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n old revision of the document!
차원과 단위
물리량들은 길이(L), 질량(M), 시간(T), 혹은 이들을 조합한 속성을 가진다. 우리는 위의 세 가지를 물리량의 기본차원이라고 부를 것이다.
단위는 차원에 치수를 지정한 것으로 예컨대 미터는 길이의 단위이다. 우리는 보통 SI 단위계를 채용하여 미터(m), 킬로그램(kg), 초(s)를 길이, 질량, 시간의 단위로 사용할 것이다.
예를 들어 힘은 질량과 가속도의 곱으로 차원은 [MLT−2]이며 SI 단위계에서 [kg⋅m/s2]의 단위를 가지는데, 이 단위를 간단히 줄여서 뉴턴(N)이라고 부른다.
차원의 동차성
1kg+1m가 무의미한 계산이듯이, 물리의 모든 식에서 더하거나 빼는 항끼리는 같은 차원을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예컨대 낙하하는 물체의 운동방정식 d2zdt2+g=0 에서 좌변과 우변은 모두 가속도[MLT−2]라는 공통의 차원을 가진다.
초기 위치 z0와 초기 속도 v0로부터 이 방정식을 푼 결과인 z=z0+v0t−12gt2 에서도 모든 항은 길이[L]의 차원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무차원화
위에서 예로 든 낙하 문제에 어떤 길이 척도 λ와 시간 척도 τ가 존재한다고 해보자 (예컨대, λ=1m이고 τ=1s).
z′=z/λ로, t′=t/τ로 놓는다면 위 방정식을 d2z′dt′2=−gτ2λ 로 고쳐쓸 수 있다. 이 때에 우변은 차원이 없는 무차원수이다. 무차원수는 단위계를 바꾸어도 그 값이 변하지 않는다.
만일 τ가 10배가 된다면 λ는 100배가 되었을 때에 이 무차원수가 변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한 동일한 무차원수를 가지는 현상들은 적절히 확대 혹은 축소해서 보았을 때에 구분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gτ2/λ라는 숫자를 한 덩어리로 간주해서 이 양을 통해 현상들을 분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중력가속도 하에서, 서로 다른 시간 τ 동안 서로 다른 거리 λ를 낙하하는 물체의 궤적들 z(t)를을 그린다고 상상해보자. 가로축을 t/τ로 그리고 세로축을 z/λ로 그리면 gτ2/λ가 일치하는 물체들의 궤적끼리는 정확하게 겹칠 것이다. 수학적으로 정리해서 써보면, 어떤 함수 f가 있어서 zλ=f(tτ,gτ2λ) 처럼 쓸 수 있으리라는 이야기이다. 처음의 운동방정식만 생각하면 z가 t,g,τ,λ 등 연관된 모든 변수에 의존할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독립변수의 수는 훨씬 적다. 이는 실험을 할 때에 들여야 하는 시간과 노력을 엄청나게 줄여줄 수 있다. 무차원수끼리의 함수 관계가 성립한다는 점에 유의하라.
영화에서 미니어처를 만든 다음 고속 촬영을 통해 주위 물체가 천천히 떨어지는 것처럼 하면 마치 거대한 물체를 찍은 것처럼 눈속임할 수 있는데, 이것도 τ와 λ를 적절히 조정해 무차원수의 값을 같게 만듦으로써 미니어처와 거대한 물체를 구분할 수 없도록 눈속임하는 것이다. 실험에서는 이러한 것을 시늉내기(simulation)라고 부른다.
이러한 무차원수의 분석은 통계역학과 유체역학과 같은 분야에서 정확한 운동 방정식을 세울 수조차 없는 복잡한 경우에도 종종 유용한 길잡이가 되어준다. 즉
- 주요 매개변수 간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게 해주고
- 문제에 관련된 매개변수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첫 번째 예: 공룡의 보행속력
동물의 보행 속력 s가 다리 길이 L과 중력가속도 g에 의해 결정된다고 가정하자. 이로부터 만들어낼 수 있는 무차원수는s/√lg이다. 나아가 보폭을 S라고 했을 때 S/L도 무차원수이다. S/L=f(s/√Lg) 라고 가정하고 여러 동물들에 대해 이 관계를 시험해보면 실제 상당히 깨끗한 선형 관계를 발견할 수 있다. 이 관계식으로부터 공룡의 보행속력을 추정해볼 수 있다.
두 번째 예: 수소 원자 반지름
수소 원자에서 전자가 양성자에 전자기적으로 묶여있으므로 그 반지름을 결정하는 데에 다음의 양이 등장할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e24πϵ0]=[r2F]=[ML3T−2] 전자기력이 원운동할 때의 변위로 나타나려면 전자의 질량 me 역시 포함되어야 하고 이는 [M]의 차원을 가진다.
양자역학에 대한 고려에서 플랑크 상수 ℏ를 도입하고 ([ℏ]=[ML2T−1]), 수소 원자의 반지름을 a0라고 하면 가능한 무차원수는 ℏ2a0me(e2/(4πϵ0)) 뿐이다. 이로부터 a0∝ℏ2me(e2/(4πϵ0)) 라고 추론할 수 있다. 물론 비례상수는 차원 분석에서 전혀 결정되지 않지만 이 경우 다행히 O(1)이어서 좋은 결과를 준다.
세 번째 예: 커피 넘침
커피 잔이 충분히 길어서 깊이는 더 이상 중요한 역할을 못한다고 가정하자. 표면파의 진동수 f=ω2π를 결정 짓는 물리량이 커피 잔의 지름 l과 중력가속도 g라고 보는 것은 그럴 듯하다. 이 경우 가능한 무차원수는 ω√g/l 이고 이로부터 ω∼√g/l 리고 추측할 수 있다.
커피 잔의 지름이 약 10cm=0.1m라고 하면 f∼1.6Hz 정도이다. 이는 사람이 걷는 주파수와 비슷한 영역대에 있다.
네 번째 예:강자성체의 임계지수
강자성체의 상전이 온도 근방의 임계 현상을 연구할 때눈금 바꿈 가설에서 상관함수가 ξy 의 함수임을 보였었다.
또한 상관함수는 (spindensity)2×(volume) 이기도 하다. 상관길이 ξ의 척도 차원이 −1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두 표현의 척도 차원이 맞아야 한다.
2dσ−d=−y
dσ=12(d−y)=12(d−2+η)
두 번째 줄에서 눈금 바꿈 가설에서 유도된 결과인 y=2−η 를 사용하였다. dσ 를 스핀 밀도의 척도 차원이라고 하자.
비슷한 방식으로 단위 부피 당 자유에너지(F)의 척도차원은 d가 될 것이다. 상관길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써줄 수 있다. ξ∝|T−Tc|−ν,T>Tc,→ν ξ∝|T−Tc|=ν′,T<Tc,→ν′ F∝|T−Tc|νd
열용량은 단위 부피 당 자유에너지의 온도에 대한 2차 미분에 온도를 한번 더 곱한 형태로 표현된다.
상전이 온도 Tc 근처에서 열용량의 임계지수 α 를 구하기 위해 차원 분석을 활용한다.
C=−T∂2F∂T2∝|T−Tc|νd−2
열용량의 임계지수가 α 이므로 아래와 같은 관계가 성립하여야 한다.
α=2−νd
비슷한 방식으로 평균 스핀 밀도 m 에 대한 임계지수 β, 자유장(apply field, h)의 차원 dh 그리고 h 값이 0이 아닐 때 m \propto h^{\frac{1}{\delta} 의
임계지수 δ 를 유도한다. 이 때 ν′=ν 로 가정하는데 이것은 재규격화에서 설명된다.
이와같은 차원 분석은 실제로 실험 데이터와 비교를 해보면 오차 10% 이내의 범위 안에서 잘 맞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 John C. Cimbala and Yunus A. Çengel, 박운진 (외) 옮김, Cimbala & Çengel의 유체역학, (지필, 서울, 2013).
- MA, Shang-Keng. Modern theory of critical phenomena. Da Capo Press,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