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수송계수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물리:수송계수 [2017/01/26 14:25] – [비가역과정의 거시적 이론] admin물리:수송계수 [2017/01/26 15:56] – [예: 열확산] admin
Line 3: Line 3:
 [[물리:평형]]으로부터 아주 조금 떨어져있는 계를 생각해보자. 이 경우 계 전체로서는 비평형이지만 국소적으로는 [[물리:평형]]을 이루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즉 충분히 작은 길이 척도 $l_{\rm micro}$가 존재해서 이 안에서는 짧은 시간 $\tau_{\rm micro}$ 내에 [[물리:평형]]이 이룩된다는 가정이다. 이 전체 계를 대략 $l_{\rm micro}$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구획으로 나누어보자. 그러면 전체 계는 (서로 다른) 평형 상태에 있는 여러 작은 구획들이 모여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이 계에 $l_{\rm micro}$보다 매우 긴 파장을 가지고 $\tau_{\rm micro}$보다 매우 천천히 변화하는 섭동을 가할 것이다. [[물리:평형]]으로부터 아주 조금 떨어져있는 계를 생각해보자. 이 경우 계 전체로서는 비평형이지만 국소적으로는 [[물리:평형]]을 이루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즉 충분히 작은 길이 척도 $l_{\rm micro}$가 존재해서 이 안에서는 짧은 시간 $\tau_{\rm micro}$ 내에 [[물리:평형]]이 이룩된다는 가정이다. 이 전체 계를 대략 $l_{\rm micro}$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구획으로 나누어보자. 그러면 전체 계는 (서로 다른) 평형 상태에 있는 여러 작은 구획들이 모여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이 계에 $l_{\rm micro}$보다 매우 긴 파장을 가지고 $\tau_{\rm micro}$보다 매우 천천히 변화하는 섭동을 가할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작은 구획들을 $a, b, \ldots$로 표기하자. 구획 $a$의 부피는 $V(a)$, 표면적은 $A(a)$로 적을 것이다. 시간 $t$에 구획 $a$ 안에 $Q_i (a,t)$라고 하는 크기 변수(extensive variable)이 존재한다고 해보자. 단위시간당 구획 $a$에서 $b$로 $Q_i$가 이동하는 을 $\Phi_i(a \rightarrow b)$라고 표기할 것이다. $Q_i$가 보존되는 양이라면+위에서 언급한 작은 구획들을 $a, b, \ldots$로 표기하자. 구획 $a$의 부피는 $V(a)$, 표면적은 $A(a)$로 적을 것이다. 시간 $t$에 구획 $a$ 안에 $Q_i (a,t)$라고 하는 크기 변수(extensive variable)이 존재한다고 해보자. $i$는 서로 다른 여러 물리량을 나타내기 위한 기호인데 아래의 예를 보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 
 +단위시간당 구획 $a$에서 $b$로 $Q_i$가 이동하는 유량(flux)을 $\Phi_i(a \rightarrow b)$라고 표기할 것이다. $Q_i$가 보존되는 양이라면
 $$ \frac{dQ_i (a,t)}{dt} = - \sum_{b \neq a} \Phi_i (a \rightarrow b)$$ $$ \frac{dQ_i (a,t)}{dt} = - \sum_{b \neq a} \Phi_i (a \rightarrow b)$$
-일 것이고 이는 연속방정식의 형태로 쓸 수도 있을 것이다:+일 것이고 이는 밀도 $\rho_i$와 흐름 $\mathbf{j}_i$를 도입해 연속방정식의 형태로 쓸 수도 있을 것이다:
 $$\frac{\partial \rho_i}{\partial t} + \nabla \cdot \mathbf{j}_i = 0.$$ $$\frac{\partial \rho_i}{\partial t} + \nabla \cdot \mathbf{j}_i = 0.$$
 이 때에 $Q_i (a,t) = \int_{V(a)} d^3 r \rho_i (\mathbf{r}, t)$이며, [[수학:분산 정리]]에 의해 $\sum_{b \neq a} \Phi_i (a \rightarrow b) = \int_{A(a)} d\mathbf{A} \cdot \mathbf{j}_i = \int_{V(a)} d^3 r \nabla \cdot \mathbf{j}_i$의 관계가 있다. 이 때에 $Q_i (a,t) = \int_{V(a)} d^3 r \rho_i (\mathbf{r}, t)$이며, [[수학:분산 정리]]에 의해 $\sum_{b \neq a} \Phi_i (a \rightarrow b) = \int_{A(a)} d\mathbf{A} \cdot \mathbf{j}_i = \int_{V(a)} d^3 r \nabla \cdot \mathbf{j}_i$의 관계가 있다.
  
-각 구획 안에서는 [[물리:평형]]이 이룩되어 있다고 했으므로 구획마다 [[물리:엔트로피]] $S(a)$를 정의할 수 있고, 엔트로피는 크기 변수이므로 계 전체의 엔트로피는 $S_{\rm tot} = \sum_a S(a)$가 된다.+각 구획 안에서는 [[물리:평형]]이 이룩되어 있다고 했으므로 구획마다 [[물리:엔트로피]] $S(a)$를 정의할 수 있고, 엔트로피는 크기 변수이므로 계 전체의 엔트로피는 $S_{\rm tot} = \sum_a S(a)$가 된다. 변수 $Q_i$의 켤레가 되는 세기 변수(intensive variable) $\gamma_i$를 다음처럼 정의하자: 
 +$$ \gamma_i (a) \equiv \frac{\partial S_{\rm tot}}{\partial Q_i(a)} = \frac{\partial S(a)}{\partial Q_i(a)}.$$ 
 +혹은 좀더 작은 척도로 들어가서 위치 $\mathbf{r}$과 시간 $t$를 지정한다면 
 +$$ \gamma_i (\mathbf{r},t) \equiv \frac{\partial S_{\rm tot}}{\partial \rho_i(\mathbf{r}, t)}$$ 
 +로 적는다. 예를 들어 $Q_i$가 입자 개수 $N$이라면 이에 해당하는 세기 변수는 [[물리:열역학 퍼텐셜|화학 퍼텐셜]] $\mu$를 [[물리:온도]] $T$로 나누고 부호를 뒤집은 $\gamma_N = -\mu/T$가 될 것이고, $Q_i$가 [[물리:내부 에너지]] $U$라면 
 +$\gamma_U = 1/T$가 될 것이다. 
 + 
 +인접한 구획 사이에는 이 세기 변수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물리:온도]] 차이). 그 차이를 $\Gamma_i(a,b) \equiv \gamma_i(b) - \gamma_i (a)$로 적고 친화성(affinity)라고 부른다. 좀더 국소적으로 기술하면, 특정 위치 $\mathbf{r}$에서 $\beta$ 방향으로 이동할 때 느껴지는 세기 변수의 변화를 $\Gamma_i^\beta(\mathbf{r}, t) = \partial \gamma_i / \partial r^{\beta}$로 적을 수도 있을 것이다. 
 + 
 +만일 $\Gamma_i$가 충분히 작다면, ([[수학:테일러 전개]]에 기반해서) 유량이 친화성에 비례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즉 적절한 계수 $L_{ij}$가 존재해서 
 +$$\Phi_i (a \rightarrow b) = \sum_j L_{ij}(a,b) \Gamma_j(a,b)$$ 
 +처럼 쓸 수 있다는 가정인데, 이 때 $L_{ij}(a,b)$를 두 구획 사이의 수송계수(transport coefficient)라고 부른다.  
 + 
 +특정 위치 $\mathbf{r}$을 기준으로 국소적으로 기술했을 때에 이 수송계수는 일반적으로 [[수학:텐서]]여서 $L_{ij}^{\alpha \beta}$처럼 쓰여진다. $Q_i$의 흐름을 성분별로 본다면 
 +$$j_i^\alpha = \sum_j L_{ij}^{\alpha \beta} \Gamma_j^\beta = \sum_j L_{ij}^{\alpha \beta} \frac{\partial \gamma_i}{\partial r^{\beta}}$$ 
 +이다. 
 + 
 +=====예: 열확산===== 
 +픽(Fick)의 확산 법칙에 의하면 온도 기울기가 충분히 작을 때 열의 흐름은 그 기울기에 비례해서 $\mathbf{j}_U = -\kappa \nabla T$이고 이 때 $\kappa$는 열전도도(heat conductivity)이다. 위에서 이미 $\gamma_U= 1/T$라고 하였으므로 
 +$$j_U^\alpha = \sum_\beta L_{UU}^{\alpha \beta} \frac{\partial(1/T)}{\partial r^\beta} = -\frac{1}{T^2} \sum_\beta L_{UU}^{\alpha \beta} \frac{\partial T}{\partial r^\beta}$$ 
 +이고 따라서 수송계수는 $L_{UU}^{\alpha \beta} = \kappa T^2 \delta^{\alpha \beta}$이다. 이 때 $\delta^{\alpha \beta$는 [[수학:크로네커 델타]]를 의미한다. 
 + 
 +======엔트로피 변화====== 
 +계의 전체 [[물리:엔트로피]]는 모든 물리량이 어떻게 배열되어 있는지에 따라 결정되는 [[물리:상태함수]]일 것이다. 그러면 그 시간 변화는 모든 국소적인 위치마다 [[수학:편미분]] 공식을 사용해 변화량을 구한 후 전체 공간에 대해 적분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위에서 정의된 양들과 [[수학:부분적분]] 공식을 사용하면 아래처럼 된다: 
 +\begin{eqnarray*} 
 +\frac{dS_{\rm tot}}{dt} &=& \int d^3 r \sum_i \frac{\partial S_{\rm tot}}{\partial \rho_i (\mathbf{r}, t)} \frac{\partial \rho_i(\mathbf{r},t)}{\partial t}\\ 
 +&=& -\sum_i \int d^3 r~ \gamma_i(\mathbf{r},t) \nabla \cdot \mathbf{j}_i (\mathbf{r}, t)\\ 
 +&=& -\sum_i \int d^3 r \nabla \cdot \left[ \gamma_i(\mathbf{r},t) \mathbf{j}_i (\mathbf{r},t) \right] 
 ++ \sum_i \int d^3 r~ \mathbf{j}_i(\mathbf{r},t) \cdot \nabla \gamma_i (\mathbf{r},t)\\ 
 +&=& \sum_{ij} \sum_{\alpha \beta} L_{ij}^{\alpha \beta} \frac{\partial \gamma_i(\mathbf{r},t)}{\partial r^\alpha} \frac{\partial \gamma_j(\mathbf{r},t)}{\partial r^\beta}. 
 +\end{eqnarray*} 
 +[[물리:열역학 제2법칙]]에 의해 이 양은 0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 
 + 
 +======함께 보기====== 
 +[[물리:준정적과정]]
  
 +[[물리:온사거 상환관계]]
  
  
 ======참고문헌====== ======참고문헌======
   *[[https://www.apctp.org/plan.php/statws2016|The 13th KIAS-APCTP Winter School on Statistical Physics]]   *[[https://www.apctp.org/plan.php/statws2016|The 13th KIAS-APCTP Winter School on Statistical Physics]]
  • 물리/수송계수.txt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