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 물리:고유상태_열화_가설_eigenstate_thermalization_hypothesis [2023/03/16 13:36] – minwoo | 물리:고유상태_열화_가설_eigenstate_thermalization_hypothesis [2023/11/15 16:56] (current) – minwoo | ||
|---|---|---|---|
| Line 5: | Line 5: | ||
| ===== Ergodicity ===== | ===== Ergodicity ===== | ||
| + | |||
| Ergodicity란, | Ergodicity란, | ||
| Line 193: | Line 194: | ||
| 온도의 역수 (inverse temperature)개념에 해당하는 $\beta$를 얻을 수 있다. | 온도의 역수 (inverse temperature)개념에 해당하는 $\beta$를 얻을 수 있다. | ||
| - | 이때 $\rho_c$ 는 바른틀 모둠(canonical ensemble)의 밀도 행렬(density matrix)이다. | + | 이때 $\rho_c$는 바른틀 모둠(canonical ensemble)의 밀도 행렬(density matrix)이다. |
| $$ \\ $$ | $$ \\ $$ | ||
| Line 248: | Line 249: | ||
| 열적 평형의 값에 도달하는 것의 설명을 가능하게 한다. | 열적 평형의 값에 도달하는 것의 설명을 가능하게 한다. | ||
| - | |||
| - | ==== 고전적인 경우와 비교 ==== | ||
| - | |||
| - | 아래 그림은 고전적인 경우와 양자 경우의 열화(thermalization)를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참고 문헌 중 Marcos Rigol, 2008)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고전적인(classical) 경우를 표현한 $A$ 그림에서는, | ||
| - | |||
| - | $$ \\ $$ | ||
| - | 양자(quantum)의 경우를 표현한 $B$ 그림은 ETH를 설명한다. 즉, 고전적인 경우와 달리 초기 상태의 에너지에 대해 불확정성(uncertainty)을 가지며 | ||
| - | |||
| - | 그러한 에너지 분포는 좁은 폭을 가지고, 각각의 에너지 고유 상태가 열적인 상태를 이미 가지고 있다. | ||
| - | |||
| - | $$ \\ $$ | ||
| - | 다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 | ||
| - | |||
| - | 비대각선 성분을 $0$이 되도록 하여 $\overline{\langle O \rangle} = \sum_\alpha |C_\alpha|^2 O_{\alpha \alpha}$의 열적인 상태를 보이게 한다. | ||
| - | |||
| - | $$ \\ $$ | ||
| ===== ETH를 따르는 계 ===== | ===== ETH를 따르는 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