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 물리:1차원_글라우버_동역학 [2022/12/07 16:58] – minwoo | 물리:1차원_글라우버_동역학 [2023/09/05 15:46] (current) – external edit 127.0.0.1 | ||
|---|---|---|---|
| Line 29: | Line 29: | ||
| $$ $$ | $$ $$ | ||
| === $(1)$ 시간 $t$ 이전에 한번이라도 만난 경우 === | === $(1)$ 시간 $t$ 이전에 한번이라도 만난 경우 === | ||
| - | ---- | + | |
| 병합하는 무작위 행보 모형에서는, | 병합하는 무작위 행보 모형에서는, | ||
| Line 39: | Line 39: | ||
| 따라서, $(1)$의 경우에서 $s_i(t)=s_j(t)$일 확률의 값은 $(1-C_t(i, | 따라서, $(1)$의 경우에서 $s_i(t)=s_j(t)$일 확률의 값은 $(1-C_t(i, | ||
| + | ---- | ||
| $$ $$ | $$ $$ | ||
| === $(2)$ 시간 $t$ 이전에는 단 한번도 만난 적이 없는 경우 === | === $(2)$ 시간 $t$ 이전에는 단 한번도 만난 적이 없는 경우 === | ||
| - | ---- | + | |
| 시간 $t$ 이전에 단 한번도 만나지 않을 확률은 $C_t(i, | 시간 $t$ 이전에 단 한번도 만나지 않을 확률은 $C_t(i, | ||
| 따라서, $(2)$의 경우에서 $s_i(t)=s_j(t)$일 확률의 값은 $(C_t(i,j) × 1/2) = \frac{1}{2} C_t(i, | 따라서, $(2)$의 경우에서 $s_i(t)=s_j(t)$일 확률의 값은 $(C_t(i,j) × 1/2) = \frac{1}{2} C_t(i, | ||
| + | ---- | ||
| $$ $$ | $$ $$ | ||
| $(1)$과 $(2)$의 경우는 서로 ' | $(1)$과 $(2)$의 경우는 서로 ' | ||
| Line 58: | Line 60: | ||
| 즉, $F_{t' | 즉, $F_{t' | ||
| - | 시간 $t$이후의 시간에 ' | + | 시간 $t$ 이후의 시간에 ' |
| + | $$ $$ | ||
| + | 또한 우리가 [[물리: | ||
| + | |||
| + | 뛰는 비율(hopping rate)의 값을 $1$이 아닌 $\mu$라 두고, $l=|j-i|$를 함께 대입하여 생존 확률을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 ||
| + | $$C_t(i,j)= \int ^{\infty} _t dt' \frac{l}{t' | ||
| + | 해당 모형에서는 걸어가는 각각의 이들이 $\mu$의 비율만큼 뛰므로(hop) ' | ||
| + | $$ $$ | ||
| + | 적분식에 포함된 함수(modifed Bessel function)인 $I_l (2\mu t' | ||
| + | |||
| + | ====== 참고 문헌 ====== | ||
| + | Jae Dong Noh, Exactly Solvable Many-Body Stochastic Processes, 20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