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학:다중극_전개

This is an old revision of the document!


개요

다중극 전개는 여러개의 전하가 특정 지점까지의 만들어내는 전위를 전개식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홀극, 쌍극자, 사중극자, 팔중극자… 등이 특정 지점에 만드는 전위를 생각해볼 수 있다.

2차원 (또는 $\phi$-Symmetry) 다중극 전개

전하가 분포하고 있는 원천에서 $\mathbf{r'}$지점에 미소부피 $d\tau'$가 있다고 하면 전위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begin{align} V(\vec{r}) = \frac{1}{4\pi\epsilon_0}\int\frac{\rho(\vec{r}')}{|\vec{r}-\vec{r}'|}d\tau' \end{align}

이 때 $|\vec{r}-\vec{r}'|$는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고, $r'\ll r$을 가정하여,

\begin{align} |\vec{r}-\vec{r}'|^2 &= r^2 + r'^2 - 2rr'\cos\alpha \\ &= r^2(1+(\frac{r'}{r})^2-2(\frac{r'}{r})\cos\alpha) \\ |\vec{r}-\vec{r}'|^{-1} &= \frac{1}{r}(1+(\frac{r'}{r})^2-2(\frac{r'}{r})\cos\alpha)^{-1/2} \end{align}

따라서 전위는

\begin{align} V(\vec{r}) = \frac{1}{4\pi\epsilon_0}\int\frac{\rho(\vec{r}')}{r}\left[1+(\frac{r'}{r})^2-2(\frac{r'}{r})\cos\alpha\right]^{-1/2}d\tau' \end{align}

으로 바뀌게 된다. 이 때 대괄호항은 르장드르 함수의 생성함수

\begin{align} (1-2hx+h^2)^{-1/2} = \sum_{l=0}^{\infty}h^lP_l(x) \quad (|h|<1) \end{align}

이므로 전위식에 대응하면 다중극 전개의 일반적인 형태가 만들어진다.

\begin{align} V(\vec{r}) &= \frac{1}{4\pi\epsilon_0}\int\frac{\rho(\vec{r'})}{r}\sum_{l=0}^{\infty}(\frac{r'}{r})^lP_l(\cos\alpha)d\tau' \\ &= \frac{1}{4\pi\epsilon_0}\sum_{l=0}^{\infty}\frac{1}{r^{l+1}}\int({r'})^lP_l(\cos\alpha){\rho(\vec{r'})}d\tau' \end{align}

여기서 르장드르 다항식의 값에 따라, $l=0$에서 홀극, $l=1$에서 쌍극의 전위식이 나타난다.

\begin{align} V_{mono}(\vec{r}) = \frac{1}{4\pi\epsilon_0}\frac{Q}{r} \qquad V_{dip}(\vec{r}) = \frac{1}{4\pi\epsilon_0}\frac{1}{r^2}\int{r'}\cos\alpha\rho(\vec{r'})d\tau' \end{align}

3차원 다중극 전개

구면 좌표계의 모든 성분을 고려한 다중극 전개는 조금 복잡하다. 앞에서 구한 다중극 전개의 전위식의 르장드르 다항식을 $\phi$에 대해서도 생각해야 하기 때문이다. 구면 좌표계에서 아래의 그림과 같이 $\vec{r'}=(r',\theta',\phi')$, $\vec{r}=(r,\theta,\phi)$가 있다고 하자.

앞의 $|\vec{r}-\vec{r}'|$으로 사이의 각도를 고려하듯이, 여기서도 $\vec{r'}$과 $\vec{r}$ 사이의 각도를 구해보도록 하자. 먼저, $\vec{r'}$과 $\vec{r}$의 사잇각 $\alpha$의 코사인 값은

\begin{align} \cos\alpha = \hat{r}\cdot\hat{r}' \end{align}

이고, $\hat{r}$과 $\hat{r}'$은 구면 좌표계에서 직교 좌표계로의 표현으로,

\begin{align} \hat{r} = \left(\sin\theta\cos\phi,\sin\theta\sin\phi,\cos\theta\right) \\ \hat{r}' = \left(\sin\theta'\cos\phi',\sin\theta'\sin\theta',\cos\theta'\right) \end{align}

이므로 두 단위벡터의 내적은,

\begin{align} \hat{r}\cdot\hat{r}' &= \cos\alpha \\ &= \sin\theta\sin\theta'(\cos\phi\cos\phi' + \sin\phi\sin\phi') + \cos\theta\cos\theta' \\ &= \sin\theta\sin\theta'\cos(\phi-\phi') + \cos\theta\cos\theta' \end{align}

구면 조화 함수는 $\theta, \phi$방향을 고려한 함수이다.

\begin{align} Y_l^m(\theta,\phi) = (-1)^m\sqrt{\frac{2l+1}{4\pi}\frac{(l-m)!}{(l+m)!}}P_l^m(\cos\theta)e^{im\phi} \end{align}

여기서 $l$과 $m$의 범위는

\begin{align} l=0,1,2,\cdots \qquad -l{\leq}m{\leq}l \end{align}

푸리에 급수의 성질과 같이, 구면 조화 함수도 직교성이 있다. 직교성을 이용하면 르장드르 다항식 앞에 붙는 계수들을 결정할 수 있다.

\begin{align} \iint{Y_l^m(\theta,\phi)}{Y_{l'}^{m'}(\theta,\phi)}\sin\theta{d\theta}{d\phi} = \delta_{ll'}\delta_{mm'} \end{align}

여기서 나중의 계산을 위하여 입체각(Solid Angle)로 바꾸기로 한다. 즉,

\begin{align} d\Omega = \sin\theta{d\theta}{d\phi} \end{align}

라플라스 방정식 $\nabla^2V=0$에서 $\phi$ 대칭인 해는 다음과 같이 주어졌었다.

\begin{align} V(r,\theta) = R(r)\Theta(\theta) = \sum_{l=0}^{\infty}\left(A_lr^l + \frac{B_l}{r^{l+1}} \right)P_l(\cos\theta) \end{align}

마찬가지로 $\phi$성분까지 고려하면

\begin{align} V(r,\theta,\phi) = R_{lm}(r)Y_l^m(\theta,\phi) = \sum_{l,m}\left[a_{lm}r^l + b_{lm}r^{-(l+1)}\right]Y_l^m(\theta,\phi) \end{align}

이다. 여기에 라플라시안 연산자를 적용하면

\begin{align} \nabla^2V(r,\theta,\phi) = (\nabla^2R_{lm}(r))Y_l^m(\theta,\phi) + R_{lm}(r)(\nabla^2Y_l^m(\theta,\phi)) = 0 \end{align}

구면조화함수에 대한 관계식을 얻으려고 하면 첫 번째 항의 $R$을 처리해주어야 한다. 이는 구면좌표계의 라플라스 방정식으로 얻어진다. 변수분리까지 끝낸 식에서 시작하여 $R$에 대해 식을 얻을 수 있다.

\begin{align} &\frac{\sin^2\theta}{R}\frac{d}{dr}\left(r^2\frac{dR}{dr}\right) + \frac{\sin\theta}{\Theta}\frac{d}{d\theta}\left(\sin\theta\frac{d\Theta}{d\theta}\right) -\frac{1}{\Phi}\frac{d^2\Phi}{d\Phi^2} = 0 \\ &\frac{1}{\Phi}\frac{d^2\Phi}{d\Phi^2} = -\frac{\sin^2\theta}{R}\frac{d}{dr}\left(r^2\frac{dR}{dr}\right)-\frac{\sin\theta}{\Theta}\frac{d}{d\theta}\left(\sin\theta\frac{d\Theta}{d\theta}\right) = -m^2\sin^2\theta \\ &\frac{1}{R}\frac{d}{dr}\left(r^2\frac{dR}{dr}\right) = -\frac{1}{\Theta}\frac{1}{\sin\theta}\frac{d}{d\theta}\left(\sin\theta\frac{d\Theta}{d\theta}\right) = l(l+1) \\ &\frac{d}{dr}\left(r^2\frac{dR}{dr}\right) = l(l+1)R \\ &\frac{1}{r^2} \frac{d}{dr}\left(r^2\frac{dR_{lm}}{dr}\right) = \nabla^2R_{lm}(r) = \frac{l(l+1)}{r^2} R_{lm}(r) \end{align}

따라서, 식에 대입하고 정리하면 라플라스 급수(Laplace Series)라고 부르는 식이 만들어진다.

\begin{align} \nabla^2Y_l^m = -\frac{l(l+1)}{r^2}Y_l^m \end{align}

이제 어떠한 함수 $f(\theta,\phi)$라는 함수가 있다고 하자. 함수 $f$는 푸리에 급수 전개식과 같이 구면 조화 함수에 대한 전개식으로 나타낸다.

\begin{align} f(\theta,\phi) &= \sum_l \sum_{m=-l}^{l}a_{lm}Y_l^m(\theta,\phi) \end{align}

이 함수 $f$가 라플라스 급수를 만족한다고 하자.

\begin{align} -r^2 \nabla^2 f(\theta,\phi) = l(l+1) f(\theta,\phi) \end{align}

$f$를 아래처럼 전개하고 \begin{align} f(\theta,\phi) &= \sum_{l'=0}^\infty \sum_{m'=-l'}^{l'}a_{l'm'}Y_{l'}^{m'}(\theta,\phi) \end{align}

좌변과 우변에 함수 $f$를 대입해보자. 먼저 우변에 $f$를 대입하면,

\begin{align} -{r^2}\nabla^2f = l(l+1)\sum_{l'}\sum_{m'}a_{l'm'}Y_{l'}^{m'}(\theta,\phi) \end{align}

그리고 좌변에 $f$를 대입하면,

\begin{align} -{r^2}\nabla^2f &= \sum_{l'}\sum_{m'}l'(l'+1)a_{l'm'}Y_{l'}^{m'}(\theta,\phi) \end{align}

두 식이 일치해야 하므로,

\begin{align} \sum_{l'}\sum_{m'}[l(l+1)-l'(l'+1)]a_{l'm'}Y_{l'}^{m'}(\theta,\phi) = 0 \end{align}

따라서 $l'\neq l$일 때에는 $a_{l'm'} = 0$이어야 한다. 이를 $l'$과 $m'$에 대해 합산했던 식에 대입해보면, $l'=l$일 때에만 합에 기여한다는 뜻이다. 즉

\begin{align} f(\theta,\phi) &= \sum_{l'=0}^\infty \sum_{m'=-l'}^{l'}a_{l'm'}Y_{l'}^{m'}(\theta,\phi)\\ &= \sum_{m'=-l}^{l}a_{lm'}Y_{l}^{m'}(\theta,\phi)\\ &= \sum_{m=-l}^{l}a_{lm}Y_{l}^{m}(\theta,\phi) \end{align} 로서 하나의 합으로만 쓸 수 있다.

그림에 그려진 $r'$벡터와 $r$벡터를 생각해보자. $\alpha$는 $\vec{r}$과 $\vec{r'}$의 사잇각으로 정의하자. $r'$을 고정하고 보면 $f = P_l(\cos\alpha)$는 아래처럼 전개된다.

\begin{align} f = P_l(\cos\alpha) = \sum_{m=-l}^{l}b_m(\theta',\phi')Y_l^m(\theta,\phi) \end{align}

계수 $b_m(\theta', \phi')$ 또한 마찬가지로 전개하면, $\theta$와 $\phi$에 의존하지 않는 계수 $b_{mm'}$을 사용하여 아래처럼 쓸 수 있을 것이다.

\begin{align} f &= \sum_{m=-l}^{l}\sum_{m'=-l}^{l}b_{mm'}Y_l^{m'}({\theta}',{\phi}')Y_l^m(\theta,\phi) \\ &= \sum_m{b_{m,-m}}Y_l^{-m}({\theta}',{\phi}')Y_l^m(\theta,\phi) \end{align}

여기서 $f$는 방위각(azimuthal angle)에 오직 $\phi-\phi'$을 통해서만 의존할 것이기 때문에 $m'=-m$인 항만 살아남을 것이다. 아래의 성질

\begin{align} Y_l^{-m}(\theta,\phi) = (-1)^m\left[Y_l^{m}(\theta,\phi)\right]^* \end{align}

로 인해 $f$는 아래처럼 표현된다.

\begin{align} f &= \sum_m{b_{m,-m}}(-1)^m\left[Y_l^{m}({\theta}',{\phi}')\right]^*Y_l^m(\theta,\phi) \\ &= \sum_m{C_m}Y_l^m(\theta,\phi)\left[Y_l^{m}({\theta}',{\phi}')\right]^* \end{align}

특히 $f$는 실수이고 $(\theta, \phi)$와 $(\theta', \phi')$을 바꿔치기 해도 불변하기 때문에 $C_m=C_{-m}$이 실수임을 알 수 있다.

위의 표현식을 이용하여 몇 가지 정보를 얻어볼 수 있다. 먼저, $\vec{r} = \vec{r}'$이면 $\cos\alpha = 1$이므로 $f$는

\begin{align} f = P_l(1) = 1 = \sum_mC_m|{Y_l^m}|^2 \end{align} 이고 입체각에 대해 적분하면 $\sum_m{C_m} = 4\pi$을 얻는다.

다음 단계로서 $f^2$을 구해보면,

\begin{align} \left[ P_l(\cos\alpha) \right]^2 = \left[\sum_m{C_m}Y_l^m(\theta,\phi)\left[Y_l^{m}({\theta}',{\phi}')\right]^*\right]\left[\sum_{m'}{C_{m'}}Y_l^{m'}({\theta}',{\phi}')\left[Y_l^{m'}(\theta,\phi)\right]^*\right] \end{align}

이 식의 양변을 적분하면

\begin{align} \frac{4\pi}{2l+1} &= \sum_m{C_m}^2|Y_l^m(\theta',\phi')|^2 \qquad (\theta,\phi) \end{align}

한번 더 적분하면

\begin{align} \frac{(4\pi)^2}{2l+1} &= \sum_m{C_m}^2 \qquad ({\theta}',{\phi}') \end{align}

이다. 여기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이용하자. 즉

\begin{align} |\vec{A}\cdot\vec{B}|^2 &\leq |\vec{A}|^2|\vec{B}|^2 \\ \left|\sum_k^n{a_k}{b_k} \right|^2 &\leq \sum_k^n{a_k}^2\sum_k^n{b_k}^2 \end{align} 이며 이 때 $b_k = 1$이면,

\begin{align} \left|\sum_k^n{a_k} \right|^2 &\leq n\sum_k^n{a_k}^2 \end{align} 인데 등호는 오직 $a_k$가 모든 $k$에 대해 같을 때 성립한다.

앞의 계수 $C_m$과 비교하면

\begin{align} \left|\sum_{m=-l}^l {C_m} \right|^2 &= (2l+1)\sum_m^n{C_m}^2 \end{align}

이므로 모든 $C_m$이 같아야 하고, 특히 $\sum_{m=-l}^l {C_m} = 4\pi$이므로 $C_m = 4\pi/(2l+1)$임을 알게 된다. 그 결과, $P_l(\cos\alpha)$이 다음과 같이 결정되어 덧셈 정리를 얻는다.

\begin{align} f = P_l(\cos\alpha) &= \sum_m{C_m}Y_l^m(\theta,\phi)\left[Y_l^{m}({\theta}',{\phi}')\right]^* \\ &= \frac{4\pi}{2l+1}\sum_{m=-l}^lY_l^m(\theta,\phi)\left[Y_l^m(\theta',\phi')\right]^* \end{align}

이제 앞에서 구한 르장드르 다항식과 구면 조화 함수의 관계식을 대입하자.

\begin{align} V(\vec{r}) &= \frac{1}{4\pi\epsilon_0}\sum_{l=0}^{\infty}\frac{1}{r^{l+1}}\int({r'})^lP_l(\cos\alpha){\rho(\vec{r'})}d\tau' \\ &= \frac{1}{4\pi\epsilon_0}\sum_{l=0}^{\infty}\frac{1}{r^{l+1}}\int({r'})^l\frac{4\pi}{2l+1}\sum_{m=-l}^lY_l^m(\theta,\phi)\left[Y_l^m(\theta',\phi')\right]^*{\rho(\vec{r'})}d\tau' \\ &= \frac{1}{4\pi\epsilon_0}\sum_{l=0}^{\infty}\sum_{m=-l}^l\frac{4\pi}{2l+1}\frac{Y_l^m(\theta,\phi)}{r^{l+1}}\int({r'})^l\left[Y_l^m(\theta',\phi')\right]^*{\rho(\vec{r'})}d\tau' \end{align}

이것이 3차원에서의 다중극 전개식이 된다.

참고문헌

  • 전자기학/다중극_전개.1662784855.txt.gz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external 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