을 위해 모멘트 생성함수 정의식에서의 $e^t$를 $s$로 바꿔 표현하면 
 \begin{eqnarray} \begin{eqnarray}
-$\phi(s) = \phi_{X_{1}}(s)=E(s^{X_1}) = \sum_{k=0}^{\infty}p_{k}s^k$+\phi(s) = \phi_{X_{1}}(s) = E(s^{X_1}) = \sum_{k=0}^{\infty} p_{k} s^k
 \end{eqnarray} \end{eqnarray}
-가 된다. 이 식은 수열 $p_{k}$의 생성함수 표현과 정확히 일치한다.+가 된다. 이 식은 수열 $p_{k}$의 생성함수 표현과 정확히 일치한다. $X_{n}$의 모멘트 생성함수는 \\ 
 + 
 +\begin{eqnarray*} 
 +\phi_{X_{n}} = E[s^{X_{n}}] = \sum_{k=0}^{\infty} P(X_{n} = k) s^{k}  
 +\end{eqnarray*} 
 + 
 +로 나타낼 수 있다. 
 + 
 +조건부 기댓값의 계산법을 이용하여 계산해보면 
 +\begin{eqnarray*} 
 +\phi_{X_{n}} &=& E[s^{X_{n}}] \\ 
 +&=& \sum_{k=0}^{\infty} E[s^{X_{n}} | X_{n-1} = k] P(X_{n-1} = k) \\ 
 +&=& \sum_{k=0}^{\infty} E[s^{W_{1}+W_{2}+...+W_{k}}] P(X_{n-1} = k)\\ 
 +&=& \sum_{k=0}^{\infty} E(s^{W_{1}}) E(s^{W_{1}}) \ldots E(s^{W_{k}}) P(X_{n-1} = k)\\ 
 +&=& \sum_{k=0}^{\infty} \phi(s)^{k} P(X_{n-1} = k) \\ 
 +&=& \phi_{X_{n-1}}(\phi(s)) 
 +\end{eqnarray*}
  
 +가 되어 재귀함수의 형태를 얻을 수 있다.
 =====푸아송 분포===== =====푸아송 분포=====
-자식의 수가 푸아송 분포를 따르는 경우 $p_{k}=\frac{\lambda^{k}}{k!}e^{-\lambda}$가 되고 이것을 식 (1)에 대입하여 풀어보면+자식의 수가 [[수학:푸아송 분포]]를 따르는 경우 $p_{k}=\frac{\lambda^{k}}{k!}e^{-\lambda}$가 되고 이것을 식 (1)에 대입하여 풀어보면
  
 \begin{eqnarray*} \begin{eqnarray*}
  • 진화생물학/가지치기_과정.1469006567.txt.gz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external 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