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_dasgupta_hu_재규격화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ma_dasgupta_hu_재규격화 [2022/06/16 15:58] jiwonma_dasgupta_hu_재규격화 [2022/06/16 17:00] – [흐름 방정식] jiwon
Line 3: Line 3:
 1차원 무작위 가로장 이징 모형의 해밀토니안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1차원 무작위 가로장 이징 모형의 해밀토니안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H_{1D} = -\sum_{i}J_{i,i+1}\sigma_i^z\sigma_{i+1}^z - \sum_ig_i\sigma_i^x$$ $$H_{1D} = -\sum_{i}J_{i,i+1}\sigma_i^z\sigma_{i+1}^z - \sum_ig_i\sigma_i^x$$
-여기서 결합상수 $J_{i,i+1}$와 가로장의 세기 $g_i$는 어떤 분포함수로부터 무작위로 결정된다. 여기서는 Ma,Dasgupta,Hu(참고문헌2,3)가 제시한 재규격화군 변환을 이용해 임계점의 특성을 살펴볼것이다. +여기서 결합상수 $J_{i,i+1}$와 가로장의 세기 $g_i$는 각각의 분포함수로부터 무작위로 결정된다.
- +
- +
- +
  
 +Ma,Dasgupta,Hu가 제시한 재규격화군 변환은 시스템에서 가장 큰 에너지를 갖는 결합상수($J_{i,i+1}$ 혹은 $g_i$)를 찾은 다음 이를 제거해가면서 계의 유효 해밀토니안을 얻는 방법이다. 먼저 계에서 가장 큰 결합상수를
 +$$\Omega = \max\{J_{i,i+1},g_i\}$$
 +로 정의하자. 만일 $\Omega = g_i$(즉, $i$번째 스핀에 작용하는 가로장의 세기가 가장 큰 경우)라면, $i$번째 스핀의 바닥상태는 $\vert+\rangle_i=\left(\vert\uparrow\rangle_i+\vert\downarrow\rangle_i\right)/2$가 될 것이고 스핀 $i$가 관여하는 다른 항들의 기여는 스핀 $i$에 대한 섭동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전체 해밀토니안에서 스핀 $i$가 기여하는 부분은
 +$$H = -J_{i-1,i}\sigma_{i-1}^z\sigma_i^z-J_{i,i+1}\sigma_i^z\sigma_{i+1}^z-g_i\sigma_i^x$$
 +이고, $g_i$가 가장 크므로 $H$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rac1{g_i}H = \sigma_i^x+\frac1{g_i}(-J_{i-1,i}\sigma_{i-1}^z\sigma_i^z-J_{i,i+1}\sigma_i^z\sigma_{i+1}^z) = H_0 + \frac1{g_i}V$$
 +기저 상태 $\vert+\rangle_i$에 대해 $V$를 2차항까지 섭동전개하면
 +\begin{align*}
 +\frac1{g_i}E_g' &= -1+\frac1{g_i}{}_i\langle+\vert V\vert+\rangle_i+\frac1{g_i^2}\frac{\vert{}_i\langle-\vert V\vert+\rangle_i\vert^2}{2}+\mathcal O(g_i^{-3})\\
 +&= -1 + \frac{J_{i-1,i}^2+J_{i,i+1}^2}{2g_i^2}+\frac{J_{i-1,i}J_{i,i+1}}{g_i^2}\sigma_{i-1}^z\sigma_{i+1}^z
 +\end{align*}
 +가 된다. 이는 스핀 $i$를 없앤 다음 스핀 $i-1$과 $i+1$을 새로운 결합상수 $J_{i-1,i}J_{i,i+1}/g_i$로 이어주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g_i>J_{i-1,i}, J_{i,i+1}$이므로 새로운 결합상수는 항상 $g_i$보다 작게 된다.
  
 +만일 $\Omega=J_{i,i+1}$라면 스핀 $i$와 $i+1$가 연관된 기저상태는 $\vert+\rangle_i\vert+\rangle_{i+1}$, $\vert-\rangle_i\vert-\rangle_{i+1}$ 두가지로 존재하고 위와 똑같은 과정을 거치면 이 두 스핀이 새로운 가로장 세기 $g_ig_{i+1}/J_{i,i+1}$를 가지는 하나의 스핀으로 대체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단계를 계속 반복하다 보면 적당한 $\Omega$를 가지는 유효 해밀토니안을 얻어낼 수 있다.
  
 +=====흐름 방정식=====
 +위 과정을 거치면 결합상수와 가로장의 세기가 변화하므로 초기의 확률분포와 재규격화군 변환을 거친 후의 확률분포가 달라진다. 여기서는 위 규칙을 적용했을 때 결합상수와 가로장 세기의 확률분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고자 한다. 편의를 위해
 +\begin{align*}
 +\Gamma&=\ln(\Omega_I/\Omega)\ge0\\
 +\zeta&=\ln(\Omega/J)\ge0\\
 +\beta&=\ln(\beta/g)\ge0
 +\end{align*}
 +를 정의하자. 여기서 $\Omega_i$는 초기 상태의 $\Omega$를 의미한다. 그리고 결합상수의 분포를 $P(\zeta;\Gamma)$, 가로장 세기의 분포를 $R(\beta;\Gamma)$로 쓰자.
  
  
  • ma_dasgupta_hu_재규격화.txt
  • Last modified: 2023/09/05 15:46
  • by 127.0.0.1