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minwoo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user:minwoo [2022/07/13 19:57] minwoouser:minwoo [2023/09/05 15:46] (current) – external edit 127.0.0.1
Line 23: Line 23:
 왜냐하면, 그림의 예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모두가 모두에게 좋은 관계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해당 삼각형 상에서는 사회적인 스트레스(social stress)가 발생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그림의 예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모두가 모두에게 좋은 관계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해당 삼각형 상에서는 사회적인 스트레스(social stress)가 발생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 $\\$
-두번째 단계의 삼각형의 '균형이 깨진' (imbalanced) 이유도 직관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두 번째 단계의 삼각형의 '균형이 깨진' (imbalanced) 이유도 직관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
 모두가 친구 및 배우자 관계로서 '좋은 관계'를 가졌던 상태에서 부부 사이가 서로 좋지 않은 관계로 전환 되었으므로 그 둘 모두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친구의 입장은 다소 불편해진다.$\\$ 모두가 친구 및 배우자 관계로서 '좋은 관계'를 가졌던 상태에서 부부 사이가 서로 좋지 않은 관계로 전환 되었으므로 그 둘 모두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친구의 입장은 다소 불편해진다.$\\$
 (논문에서 든 예를 그대로 따라서 설명하자면) 그 친구가 각각의 배우자와 만날 때, 전 배우자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되면 입장이 불편해지고, 결국 그는 '균형'에 의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둘 중 한 명과의 관계를 좋지 않게 바꾸게 될 것이며$\\$ (논문에서 든 예를 그대로 따라서 설명하자면) 그 친구가 각각의 배우자와 만날 때, 전 배우자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되면 입장이 불편해지고, 결국 그는 '균형'에 의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둘 중 한 명과의 관계를 좋지 않게 바꾸게 될 것이며$\\$
-그 결과로 세번째 삼각형과 같은 관계로 배열되어 다시 '균형 있는'(balanced) 삼각형이 된다는 것이다. $\\$+그 결과로 세 번째 삼각형과 같은 관계로 배열되어 다시 '균형 있는'(balanced) 삼각형이 된다는 것이다. $\\$
 $\\$ $\\$
 즉, Heider의 균형 이론(balance theory)에 따른 i,j,k 세 사람으로 이루어진 삼각형 균형 (triad balance)을 다음과 같은 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Heider의 균형 이론(balance theory)에 따른 i,j,k 세 사람으로 이루어진 삼각형 균형 (triad balance)을 다음과 같은 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Line 34: Line 34:
 ==== Group(cluster) 형성 개념 ==== ==== Group(cluster) 형성 개념 ====
 위에서 설명한 대로, 상호간의 관계를 +1 또는 -1인 '2개의 값만을 갖는'(binary)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한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대로, 상호간의 관계를 +1 또는 -1인 '2개의 값만을 갖는'(binary)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한 경우에는$\\$
-Heider의 balance 개념을 이용하여 사회적 네트워크 (social network) 상에서 사회 집단이 두 개 이상의 그룹으로 쪼개어지는 원리를 보다 원활히 이해할 수 있다. (이는 나중에 설명할 '간접 상(indirect reciprocity)도 관성이 다.)+Heider의 balance 개념을 이용하여 사회적 네트워크 (social network) 상에서 사회 집단이 두 개 이상의 그룹으로 쪼개어지는 원리를 보다 원활히 이해할 수 있다. 
 +$\\$ 
 +이 게시글 맨 하단부의 '참고문헌' 목록 중 'On the Notion of Balance of a Signed Graph'의 제목을 가진 논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정리가 있다.$\\$ 
 +---- 
 +"complete signed graph 'G'가 balanced 하다는 것은 $\\$ 
 +'G가 두 부분(two subsets)으로 분할 되고, 동일한 부분 (the same subset) 내의 점(point, 일반적으로 node)들 끼리는 양(positive)의 부호로 연결되며 $\\$ 
 +서로 다른 부분 (the two different subsets) 사의 점들 끼리는 음(negative)의 부호로 연결'되거나 $\\$ 
 +'G의 모든 점들이 서로 양의 부로 연결되는 경우라는 것과 동치 이다. 
 +---- 
 +후자의 경우와 같이 '모든 결의 부호가 양수'라면, G에 속하는 임의의 $i,j,k$에 대해서 $\Phi_{ijk}=1$가 만족 되지만,$\\$ 
 +전자의 경우에서도 모든 삼각 구조에서  $\Phi_{ijk}=1$가 만족 될까? 
 +$\\$ 
 +를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그림을 살펴볼 수 있다. $\\$ 
 +{{:user:kandori_n_20_visualization.png?400|}} $\\$ 
 +위 그림에서 파란색 선(link)은 +1을, 빨간색 선은 -1의 값을 나타낸다.$\\$ 
 +즉,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며 각각의 '그룹 내부'의 점들 사이에는 +1의 선으로만 연결되어있고, '서로 다른 그룹'을 잇는 연결선은 -1의 부호만을 갖는다.$\\$
  
 +이 경우, 존재하는 각각의 삼각 구조는 '2개의 부호가 -1, 1개의 부호가 +1인 구조' 이거나$\\$
 +'모든 부호가 +1인 구조' 만이 존재하므로, 삼각형 균형이 만족 된다는 것을 곧바로 알 수 있다.
  
-======참고문헌======+======참고 문헌======
   * Social balance on networks: The dynamics of friendship and enmity(2006) (T.Antal, P.L.Krapivsky, S.Redner) [[https://doi.org/10.1016/j.physd.2006.09.028]]$\\$   * Social balance on networks: The dynamics of friendship and enmity(2006) (T.Antal, P.L.Krapivsky, S.Redner) [[https://doi.org/10.1016/j.physd.2006.09.028]]$\\$
   * The effect of social balance on social fragmentation (2020) (Tuan Minh Pham, Imre Kondor, Rudolf Hanel and Stefan Thurner) [[https://doi.org/10.1098/rsif.2020.0752]]   * The effect of social balance on social fragmentation (2020) (Tuan Minh Pham, Imre Kondor, Rudolf Hanel and Stefan Thurner) [[https://doi.org/10.1098/rsif.2020.0752]]
   * Balanced-imbalanced transitions in indirect reciprocity dynamics on networks (2021) (Koji Oishi, Shuhei Miyano, Kimmo Kaski, and Takashi Shimada) [[https://doi.org/10.1103/PhysRevE.104.024310]]   * Balanced-imbalanced transitions in indirect reciprocity dynamics on networks (2021) (Koji Oishi, Shuhei Miyano, Kimmo Kaski, and Takashi Shimada) [[https://doi.org/10.1103/PhysRevE.104.024310]]
   * On the Notion of Balance of a Signed Graph(1953) (Frank Harary) [[https://projecteuclid.org/journals/michigan-mathematical-journal/volume-2/issue-2/On-the-notion-of-balance-of-a-signed-graph/10.1307/mmj/1028989917.full]]   * On the Notion of Balance of a Signed Graph(1953) (Frank Harary) [[https://projecteuclid.org/journals/michigan-mathematical-journal/volume-2/issue-2/On-the-notion-of-balance-of-a-signed-graph/10.1307/mmj/1028989917.full]]
  • user/minwoo.1657709877.txt.gz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external 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